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Executorservice 궁금한게 많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예[질문 내용]실무 웹앱의 특정 api 의 연산속도가 너무 느려ExecutorService 를 활용하여 멀티스레드기법으로 연산속도를 올려볼 계획입니다.ExecutorService executor = Executors.newFixedThreadPool(5);위와 같이 스레드풀의 스레드갯수를 5로 설정하려고합니다. 근데 이때 특정 api 에 동시에 5개의 요청이 들어왔다면 executor 객체가 메모리상에 5개가 생성되면서 스레드풀도 자동으로 5개 생성돼 총 25개의 스레드가 생성될것으로 보이는데 이게 서버에 부하를 주지는 않을지 궁금합니다.아니면 실무에서는 ExecutorService 를 static 싱글톤으로 선언해서 더이상 인스턴스가 생성되지 않게 하고 캐시풀 전략을 사용해야하는건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ExecutorService 같은건 요청이 몰리는 api 같은데서 사용하는게 아니라 배치작업같은데서 사용해야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궁금한게 많은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영한님의 답변을 듣고싶네요 ㅠㅠ ai 말고 ㅠㅠ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clone() 메서드를 재정의함으로써 Deep copy로 구현한다로 이해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한가지 아리송한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20:30 정도에 clone()이 등장하는데 clone()을 그냥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재정의 하여 사용함으로써 Deep copy가 된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캐스팅 질문 있습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기본형, 참조형 모두 대입을 할 땐 타입을 일치시켜야된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기본형에서 대입을 할 때 타입이 다를 경우 자동으로든 수동으로든 값 자체 변환해서 타입을 일치시켜야하고,참조형에서 대입을 할 때 타입이 다를 경우, 업 캐스팅(자동)이든 다운 캐스팅(수동)이든 실제 객체의 타입이 아닌 정적 타입을 일치시켜야 되는 걸로 압니다.Child child = new Child(); Parent parent = (Parent)child; // 정적타입을 Child에서 Parent로 변환해서 정적타입을 일치시켰다. Child child2 = (Parent) parent;//정적타입을 Parent에서 Child로 변환해서 정적타입을 일치시켰다 Parent parent = (Parent)new Child();//실제 객체 타입인 Child는 정적타입이 없는 상황에서 Parent로 정적타입을 설정해서 정적타입을 일치시켰다..?질문1.업캐스팅은 정적타입을 부모타입으로 설정하는것,ex)(Parent)new Child();(Parent)child(); <- child변수는 정적타입이 Child로 가정다운캐스팅은 정적타입을 부모타입에서 다시 자식타입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맞을까요?ex)(Child)parent; <-parent변수는 정적타입이 Parent로 가정질문2.위에 코드에서Parent parent = (Parent)new Child();이 부분은 실제 객체 타입인 Child는 정적타입이 없는 상황에서 Parent로 정적타입을 설정해서 정적타입을 일치시킨건가요..?이 부분이 전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물론 업캐스팅이 생략되는 건 알고 있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설명하고자 업캐스팅을 생략하지 않고 작성했습니다.질문3.강의에서 말한 부모는 자식을 담을 수 있다는 정확한 의미는 정적타입(변수의 타입)이 부모타입이고 실제 객체의 타입이 자식일 때라고 이해했는데 맞을까요?Parent parent = child;이 경우는 Parent parent = (Parent)child;이렇게 내부에서 타입이 일치되도록 변환을 해주기 때문에 정적타입은 결국 일치되어 부모타입의 변수에 실제 객체 타입이 자식타입으로 대입이 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정말답답합니다 ㅠㅠㅠ 이해시켜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빈중복등록을 막기위해 이름을 바꿔주어도 해결이 안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FixDiscountPolicy,RateDiscountPolicy 클래스 앞에 둘다 @Component를 붙여서 OrderServiceImpl을 구현할때 생성자파라미터에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에서 이름을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로 바꾸어 주었고 아래도this.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로 바꾸어주었는데도 위와 같이 에러가 나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접근제어자 2번문제
calculateTotalPrice 를 따로 만드신 이유가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수정 제안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문제풀이 2번 쇼핑 카트 문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출제의도가 더 명확해질 것 같습니다.장바구니에는 상품을 최대 10개만 담을 수 있다. => 장바구니에는 상품을 최대 10가지만 담을 수 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객체의 생성책임을 객체의 개념 자체에 부여하는 경우에 대한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코드레벨에서의 관점이 될수도 있겠지만, 객체의 생성책임을 자신의 클래스객체에 부여하는 선택지에 대한 고견이 궁금합니다.저의 경우 기존처럼 설계없이 습관적으로 코드를 짰다면, ReservationService에서 Reservation.with(screening, user, amount)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형태로 작성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게 수업에서 말씀하신 설계관점에서 생성책임부여 대상으로 괜찮은 것인지 고민이 들었습니다.제가 고려해보았을때, class객체를 예매 개념 이라고 명명하고 예매 개념이 객체의 생성책임을 부여하기 적절한 객체인지 판단해보자면,예매를 생성과 관련하여 가장 잘 알고있을것으로 생각되는 정보전문가로 보입니다.기록하거나 긴밀하게 사용하는 창조자패턴에 가장 부합하는 대상으로 보입니다.식별된 도메인모델을 기준으로 했을때는 '개념'이라는 객체가 새로 등장하게 되니 표현적차이는 상영보다는 다소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코드레벨에서 예매를 생성하라는 문맥에서 예매 class를 찾으면 되니 표현적차이를 줄임으로써 얻는 변경용이성은 해결되는것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협력의 문맥을 책임으로 옮기고 적절한 객체를 식별한다고 할때 예매 개념 을 떠올리는건 뭔가 자연스럽지 않아보이긴 합니다.이런 판단으로 저는 예매 개념에 생성책임을 부여할것으로 판단했습니다.여기서 간과한 부분이 있거나 안티패턴은 아닌지 궁금합니다.설계가 정해진 답이있지 않고, 고차원적인 부분이다보니 판단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보고싶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접근제어자 문제 풀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접근제어자 문제풀이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MaxCounter 클래스에서int count=0을 private 으로 제한하였는데요.Main클래스를 보면, int count = counter.getCount();와 같이 int count를 또 선언하고 있습니다.이 두가지는 다른 변수인가요?그렇다면, MaxCounter에서 public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 아닐까 생각들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정적 중첩 클래스 문의
정적 중첩 클래스같은경우일반 클래스와 마찬가지로클래스 정보는 메서드영역에 저장되고인스턴스 생성시 인스턴스는 힙영역에 저장되잖아요?그럼 정적 중첩 클래스를 많이 써도 어차피 인스턴스는 gc의 대상이니 대량의 데이터를 사용하지않는 한 메모리 부하를 주지는 않죠?궁금하네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채팅 프로그램쪽 챕터, 넘어가고 http로 가서 들어도 되는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여쭤볼게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영한님이 내준 과제 채팅 프로그램 만들고 싶은데 못 만듭니다. 근데 여기서 저는 혼자서 만들고 싶은 욕구가 강해서 계속 진도가 못나가는 상황인데요.(영한님 말중에 "레고볼릭 조립하듯이", 이때까지 배운 내용들을 잘 조립하면 될것 같은데 라는 생각이 계속 나네요) 근데 계속 시간을 써도 안되니 나중에 풀자라고 굳혀진 상황입니다.채팅 프로그램 챕터를 뛰어넘고 http 챕터 쪽으로 넘어 갈려고 하는데, 채팅프로그램 챕터를 건너뛰고, http챕터쪽으로 가도 문제가 없는지 알고 싶습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 닫기 sc.close();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아니오)[질문 내용]Scanner사용시 항상 닫아줘야한다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강의에서 한번도 sc.close(); 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6-5. 설계 평가하기 - 수업자료 클래스 오표기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6-5. 설계 평가하기 수업자료에 오표기가 있어 제보 드립니다.- 영상시간: 10:55~11:06- 수업자료: 35p- 변경할 내용:AS-IS: NoneDiscountPolicyTO-BE: NoneDiscountMovie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중복된 메서드 줄이는 방법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강의를 통해 배운 내용을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 하던 중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private List<Long> getEventIdList(List<EventSimpleInfo> events) { return events.stream() .map(EventSimpleInfo::getId) .toList(); } private List<Long> getEventIds(List<BookmarkedEventSimpleInfoQuery> events) { return events.stream() .map(BookmarkedEventSimpleInfoQuery::getId) .toList(); } Dto 조회한 두개의 List 입니다.두 List에서 id 값을 뽑는 같은 행위를 하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중복을 줄일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Dto에 일급 컬렉션을 적용하자니 너무 클래스가 많아 질것 같고,Dto에 인터페이스를 적용 하자니 Dto에 역할을 부여 하는 것이 맞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다른 방법은 Dto 내부에 로직을 두는 방법도 생각해 보았는데 어떤게 좋을까요?..쿼리를 줄이기 위해 Dto 조회를 하고 부족한 상태를 조회 하여 값을 채우고 있는데 너무 중복된 행위가많아서 고민 입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IntelliJ가 보이지 않습니다.
자료다운을 받았으나, 압축파일 내 IntelliJ가 보이지 않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증감연산자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스스로 생각해본건데int a = 10; int b = a++ + ++a;이 코드에서 흐름은b +=10a = 11a=12b+=12이렇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하드웨어 스레드와 소프트웨어 스레드의 차이가 헷갈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 검색해도 안보이네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질문 내용]섹션2. 프로세스와 스레드 소개를 들은 후에, CPU 스펙에서 말하는 쓰레드와 강의에서 말하는 스레드(아마 소프트웨어 쓰레드)는 서로 다른건가? 에서 궁금증이 시작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인기있는 게이밍 CPU의 경우 8코어 16스레드의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강의에선 16개보다 많은 갯수의 스레드가 나와서 혼동이 왔습니다. 이래저래 AI질문과 구글링을 통해 알아본 결과 소프트웨어 스레드(강의에서 말하는 스레드)를 프로그램등에서 생성하고 분배하면 이 분배된 스레드를 CPU스레드(하드웨어 스레드)에서 처리하는 느낌으로 이해되는데 맞게 이해한건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Class 변수선언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첫번째 질문!2번 네모박스와 3번 네모박스에서 궁금한 점인데2번은 Student student1; student1 = new Student(); 이고3번은 Student student2 = new Student(); 이렇게 한번만 코드를 작성하셨는데 2번 박스의 Student student1는 한번만 선언해주면 되는건가요..? 두번째 질문!1번 네모박스즉 student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student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같은 Class1 폴더 안에 있어야만 하나요?약간 html에서 css 불러올때 처럼 한 폴더에 있어야하는 그런건가요? 입문자수준이라서 질문이 이상하다면 수정하겠습니다ㅜㅜ, 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연결리스트 삭제 중 시간 복잡도 계산
public E remove(int index) { Node<E> removeNode = getNode(index); E removedItem = removeNode.item; if (index == 0) { head = removeNode.next; } else { Node<E> prev = getNode(index - 1); prev.next = removeNode.next; } removeNode.item = null; removeNode.next = null; size--; return removedItem; } private Node<E> getNode(int index) { Node<E> curr = head; for (int i = 0; i < index; i++) { curr = curr.next; } return curr; }MyLinkedList 클래스에 정의된 메서드 중 일부입니다. 링크드리스트의 경우 맨 앞 노드를 삭제하는 경우 참조의 조정만으로 삭제할 수 있어 O(1)이 소요된다고 배웠습니다. 연결리스트 내부의 필드로 가지고 있는 first를 활용해 바로 참조하지 않고 getNode()를 사용하면 메서드가 갖는 시간 복잡도를 따르지 않나요? getNode()는 평균적으로 O(n)이 걸리는 메서드라 생각해서 이 메서드가 사용되는 remove()의 경우 마찬가지로 O(n)인지, 어차피 getNode()를 사용해도 인덱스 1이니 O(1)로 간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final참조변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final 참조변수 질문드립니다.참조변수 하나에는 참조값이 하나가 할당되는것은 final을 붙이지 않아도 해당되는 개념으로 알고 있습니다.Data data = new Data();Data data= new Data();이렇게 같은 참조변수로 두개의 객체를 만드는건 원래 안되는건데 참조값 변경을 할 수 없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Data 클래스로 만들수 있는 객체가 최대 하나가 된다 이런 의미인건가요final Data data = new Data();이렇게 final을 쓰게 되면 Data data1= new Data(); 이라는 또 다른 객체를 만들지 못한다는 의미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프로젝트 실행이 안됩니다.
[질문 내용]zip파일 구글 드라이브입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ZleZzt2LirbgIQYJbj7zs7zmLnee7HFa/view?usp=sharing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본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마지막 강의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해서 localhost:8080/log-bemo 에 접속하는 부분부터 안됩니다.현재 압축 파일에서 풀고 실행하면 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으로 스프링 작동 자체가 안되는데 MemoryMemberRepository에 @Primary를 붙이면 일단 실행은 됩니다. 강의에서는 MemoryMemberRepository에 @Primary를 붙인 기억이 없어 일단 지우고 압축했습니다.실행이 되어도 /log-demo 로 들어가면16:58:17.197 [http-nio-8080-exec-2]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Exiting from "ERROR" dispatch, status 40416:58:27.583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GET "/log-demo", parameters={}16:58:27.584 [http-nio-8080-exec-3] DEBUG o.s.w.s.h.SimpleUrlHandlerMapping --Mapped to ResourceHttpRequestHandler [classpath [META-INF/resources/], classpath [resources/], classpath [static/], classpath [public/], ServletContext [/]]16:58:27.587 [http-nio-8080-exec-3] DEBUG o.s.w.s.r.ResourceHttpRequestHandler --Resource not found16:58:27.587 [http-nio-8080-exec-3] DEBUG o.s.w.s.m.s.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Resolved [org.springframework.web.servlet.resource.NoResourceFoundException: No static resource log-demo.]16:58:27.587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mpleted 404 NOT_FOUND16:58:27.587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ERROR" dispatch for GET "/error", parameters={}16:58:27.588 [http-nio-8080-exec-3] DEBUG o.s.w.s.m.m.a.RequestMappingHandlerMapping --Mapped to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web.servlet.error.BasicErrorController#errorHtml(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16:58:27.590 [http-nio-8080-exec-3] DEBUG o.s.w.s.v.ContentNegotiatingViewResolver --Selected 'text/html' given [text/html, text/html;q=0.8]16:58:27.591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Exiting from "ERROR" dispatch, status 404 이런 오류가 뜨는데 왜 이렇게 되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