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2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jwt 인증401 뜹니다.
@Component @Slf4j public class AuthorizationHeaderFilter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AuthorizationHeaderFilter.Config> { Environment env; public AuthorizationHeaderFilter(Environment env) { super(Config.class); this.env = env; } public static class Config { // }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 ServerWebExchange 파라미터는 필터가 동작하는 동안 현재 요청 및 응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비동기 서버 Netty 에서는 동기 서버(ex:tomcat)와 다르게 request/response 객체를 선언할 때 Server~ 를 사용한다. GatewayFilter filter = (exchange, chain) -> { ServerHttpRequest request = exchange.getRequest(); // 요청 헤더에 "Authorization" 헤더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if (!request.getHeaders().containsKey(HttpHeaders.AUTHORIZATION)) { // "Authorization" 헤더가 없는 경우, UNAUTHORIZED(401) 상태로 에러 응답을 반환. return onError(exchange, "No Authorization header", HttpStatus.UNAUTHORIZED); } // "Authorization" 헤더에서 JWT 토큰을 추출. String authorizationHeader = request.getHeaders().get(HttpHeaders.AUTHORIZATION).get(0); // "Bearer " 문자열을 삭제하고 토큰만 추출 String jwt = authorizationHeader.replace("Bearer ", ""); log.info("authorizationHeader : " + authorizationHeader); log.info("jwt : " + jwt ); // 추출한 JWT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 if (!isJwtValid(jwt)) { return onError(exchange, "JWT Token is not valid", HttpStatus.UNAUTHORIZED); } // JWT 토큰이 유효한 경우, 다음 필터로 요청을 전달. return chain.filter(exchange); }; return filter; } private boolean isJwtValid(String jwt) { // 반환값으로 사용할 boolean 변수를 초기값 true로 설정 boolean returnValue = true; // JWT의 'subject'를 저장할 변수 초기화 String subject = null; try { // 환경 변수에서 토큰의 비밀 키 가져오기 String secretKey = env.getProperty("token.secret"); log.info("secretkey : " + secretKey); // JWT 파서를 생성하고 토큰의 비밀 키 설정 JwtParser jwtParser = (JwtParser) Jwts.parser().setSigningKey(secretKey); // JWT 파서를 사용하여 토큰을 파싱하고 Claims 객체를 반환 Claims claims = jwtParser.parseClaimsJws(jwt).getBody(); // 토큰에서 'subject' 정보 추출 subject = claims.getSubject(); log.info("subject:" + subject); } catch (Exception e) { // 예외가 발생하면 JWT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반환값을 false로 변경 returnValue = false; } // 'subject' 값이 비어있으면 JWT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반환값을 false로 변경 if (subject == null || subject.isEmpty()) { returnValue = false; } // 최종적으로 JWT의 유효성 여부를 나타내는 반환값을 반환 return returnValue; } // Mono, Flux -> Spring WebFlux (기존의 SpringMVC 방식이 아니기때문에 Servlet 을 사용하지 않음) private Mono<Void> onError(ServerWebExchange exchange, String err, HttpStatus httpStatus) { ServerHttpResponse response = exchange.getResponse(); response.setStatusCode(httpStatus); log.error(err); return response.setComplete(); } }authorizationHeader : Bearer eyJhbGciOiJIUzI1NiJ9.eyJ1c2VybmFtZSI6ImFkbWluIiwicm9sZSI6Iltjb20uZXhhbXBsZS5qd3Rqd3QuZmlsdGVyLkN1c3RvbVVzZXJEZXRhaWxzJDFANjIxMDI1MGNdIiwiaWF0IjoxNzEyNjUxODYzLCJleHAiOjE3MTI2NTE4OTl9.oH-cw5zNVM43LIEj173W0zof5PcbhIa6CiTq1lEHRWs jwt : eyJhbGciOiJIUzI1NiJ9.eyJ1c2VybmFtZSI6ImFkbWluIiwicm9sZSI6Iltjb20uZXhhbXBsZS5qd3Rqd3QuZmlsdGVyLkN1c3RvbVVzZXJEZXRhaWxzJDFANjIxMDI1MGNdIiwiaWF0IjoxNzEyNjUxODYzLCJleHAiOjE3MTI2NTE4OTl9.oH-cw5zNVM43LIEj173W0zof5PcbhIa6CiTq1lEHRWs secretkey : user_token JWT Token is not valid이렇게 뜨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로그인 성공 후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Override protected void successful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FilterChain chain, Authentication auth)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String userName = ((User) auth.getPrincipal()).getUsername(); UserDto userDetails = userService.getUserDetailsByEmail(userName); byte[] secretKeyBytes = Base64.getEncoder().encode(environment.getProperty("token.secret").getBytes()); SecretKey secretKey = Keys.hmacShaKeyFor(secretKeyBytes); Instant now = Instant.now(); String token = Jwts.builder() .subject(userDetails.getUserId()) .expiration(Date.from(now.plusMillis(Long.parseLong(environment.getProperty("token.expiration_time"))))) .issuedAt(Date.from(now)) .signWith(secretKey) .compact(); res.addHeader("token", token); res.addHeader("userId", userDetails.getUserId()); } 여기서 로그인 성공 후 토큰이 발급된 뒤에 @Component@Slf4jpublic class AuthorizationHeaderFilter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AuthorizationHeaderFilter.Config> { Environment env; public AuthorizationHeaderFilter(Environment env) { super(Config.class); this.env = env; } public static class Config { // Put configuration properties here }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return (exchange, chain) -> { ServerHttpRequest request = exchange.getRequest(); if (!request.getHeaders().containsKey(HttpHeaders.AUTHORIZATION)) { return onError(exchange, "No authorization header", HttpStatus.UNAUTHORIZED); } HttpHeaders headers = request.getHeaders(); Set<String> keys = headers.keySet(); log.info(">>>"); keys.stream().forEach(v -> { log.info(v + "=" + request.getHeaders().get(v)); }); log.info("<<<"); String authorizationHeader = request.getHeaders().get(HttpHeaders.AUTHORIZATION).get(0); String jwt = authorizationHeader.replace("Bearer", ""); // Create a cookie object// ServerHttpResponse response = exchange.getResponse();// ResponseCookie c1 = ResponseCookie.from("my_token", "test1234").maxAge(60 60 24).build();// response.addCookie(c1); if (!isJwtValid(jwt)) { return onError(exchange, "JWT token is not valid", HttpStatus.UNAUTHORIZED); } return chain.filter(exchange); }; } private Mono<Void> onError(ServerWebExchange exchange, String err, HttpStatus httpStatus) { ServerHttpResponse response = exchange.getResponse(); response.setStatusCode(httpStatus); log.error(err); byte[] bytes = "The requested token is invalid.".getBytes(StandardCharsets.UTF_8); DataBuffer buffer = exchange.getResponse().bufferFactory().wrap(bytes); return response.writeWith(Flux.just(buffer));// return response.setComplete(); } private boolean isJwtValid(String jwt) { byte[] secretKeyBytes = Base64.getEncoder().encode(env.getProperty("token.secret").getBytes()); SecretKey signingKey = new SecretKeySpec(secretKeyBytes, SignatureAlgorithm.HS512.getJcaName()); boolean returnValue = true; String subject = null; try { JwtParser jwtParser = Jwts.parserBuilder() .setSigningKey(signingKey) .build(); subject = jwtParser.parseClaimsJws(jwt).getBody().getSubject(); } catch (Exception ex) { returnValue = false; } if (subject == null || subject.isEmpty()) { returnValue = false; } return returnValue; }여기로 넘어 오는 게 맞나요?그리고 그 뒤에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오프셋 커밋 과정에서 장애 발생 시 카프카에서는 어떤 처리가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자동 커밋 옵션을 활성화한 경우 일정 시간마다 오프셋 커밋을 실행하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결제 이벤트를 처리하는 카프카 컨슈머가 100건의 레코드를 가져와서 한번에 처리하도록 구현되어 있을 때 레코드 처리 중간에 장애가 발생하여 오프셋 커밋을 하지 못하는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50번째 레코드를 처리하다가 장애가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오프셋 커밋이 되지 못했으므로 다른 컨슈머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처리된 100건의 레코드를 다시 가져와서 1~50번째 레코드가 중복으로 이벤트가 처리될 것 같습니다. 이는 컨슈머 애플리케이션은 언제든지 중복으로 레코드를 소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가 되고, 컨슈머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작성할 때는 항상 중복 레코드가 처리되지 않도록 방어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만약 방어 로직을 작성한다고 하면 레코드의 메시지마다 유일한 키값을 같이 전송하여 해당 값을 Redis에 저장하고, redis에 저장된 상태라면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도록 구현할 것 같습니다. 제가 오프셋과 관련하여 이해한 내용이 정확한지, 그리고 실무에서도 Redis를 활용한 중복 처리 방지 로직이 효과적인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하시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왜 요청에다가 AthenticFilter를 적용할까요?
apigateway의 application.yml을 보면 get요청에는 authorizationHeaderFilter를 적용시키고 있습니다. authenticFilter는 그저 로그인 요청시 attempthAuthentication메소드와 successfulAthentication메소드를 통해 인증을 처리하고 response헤더에 토큰을 추가하는 역할입니다. 따라서 로그인 요청에만 적용하면 될 것 같은데, 깃허브의 최신코드 버전을 보면 거의 모든 요청에 authenticationFilter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왜 로그인요청이 아닌 다른 요청에다가 AthenticFilter를 적용할까요? apiGateway-service에서 GET요청만 AuthoriztionFilter를 적용하면 되지않나요??http.authorizeHttpRequests((authz) -> authz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actuator/**")).permitAll()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h2-console/**")).permitAll()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users", "POST")).permitAll()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h2-console/**")).permitAll() //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welcome/**")).permitAll() // .requestMatchers("/**").access(this::hasIpAddress) .requestMatchers("/**").access( new WebExpressionAuthorizationManager("hasIpAddress('127.0.0.1') or hasIpAddress('172.30.1.48')")) .anyRequest().authenticated() )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파티션 복제의 성능이슈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복제강의 수강중 궁금한점이리더 - 팔로워 간의 복제시 팔로워에서 리더의 오프셋을 확인해 차이점이 있다면 팔로워로 저장한다고 이해했는데요.이러한 복제 과정으로 인해 리더파티션에 이슈가 생길만한 케이스가 있는지 궁금합니다.기본적으로 리더 파티션이 프로듀서 - 컨슈머와의 통신을 담당하기에 팔로워 파티션에서 복제과정을 담당하게 되는 형태인것 같아 문제가 없을것 같긴한데 .. 꼭 이렇게 생각하고 넘어가면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ㅎ..혹시 복제과정이 리더 파티션 성능에 영향을 주게될만한 이슈가 있을지 우려되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로그인까지는 되는데 /welcome에서 403 Forbidden 에러가 뜹니다.
안녕하세요. 깃허브에서 spring boot 3.2 브랜치통해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회원가입, 로그인까지 해서 jwt토큰까지는 잘 받아오는데, 그 이후에 /welcome으로 헤더에 토큰으로 추가해서 요청을 보내도 403 forbidden에러가 뜹니다. 코드는 spring boot 3.2 브랜치와 동일합니다.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온 프라미스의 서버랙, 클라우드의 리전 장애에 대비할 수 있는 카프카 설정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2강에서 설명해주신 레플리케이션 설정을 통한 고가용성 외에 서버 랙, 리전 장애에도 대비할 수 있는 카프카 설정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로그인시 No authorization header
안녕하세요 로그인시에는 인증이 필요하지가 않는데 자꾸 인증 해주는 AuthorizationHeaderFilter 클래스에서 apply 메소드에서 header 값이 없다고 걸립니다.그래서 아래와 같이 401 오류로 로그인이 안됩니다.application.yml 파일은 문제없는거 같은데 뭘 더 확인해봐야 할까요,,,?아래는 Users application.yml 파일입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docker ex -it mariadb /bin/bash
docker ex -it mariadb /bin/bash이후에 mysql 명령어를 치면mysql: Command not found 에러가 나옵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서버 1대일때 Synchronized 사용
[Redis 활용하며 문제 해결하기 > 문제점 해결하기 01:19]강의에서 Synchronized 를 사용할때 서버가 여러 대가 된다면 적절하지 않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서버가 1대 일때는 Synchronized 를 사용해도 괜찮은가요??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윈도우 연산시 주의해야할 사항 + 기타 질문
윈도우 연산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텀블링 윈도우에 한해서 윈도윙이 5초간격이라면커밋 간격도 5초로 맞춰주면굳이 최신 데이터를 어떤 로직처리에 의해서 뽑아줄 필요가 없지 않을까요?스트림 처리할때만 커밋 간격을 윈도우 크기만큼 맞추고, 나머지는 디폴트나 설정한 값으로 처리하면 될것 같은데요이렇게 하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자바의 main 말고 카프카의 데이터를 컨슘해서 프론트엔드로 서빙하는 스프링 예제provectuslabs/kafka-ui의 이미지를 사용해서 도커컴포즈로 브로커를 3대 띄우고 운영한다던지(아무래도 쿠버네티스 환경까지 들어가면 너무 깊어지니깐)스키마 레지스트리와 KSQL 등에 대한 것추가로 2, 3, 4번 예제는 강의에 없는것 같은데 혹시 집필하신 책에 나와있을까요? 많은 내용을 배워서 갑사합니다추가로 현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처리 방법을 조금 더 심도있게 배우고 싶습니다
-
해결됨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처리 지연을 어떻게 구현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 kafka: consumer: max-poll-records: 5이것 저것 찾아보다가 한번에 가져오는 레코드의 양을 줄이는 옵션이 있어서 적용해봤습니다. 그래서 처리되는 속도는 비슷하더라구요. 컨슈머가 속도를 설정해서 천천히 이벤트를 확인하고 싶은데 강사님이 말씀하신 걸 적용하려면 어떤 옵션을 줘야하나요?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VM화면에서 마우스 클릭 불가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VM 환경에 들어와서 마우스 클릭을 하면 팝업창이 뜨면서 마우스 잡기 버튼이 생성되어 잡기를 클릭하면 마우스 커서도 사라지며 아무 클릭이 안돼요.구글링해보니 설정 -> 시스템-> 마더보드 -> 포인트 장치 -> USB 태블릿 or USB 멀티터치 태블릿으로 변경위와 방법을 사용해도 변경이 안됩니다.혹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Kafka Consumer 데이터 유실 관련
안녕하세요 강사님!Consumer와 auto.offset.reset의 내부 동작 메커니즘 상세 이해듣던 중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 🙂 Kafka Consumer는 __consumer_offsets 기준으로데이터를 읽어드린다고 이해를 했는데 동일 컨슈머 그룹에 이미 메세지가 있는 경우프로듀서가 메세지를 전송한 이후에 컨슈머를 기동을 한다고 하면 earlist, lastest 모두 전송한 메세지를 받을 수 없어 데이터 유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데 이러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프로듀서 같은경우 ACK 설정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컨슈머에도 동일한 설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프로듀서 직렬화 관련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실무에서 발생할 법한 사항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외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API 엔드포인트가 프로젝트 내에 열려있고, 이 곳을 향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적절히 파싱해서 Object에 담은 상태라고 했을 때이 Object를 토픽에 저장하고 꺼내오는 과정에 강의의 예를 적용하면 동일한 커스텀 직렬화 및 역직렬화가 적용된 프로듀서, 컨슈머 클라이언트를 통해 가능할 것 같은데요 만약 프로듀서는 그대로 자바 (Spring 환경) 클라이언트로 구현된 것을 사용한다고 하고, 토픽에 저장된 데이터를 ksqldb를 사용한 스트림처리나 connect를 붙여 타겟에 보내는 용도로 쓴다고 했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 까요?이런 상황에서는 커스텀 역직렬화를 ksqldb나 connect에서 사용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 프로듀서에서 Avro 타입등으로 전송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특정 상황에서는 스키마를 굳이 관리하지 않고 그냥 Json타입을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커스텀 직렬화를 통해 바이트 코드로 토픽에 전송시킨 후 ksqldb 등에서 JSON 포맷으로 읽으면 읽혀질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왜 @Configuration의 WebSecurity 클래스에서 생성자 주입을 하지 않나요?
@Configuration@EnableWebSecuritypublic class WebSecurity { extends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private BCryptPasswordEncoder bCryptPasswordEncoder; private Environment env; public WebSecurity(Environment env, UserService userService, BCryptPasswordEncoder bCryptPasswordEncoder) { this.env = env;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this.bCryptPasswordEncoder = bCryptPasswordEncoder; }강의에서 보면 @Configuration으로 WebSecurity클래스가 설정되어있기에 userService, bCryptPasswordEncoder, environment 인스턴스가 준비되어 있다고합니다. 따라서 위의 코드와 같이 생성자주입을 하지않는데, 왜 @Configuration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Autowired로 주입을 받지 않아도 되는 걸까요?
-
미해결[데브원영] 아파치 카프카 for beginners
Hbase sink connector
안녕하세요강의 다 잘들었습니다.처음 만들어보는중인데 최종목표는 PostgreSQL과같은 rdb의 데이터를CDC로Apache atlas로 표현하기 위해 Hbase로 전달하고싶은게 목표입니다 Hbase sink connector를 검색해도 잘안나와서 가능한지와 json으로 어떻게 변환해서 넣어야하느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질문드립니다
1분 42초에 lock을 건다고 하는데 이게 어떤 lock을 건다는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설명해주시기로는 범위로 락을 잡고 처음에 쿠폰 발급 여부를 가져와서 판단하는 방식입니다.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여기서 lock이란게 뭐고 lock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if문을 통해 확인한다는게 lock인건지 아니면 apply메서드 자체에 lock을 걸고 다른 프로세스가 접근하지 못하게한다는건지 모르겠내요유저 아이디별로 쿠폰 발급 개수를 한개로 제한할때 Redis에 Set자료구조를 써도되고 Map을 써도될거같은데 Set을 소개해주신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user-service에 로그인 404뜨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깃허브 코드대로 했습니다
-
해결됨카프카 완벽 가이드 - ksqlDB
IoT Event Streaming 적용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IoT Device들의 데이터를 받아서 값들이 조건을 만족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개발업무에 있습니다. 그래서 streaming 분석솔루션을 찾던도중 ksqlDB관련을 접하게되었습니다. 강의를 간단하게 훑어보고 ksqlDB 솔루션을 적용해보고싶은데 궁금한점이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IoT Device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 각각의 Device의 걸어주어야하는 조건이 다양해질수있습니다.만약에,A device의 조건은 해당 값이 10이 넘어가면 이벤트 발생 그리고 B device의 조건은 값이 15가 넘어가면 이벤트발생 이런식으로 구성될수있습니다.각 Device마다 고유한 조건이 있기때문에 많은 stream이 생성될수있습니다.또한 E Device에서 발생한 이벤트 와 J Device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조인해서 새로운 stream을 만들어주어야할때도있습니다. 디바이스가 많고 이벤트처리 흐름이 복잡해질수록 stream,table,Mview가 많이 생길수 있기때문에 성능에대한 우려가 있습니다.물론 H/W나 traffic, SQL문의 복잡도,네트워크구성등 성능에 미치는 요인들이 많기때문에 성능이 어떻다는 확실히 답변하기 어려울것같긴합니다. 결론은 데이터스트리밍 분석을 위해 많은 stream,table,Mview 작성해도 성능 이슈가 크게 발생하는지(몇백 혹은 몇천개단위). 만약 성능이 부족하다면 kafka를 scale out,up하면 나아질수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강의를 전체적으로 훑는식으로봐서 자세히 듣지못해 틀린부분이 있을수있지만, 부족한점 참고하여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