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5장 원클릭 실습 프로메테우스 이슈
5장 원클릭 실습 중 헬름으로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스택을 실행했는데요 아래 두개의 파드 오류가 발생하여 문의드립니다.1. prometheus-kube-prometheus-stack-prometheus-02. kube-prometheus-stack-grafana-794c84c4fd-l9rmn오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0/3 nodes are available: pod has unbound immediate PersistentVolumeClaims. preemption: 0/3 nodes are available: 3 Preemption is not helpful for scheduling."혹시, 제가 놓친게 있을까요?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안녕하세요, NatGateway 구성 질문 드립니다.
실습에서는 별도 NatGateway 구성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EKS 환경에서는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괜찮은 걸까요?Amazon EKS에서 제공해주는 EKS Subnets 구성 클라우드 포메이션에서는 NatGateway가 설정되어있어서요링크: https://s3.us-west-2.amazonaws.com/amazon-eks/cloudformation/2020-10-29/amazon-eks-vpc-private-subnets.yaml강의를 보면 실제 운영환경에서 사용할 인프라를 구상중에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EKS
강의대로 따라 했는데 다 설치후에 AWS EKS에서 확인을 해보니 생성이 되지 않았는데혹시 다른부분 봐야할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aws과금
강의를 들으면서 aws설정중인데요 혹시 어느부분부터가 과금이 측정될까요?? 아직 강의를 다안보고 eks 설정부분 듣고 있습니다. 괜히 이거 설정해 놓고 냅두면 과금될까봐 걱정되서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링크
안녕하세요 그 critical issue 생성하고 slack 메세지가 오기는 하는데 링크가 오지를 않습니다. github.event.issue.url 로 html을 뺴고 작성하면 링크가 오기는 하는데 들어가면 json파일로 열립니다혹시 뭐 업데이트된 내용이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Amazon VPC CNI 아키텍처와 통신 흐름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한 가지 궁금한 사항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Pod A에서 Pod E로 통신을 할 때 IP 헤더를 덧붙인다고 하셨는데요, Pod E가 Node 3에 있는지 어떻게 알고 헤더를 덧 붙이는 건가요?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내부에서 DNS 질의할때 CoreDNS 동작방식
안녕하세요!정말 너무너무 눈이 반짝반짝거리면서 보고, 듣고 실습하고 있습니다.제목과 같이 내부에서 DNS 질의할때 CoreDNS 동작방식이 너무나 궁급합니다. 아무래도 노드에 resolv.conf에 등록한 Search List와 ndots에 대해 부록이라도 추가 컨텐츠 제공이 가능할까요...?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Amazon EKS Data Plane - 노드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ㅎ강의에서 관리형 노드 그룹, 자체 관리형 노드, AWS Fargate 에 대해서 설명을 주셨는데요.그래도 선호하시거나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뭔가요 ?? 가령 AWS ECS 에서도 EC2 와 Fargate 가 있는데 , EC2 가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지만 여러 관리 부하 등을 고려했을때 Fargate 를 추천 많이하고 사용하는걸로 아는데요 EKS 는 어떤가요 ?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kubernetes cluster unreachable
안녕하세요.저는 퍼블릭 서브넷의 Bation host에서 프라이빗 서브넷의 EKS Cluster에 접근후 노드 그룹을 구성해놓은 상태입니다.저의 환경에서 github actions dev 배포가 필요해서 강좌를 참고하는 중인데 deploy 부분에서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dev 배포 실습 강좌 전에 EKS 환경 설정은 모두 진행했습니다.구글링이나 chat gpt를 이용해봐도 명확한 해결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환경이 다른 문제일까요?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karpenter 동작이 이상합니다..(안됩니다)
순서대로 따라했으나, karpenter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프로비저너 스펙으로 spot이나, 직접 인스턴스 유형을 지정한 경우나 둘 다 p4d.24xlarge 라는 말도 안되는 인스턴스를 요청하거나 계속 waiting on cluster sync 라는 문구가 나옵니다.왜 이런 오류가 나는건지 알 수 가 없네요 ㅠ ㅜ완전히 싹다 밀고 처음부터 하나하나 다시 천천히 입력해봐도 여전히 똑같습니다..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안녕하세요
질문 드립니다. 현재 4장에서 프로메테우스 스택 인스톨까지 진행하고나서예전 질문에 답변주셨던 1장의 마리오 게임을 배포했던 부분과4장의 Nginx 웹서버 배포를 복습하고 있습니다.원클릭 -> 프로메테우스 스택 -> mario apply, nginx apply 마리오는 Service로/ nginx는 인그레스로 apply 하는데요 NLB와 ALB로 외부 노출해야하는 조건이나 이유가 있는건가요 앱에 따른 차이일까요? 프로메테우스 스택을 보면 하나의 ALB로 묶기 위한 그룹이 명시되어있는데 그룹으로 묶어서 ALB로 열어주는 kind: IngressClass 은 보이지 않습니다, helm install시 알아서 설치되는 건가요?노드 익스포터가 포드로 배포되었기 때문에 노드에 존재하는 모든 앱의 메트릭 값을 자동으로 수집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nginx 파라미터 파일을 보면 metrics.enabled : true 소스가 있습니다. 각 앱을 apply 할때 metrics.enabled : true 값을 명시하는 것이 필수인 건가요?metrics.enabled : true값이 필수라면 마리오 게임을 배포할 때 metrics.enabled : true 값이 없었으므로 메트릭 값이 수집 되지 않는 건가요? 추가해야 할까요?4장의 nginx 파라미터 파일에 spec 소스를 추가 작성하면 도커허브의 html파일을 가져와서 배포할 수 있을까요?nginx배포시 레플리카 부분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1개의 포드만 생성될 것이라 예상했고, kubeops를 확인하니 실제로 1개만 배포되었습니다. 하지만 kubectl get pods 명령어 확인하니 nginx 2/2 ready 상태입니다.부하발생 실습 부분에서 레플리카를 늘려서도 시험해 보고 싶어서 helm upgrade nginx bitnami/nginx --version 14.1.0 -f nginx-values.yaml --set replicas=2 명령어를 사용했는데요, 업그레이드 됐다는 메시지는 출력 되는데 포드의 변화가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NGINX 모니터링 대시보드 : 12708 사용,while true; do curl -s https://nginx.$MyDomain -I | head -n 1; date; sleep 1; done명령어 입력 후 3분 뒤 초록색 GO 사라지고 빨간색 NO DATA 출력, 모든 그래프 사라짐 -> Home Dashboards Kubernetes / Compute Resources / Namespace (Pods)에서 모니터링 네임스페이스 확인해보니 메모리 사용부분 1400% 찍혀있는데 서버 다운된건가요? 인스턴스 스케일업 해야하는건가요? t3미디엄입니다. - 만약 맞다면 추후 HPA나 CA를 통해 해결이 가능할까요?앱 배포시 프로메테우스 target에 nginx 잡히는 것은 확인했습니다. 실제로 부하를 줄 시 프로메테우스에서 부터 수집되는 메트릭 값을 확인해 보고 싶고 -> 그 값이 실제로 그라파나에 동일한 값이 출력되는지 확인해보고 싶습니다. 하지만 현재 프로메테우스에서는 어떻게 확인하는지 모르겠고, 그라파나에서는 No Data로 오류발생입니다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kube-ops-view 노드가 안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kube-ops-view가 화면은 뜨는데 노드는 안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ㅎㅎ^^아시는 분 계신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ㅎㅎ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선생님
혹시 원클릭배포를 yaml파일이 아닌 테라폼으로 구현하실 생각이 있으신가요? 저도 테라폼의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아는 것은 아니지만, 아래 질문하신 분 사례처럼 yaml 생성은 매끄럽지 못한 부분도 있고, destroy도 조금 불편하긴 했습니다. 제가 가진 hcl은 eks까지 빌드할 수 있는데, 여기에 이어서 선생님의 프로메테우스 스택을 설치하려니 문제가 발생해서 사용을 못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amazon EKS 원클릭 배포 및 기본 스토리지 실습 문의.
https://console.aws.amazon.com/cloudformation/home?region=ap-northeast-2#/stacks/new?stackName=myeks&templateURL=https:%2F%2Finflearnaeb.s3.ap-northeast-2.amazonaws.com%2Feks-oneclick2.yaml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region만 수정하여 CloudForatmation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Stack만 생성되고 다른 stack이 생성되지 않습니다.앞선 실습에선 node도 생성이 되고 했는데요...지금은 저것만 생성이 되고 다른건 생성이 안됩니다.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EKS Add on 기능
안녕하세요 kube-proxy와 Amazon VPC CNI core DNS경우는 일반적으로 Kubernetes에 구성 요소 아닌지요? 그런데 왜 EKS에서 add on 으로 나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Amazon EKS Control Plane 아키텍처
안녕하세요.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Amazon EKS Control Plane 아키텍처 부분에서 ETCD 위에는 ELB를 사용하고 API서버 및 컨트롤러,스케쥴러 위에는 NLB를 사용하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그라파나 대시보드 싱크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그라파나 대시보드 관련해서 싱크가 안맞는? 문제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제가 테스트로 nginx 파드를 scale을 통해 2개로 늘렸다가 다시 1개로 변경했는데 여전히 2개의 파드가 그라파나에서 출력됩니다.대시보드를 지우고 다시 만들어도 동일하게 2개의 파드가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프로메테우스나 EKS 환경에서 확인해보면 정확히 1개의 파드만 있는 상황)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프로메테우스의 클러스터링
안녕하세요!프로메테우스의 아키텍쳐의 문제는 클러스터링(여러 노드에 분산)이 되지 않아 단일 노드에서 모든 메트릭이 처리되므로 대규모 환경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AMP & AMG 수업 당시 내용입니다 😀 하지만 실제로 헬름으로 배포해보니 각 노드로 쪼개져서 배포가 되더라구요..??왜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프라이빗 서브넷에 클러스터 구축
안녕하세요myeks.yaml을 수정해봤는데 노드 구성 중에 롤백 됩니다2차 시도때 넷 게이트웨이를 생성하는 부분도 추가해봤는데 클러스터까지 생성 후 노드 구성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수정이 곤란한 부분인지, 해결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eksctl create cluster --name $CLUSTER_NAME --region=$AWS_DEFAULT_REGION --nodegroup-name=ng1 --node-type=${WorkerNodeInstanceType} --nodes ${WorkerNodeCount} --node-volume-size=${WorkerNodeVolumesize} --vpc-private-subnets "$PrivateSubnet1","$PrivateSubnet2" --version ${KubernetesVersion} --ssh-access --ssh-public-key /root/.ssh/id_rsa.pub --with-oidc --external-dns-access --full-ecr-access --dry-run > myeks.yaml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hostpath간에 마운트하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안녕하세요! 멋진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문득 강의를 보다 든 생각인데, 파드가 다른 노드에 재 생성되었을 때 다시 해당 hostPath로 생성된 볼륨을 사용하기 위해 hostpath간에 마운트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인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으로 노드의 생명주기에 종속적으로 만들어진 hostPath가 A노드의 hostPath 볼륨을 B노드가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말 그대로 hostPath인데 이렇게 되면 결국 그냥 노드하나 볼륨으로 희생시키고, 각 host의 스토리지간에는 독립적이지 못한 상황인 것 같이 보였습니다.차라리 nodeAffinty를 써서 해당 노드에 다시 배포되도록 하는 게 맞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생 초보라 이런 상황을 안 겪어봐서 어떤 경우에 hostPath간 마운트하는 지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