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저번질문에 글올렸는데코드가더꼬인것같아요..
https://drive.google.com/file/d/19EdcpxnIZQKKAeCSlucWIrX8HVv4bCtf/view?usp=drive_link 머리아프네요..17강까지 잘되었습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B를 제외한 로드맵
안녕하세요, 현재 사지방에서 스프링을 공부하고있는 군인입니다.스프링 입문 편을 보면서 다른건 다 문제 없이 진행됐는데 h2 database를 활용하는 부분에서부터 막히게 됐습니다. 계속해서 방법을 검색하고 적용해봤지만 결국에 DB관련 파트는 포기하게됐습니다.앞으로 '스프링 완전 정복' 로드맵을 따라가고싶은데 DB이후의 강의인 '스프링 핵심 원리-고급편', '스프링 부트 -핵심 원리와 활용' 강의를 들을 때 DB를 활용하지 못하면 제약이 있거나 진행이 불가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Spring Data JPA로 Mysql Full Text Search 기술 가용여부 질문
안녕하세요 스프링 데이터 JPA 강의를 듣다 질문이 생겨 문의드립니다.토이프로젝트로 JPA를 사용하여 Mysql 전문검색(Full Text Search)를 해보는 중입니다. public interface JpaMenuReview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nuReview, Long> { @Query(value = "SELECT * FROM menu_review WHERE MATCH (comments) AGAINST (:keyword IN NATURAL LANGUAGE MODE)", nativeQuery = true) List<MenuReview> findMenuReviewByCommentsContainingOnFullTextSearchWithQuery(@Param("keyword") String keyword); } JPA에서는 Full Text Search를 지원하지 않아서 nativeQuery로 다음과 같이 쿼리문을 작성하였습니다.그런데 전문검색을 위해서 Table의 컬럼에 Full index를 추가해야 전문검색 쿼리가 작동한다고 알고 있는데요,JPA의 해당 특징은 "JPA의 DDL 자동 생성 기능" 또는 "JPA의 스키마 자동 생성 기능"으로 알고 있습니다.이 기능은 JPA가 애플리케이션의 Entity 클래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하여 @Entity, @Table, @Column 등의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엔티티 클래스를 정의하면, JPA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한 테이블과 컬럼을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데요,이럴 경우에는 제가 "ALTER TABLE tbl_query ADD FULLTEXT INDEX FullText (`comments` ASC)" 해당 ddl문을 넣을 수 없어서 곤란한 상황입니다. JPA, Mysql에서는 Full Text Search를 사용할 수 없는 건가요? 차선책으로 Elastic Search, Postgre, Mongo를 구상중인데 차선책으로 우회해야할지 고민입니다.추가로 실무에서는 전문검색 기능을 위해 어떤 방법을 쓰시는지, 관련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강의내용과 동떨어져 있는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pring 공부방법 질문
현재 스프링 완전정복로드맵을 들어가기전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듣고있는 수강생입니다. 수업하나하나 들을때마다 코드하나하나 따라치는거밖에 못하고 실제로 강의끝나고 이걸복습하자니 어디서부터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spring을 처음접해서 그런거일수도있는데 이렇게 코드만 따라치는게 맞는지 공부하는 느낌이 안들고 의구심이 들어서 질문해봅니다 ㅠㅠㅠ 처음 말씀해주신 목표는 전체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 동작하는지를 이해하는게 포인트라고 하셨는데 다행히 이부분에서는 구글링으로 부족한개념들을 메꾸면서 도달할수는 있을거같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적었다싶이 코드를 하나하나 이해하고 따라치는데는 한강의를 듣는데 4~5시간이 소요되어 실제로 완강을 하기에는 2주가 넘는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래서 조언을듣고싶습니다
-
스프링 배치
5버전 강의는 계획에 없으신가요?
강의보며 공부하며 현업에 적용하려고 개발중인데 spring batch 5.1 이 나왔네요.. 5버전 강의는 계획에 없으신가요?
-
장애 없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Resilience4j - CircuitBreaker
서킷 브레이커 상태 OPEN 전환의 기준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수강 후 서킷 브레이커를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는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현재 캐시 서버에 서킷 브레이커를 도입해서 장애 발생 시 DB로 우회하도록 구현 했습니다.여기서 만약 레디스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면 Master 노드 다운 시 Replica가 새로운 마스터로 승격되면서 Failover가 일어날텐데요! 이때 1. Master와 Replica가 서로 health check를 하는 시간의 timeout 2. 승격이 일어나는 시간3. Redis Cluster의 Topology를 refresh 하는 주기(현재 Redis Client로 Lettuce를 사용중입니다!)이 시간 동안은 Redis로 정상 요청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저는 개인적으로 레디스가 자동으로 Failover 되는 과정은 스스로 회복하는 시간이기에 서킷이 OPEN되야하는 상황으로 보기 힘들다 생각하는데, 서킷의 슬라이딩 윈도우를 설정할때 Failover 동안은 OPEN이 열리지 않을 정도로 여유롭게 설정하는게 좋을까요? 물론 구체적인 값은 트래픽을 예상해서 설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클러스터의 Failover도 장애로 감지하고 OPEN으로 여는게 좋을지 아니면 Failover는 CLOSE 상태로 넘어갈 수 있도록 여유롭게 설정하는게 좋을지 입니다!아직 실무 경험이 없기도 하고 주변에 의견을 구할수가 없어서 현업자의 입장에서 강사님이라면 어떻게 구성하실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혼자 고민해본 부분이다 보니 제가 생각하는 방식이 틀렸다면 피드백 주시면 감사합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로드맵 이수 이후 공부 방향성
안녕하세요. 현재 자바 공부 중이고, 이후 김영한 강사님의 자바 스프링 완전 정복 시리즈 로드맵을 이수할 계획입니다.개인적으로 공부하다보니 공부 계획을 정할때 공부할 과목과 순서도 잘 모르겠고, 얼마나 깊이 공부해야 할지도 감이 안와 고민이 많습니다.일단 저의 1차적인 공부 목표는 다른 분들처럼 개인 또는 팀 프로젝트에 백엔드 개발자로 참여할 수 있는 수준의 지식을 쌓는 것입니다.해당 스프링 로드맵 이수를 하고 나면 프로젝트에 지원해도 될까요? 만약 아니라면 이후에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데이터베이스, API 등은 로드맵에 포함이 안되어있나요? 개인적으로 찾아보고 알아보기도 했지만, 용어들이 대체로 생소하다보니 어렵습니다.. 쓰고 보니 질문에 무지함이 드러나는 것 같아 부끄럽고 죄송하지만 막막한 마음에 일단 여쭤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사내에서 Kotlin 으로 전환하면서 ORM 기술 선택에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사님의 코틀린 기본강의를 수강후 해당 강의도 이제 거의 다 들어갑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이렇게 좋은 강의를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현재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 자바-스프링 기반의 프로젝트를 코틀린-스프링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기술들을 선택하는 과정가운데 있는데요, ORM 기술을 어떤것을 쓸지 고민중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자바-스프링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현재 듣는 강의와 같이 Spring Data Jpa 와 Querydsl 을 함께 썼었고 익숙했는데요.. 문제는 Querydsl 이 2021년 이후로 업데이트가 없다는 점입니다. 팀 내에서도 그 문제로 인해서 여러가지 고민을 가지고 있는데요... Querydsl 을 사용할지 Exposed 를 사용할지 아니면 jdsl 을 사용할지 고민중에 있습니다. 현재 저희는 Springboot 3.x 로 올리면서 앞으로도 계속 기술을 최신화 하면서 유지할 생각인데요, querydsl 이 릴리즈가 지속되지 않는 점이 가장 걸리고, 앞으로의 대응도 어려울것같아서 기술 선택에 많은 고민을 하고있습니다.. 강사님께서도 실무에서 개발을 하고 계시는 분이시고, 코틀린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계시는 분이시기에 여쭙고 싶었습니다. 어떤 기술을 선택해서 사용하고 계시는지, 만약 Querydsl 을 계속 사용하고 계시다면 실무에서 문제없이 사용중이신지.. 아니면 다른 기술을 사용중이신지 (혹은 현재는 querydsl 이지만 다른 기술로의 전환을 고민중이신지) 궁금합니다!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그러면 API를 개발할 때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이번 API 개발 고급 - 컬렉션 조회 최적화를 쭉 들으면서 생긴 고민입니다.V1 ~ V3 까지의 각각의 명확한 차이점과 최적화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왜 이렇게 사용하는지에 대략적으로 이해하였습니다. 반면에 V4, V5, V6의 경우 DTO를 직접 조회를 통해 쿼리문의 간소화를 진행시키는 방법으로 최적화를 진행하는 것에 배웠는데 질문 1) 최종적인 실무에서는 V3.1의 fetch join 방식과 DTO를 통해 최소한의 쿼리 줄이는 방식 중 어느 것이 더 대중화된 방식인지 궁금합니다.질문 2) 명확히 정해진 방식이 없다면 어느 부분에서는 fetch join 방식이 유용한지 dto 방식이 유용한지 아직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관련 지식을 학습할만한 검색 키워드를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선택에 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김영한 강사님.저는 ruby로 백앤드 개발 2년 ~3년 정도 하였습니다.이번에 java + spring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어서 학습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강사님이 정말로 친절하게 로드맵을 제시해 주셨지만 저는 조금 와닿지는 않았습니다. (로드맵이 안좋다는 뜻이 아닙니다 !!!!)와닿지 않은 이유는 초보자라고 가정되어서 로드맵이 시작되기 떄문입니다. 그래서 타 프레임워크로 백앤드 개발을 한 사람을 위한 로드맵은 어떻게 될까요?추가로 신규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spring 기술스택을 채택하나요? 제가 서칭한 결과 JPA + Spring boot는 기본이라고 하는데 주변에 현업 스프링 개발자가 없어서 확실한 정보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코틀린을 도입하는 추세라는 건 맞는거 같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DB 접근 기술 관련 고민
안녕하세요 먼저 저는 아직 대학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천천히 공부를 하는 단계입니다.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이론과 간단한 SQL 문은 짤 줄 아는 상태에서 이제 DB 접근 기술 공부를 하려는데JPA, SPRING DATA JPA 이전에 먼저 JDBC를 어느 정도 잘 다루고 싶은데 순수 JDBC는 영한님 말씀대로 가볍게 역사 공부 느낌으로만 듣고 넘기고 바로 JDBC TEMPLATE으로 입문을 진행하여도 상관이 없을까요?순수 JDBC는 지금 시점에서는 배울 필요가 크게 없는지.. 아니면 JDBC TEMPLATE 앞서 배우고 가는 것이 정석적인지 궁금합니다.
-
스프링부트 JUnit 테스트 - 시큐리티를 활용한 Bank 애플리케이션
Junit mock 환경 테스트
혼자Junit 독학할때는 @SpringbootTest 띄어두고 테스트해서 mock 환경은 쫌 어렵게 느껴지는데 Junit 디테일하게 공부할려면 어떤책보는게 나을까요 ? 선생님강의랑 같이 병행해서 할려구요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진로 방향성 고민
친구 프론트엔드, 저 백엔드 이렇게 해서 간단한 웹페이지 만들어 보려하는데, 현재 저의 백엔드지식은 아예 없다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첫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공부해보려 하는데 백엔드 지식이 너무 방대하고 뭐 부터 해야 할지 몰라 막막합니다. 서로 프엔, 백엔 체험해보는식으로 만드는거라 깊게 공부는 하지않고 일단 만들어보면서 흥미를 느껴보려 하는데 조언좀 주실 수 있을까요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목록을 보는 회차에서 zipcode가 안불러와지는 이유가..?
앞선 수강생처럼 Whitelabel Error PageThis application has no explicit mapping for /error, so you are seeing this as a fallback.Mon Oct 30 21:40:32 KST 2023There was an unexpected error (type=Internal Server Error, status=500).An error happened during template parsing (template: "class path resource [templates/members/memberList.html]")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InputException: An error happened during template parsing (template: "class path resource [templates/members/memberList.html]") 여기서 zipcode받는 부분을 html부분에서 빼고 받지 않으면 실행이 됩니다. 그런데 zipcode를 받는 부분이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계속 검토중이긴 합니다만..혹여나아시는게 있을까 싶어서..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김영한 강사님 죄송합니다.
삭제된 글입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마지막 부분 preferences 찾으시는분(최근 intelliJ 설치한분?)
오른쪽 상단에 설정 톱니바퀴 누르시면 나옴. ㅎㅎ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extmate bundles for javascript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
(사진)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dbcTemplate, JPA
JPA 로드맵의 JPA를 제대로 학습하려면 스프링 로드맵 DB 접근기술에 있는 jdbcTemplate 관련 강의를 꼭 봐야할까요?
-
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깃에 공부한거 정리하며 올리는중인데
어떤식으로 출처를 남기면 좋을까요??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질문
임녕하세여 질문잇습니다쌤이 밀하시길 단방향으로 설계를 하는게 좋다고랫는데 주문 과 주문아이템은 양방향으로 하신이유가잇을까요??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