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ykm8864

[인프런 워밍업 클럽 백엔드 프로젝트 스터디 3기] 3주차 발자국

4주차 발자국입니다. 공통 예외 처리 및 응답 구조 설계AdminException과 @RestControllerAdvice를 활용한 공통 예외 처리 구현ApiResponse<T> 클래스를 통한 일관된 응답 메시지 제공  Form 및 Table DTO 설계FormElementDTO를 상속받은 다양한 Form 요소 구현 (Text, Date, Select)TableDTO로 서버에서 테이블 구조와 데이터를 내려주는 방식 Interceptor 및 동적 메뉴 구성AdminInterceptor를 활용하여 메뉴 동적 렌더링 구현대메뉴(MenuDTO)와 소메뉴(PageDTO) 구조 설계 및 사이드바 연동 조회 페이지 개발 (연관관계 유무 구분)연관관계 없는 테이블 (e.g., Link, Skill)연관관계 있는 테이블 (e.g., Project-Detail, Experience-Detail)복잡한 구조에 맞춘 TableDTO.from() 사용법 숙지 삽입 및 수정 API 개발@Validated, @NotBlank, @Positive 등을 활용한 Form 유효성 검증연관관계에 따라 다양한 save/update 로직 분기 처리JPA의 더티 체킹을 이해하고, 적절히 save() 호출 생략 뷰 개발 및 템플릿 구조화부트스트랩 템플릿 적용 (BootstrapMade)th:fragment를 활용한 HTML fragment 분리템플릿 관리 편의성 향상Keep(잘한 점)실무에서 vo와 dto의 개념이 혼동되어 쓰이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보았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FormElementDTO와 TableDTO를 도입해, 프론트-백 간 협업에서 구조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했다.Interceptor로 메뉴를 동적으로 설정하고, 뷰에서 자동 렌더링되도록 만든 구조는 앞으로 다양한 관리 페이지에서 재사용 가능한 점에 대한 이해했다.@RestControllerAdvice 기반의 예외 처리로 서비스 전반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식을 이해했다.연관관계에 따른 테이블 구성 방식을 정리하며 도메인 간 설계가 훨씬 명확해짐을 이해했다.Problem(아쉬운 점)리플렉션 사용에 대한 성능 이슈에 대하여 명백한 근거를 잘 모르겠던 부분이 있어서 추가 학습이 필요해보인다.연관관계가 복잡한 엔티티일수록 form → entity 매핑이 반복되며 번거로운 거 같은데 지식이 부족한 거 같다. Try(다음에 시도해볼 점)interceptor 외에 AOP를 활용한 공통 관심사 처리를 구현해보려고 한다.예외 응답에 error code 및 field 정보 추가하여 클라이언트 UX 향상시키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내가 다니는 회사에서는 admin화면이 존재하지 않아 익숙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는데 학습을 진행한 후에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생각이 더더욱 들었다. 관리자 화면과 클라이언트 화면은 어떠한 차이를 가져야하는지 더 실무적으로 경험해보고 싶었다.

백엔드백엔드백엔드프로젝트워밍업클럽3기

ykm8864

[인프런 워밍업 클럽 백엔드 프로젝트 스터디 3기] 1주차 발자국

학습 내용스프링, jpa, 코틀린을 통해 나만의 포토폴리오 등록 사이트를 개발해보는 첫 발자국입니다.실습 전 이론 학습이 강의의 가장 좋은 점이다. 기초적인 지식을 먼저 학습한 다음 실습을 접할 수 있어 지식의 공백이 생기지 않는다.물론 이미 아는 부분이 많아 가볍게 들었지만 잘하는 개발자 분들을 보면 같은 지식을 본인만의 쉬운 언어로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잘 알려주시는 경향이 있다. 이번에도 그러한 점을 느꼈다.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프로젝트 패키지를 나눌 때 였다. 개인적으로 DDD를 학습 한 후로 이상하게 프로젝트 패키지를 나누는 행위가 이전보다 더 부담스럽고 생각이 많아지곤 했다. 하지만 강사님이 프로젝트 패키지를 나누면서 어떤 생각을 하셨고 어떠한 근거로 이렇게 나눴다 라는 말씀을 듣고 DDD원칙에 완전히 준수한 패키지 구성은 아니였지만 꼭 DDD에 걸맞게 패키지를 구성하는게 옳은 것은 아니구나, 역시 은탄환은 없구나 라는 것을 한번 더 느끼며 흥미롭게 시작했다. 테이블 설계역시 프로젝트의 시작은 테이블 설계이다. N:M 관계를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학습해보자.대표적으로 프로젝트 테이블을 봐보자.(1) project <-> project_skill <-> skill 관계 분석현재 project_skill 테이블에는 다음 컬럼이 있다.project_id (FK) -> project의 project_id를 참조skill_id (FK) -> skill이 테이블은 다대다(N:M) 관계를 풀기 위한 "연결 테이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한 프로젝트가 여러 개의 기술(skill)을 가질 수 있고, 한 기술(skill)이 여러 개의 프로젝트에 속할 수 있는 관계이다.project_skill 테이블이 N:M 관계를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런 식으로 N:M관계를 서로 1:N , M:1로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양쪽의 PK값을 PK로 복합키로 가지고 있는 매핑 테이블이 필요하다.(2) project <-> project_detail 관계 분석project_detail 테이블에는 project_id가 FK로 존재.1:다(1:N) 관계이더. 즉, 하나의 프로젝트가 여러 개의 상세 정보를 가질 수 있음.이런 식으로 RDBMS에 대하여 어떻게 관계를 형성할 것인지 사전에 정확하게 설계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테이블은 운영 상에 정보를 바꾸는 것이 제약이 크기 때문에 신중하자. 깃과 친해지기깃 명령어는 빠르고 간결하게 내가 원하는 실행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에 앞서 IDE에서 제공해주는 기본 GUI기능을 알아봤다.현재 깃 브랜치 정보 보는법View > Tool Windows > Git브랜치 이름 rename하는 법깃허브에 내 프로젝트를 올려두는 법Git > Manage Remote > 팝업창에 git url 입력 후 okcommit 친 것을 push 하는 법아까 View > Tool Windows > Git를 통해 인텔리 제이 하단에 뜬 브랜치 정보 우클릭 하고 push최종!!깃허브 화면 리프래쉬 해보면 프로젝트 올라감을 확인 가능엔티티 추출하기데이터베이스 설계한 내용을 토대로 jpa 엔티티 규격에 맞게 엔티티를 설계 했다.이 내용은 기본적인 jpa지식이 탑재된 내용이라 이론 정리는 생략하였다.미션깃 프로젝트 생성하기앞선 과정을 통해 깃레포트지로리를 작성했습니다.테이블 설계하기1:N 관계의 erp 시스템에 대한 편성된 예산에 대하여 지출하는 프로세스를 설계했습니다. 1주차 회고Keep (만족했고, 앞으로도 지속하고 싶은 부분)기초베이스가 역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발을 하다보면 누군가는 되게 짧은 시간에 배우고 잘 하는 사람을 볼 수 있다. 그럴 떄 조급함을 느끼곤 했는데 그 사람의 과거 인생을 봐볼 필요가 있다. 짧은 시간이 단 3개월이라고 치면 그 사람은 짧은 시간 만에 배운게 아닌 지난 몇 년의 경험에 3개월의 지식을 얹었을 거라는 것이다. 개발은 3개월 배웠겠지만 개발자적인 사고방식을 10년했을 수도 있다는 것. 결국 이러한 기초지식이 모여서 나의 체급을 올려야 하는 점을 배운 부분에 만족한다. 전체적인 설계 및 개발 지식을 더 단단하게 배운 거 같아 벌써 앞으로의 여정이 기대됩니다.Problem (아쉬웠던 점)코틀린이라는 언어가 처음이라 다소 익숙하지 않은 문법들이 있다. 결국 자바와 하고 싶은 게 똑같다 보니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는 않지만 코틀린 특유의 문법을 좀 더 깊게 이해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Try (다음에 시도해볼 점)테이블 구조를 보고 올바른 테이블 설계인지 아닌지를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결국 테이블 설계는 엔티티 설계에 영향을 주게 되고 프로젝트 전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다보니 중요한 요소인 거 같다.

백엔드코틀린워밍업클럽3기백엔드프로젝트

LIMC

[인프런워밍업클럽3기] 백엔드프로젝트 발자국 1주차

항상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초기 세팅이 어려운 것 같다.처음 사용하는 툴과 언어로 많이 헤맸다.. ✔강의이번 주 강의 진도 : 섹션 1~3 엔티티개발기본 개념들과 개발 환경 구성, 프로젝트 생성을 했다.최근에 했던 유니티는 폴더만 넣고 깃 연동이 바로 되었는데 .gitignore파일도 수정해야하고 따로 VCS(버전관리시스템)에 추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entity 패키지테이블은 entity 패키지 안에 클래스로 생성하고 테이블의 각 컬럼은 엔티티의 필드가 된다.repository 패키지데이터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레이어(쿼리를 보냄) 사실 아직 클래스에 관해서는 다 이해하지 못했다.. 그냥 따라 적기.. 클래스 작성 중 위와 같은 오류들이 생겼는데 어노테이션 작성 시 자동 완성이 다른 패키지를 사용하는 걸로 들어가서 그런 것이였다. ✔미션이번 주 미션 진도 : 미션 1~2미션 1) 깃허브 리포지토리에 프로젝트 올리기미션 주제를 뭘로 할까 고민하다가 온라인 쇼핑몰 주문 관리 시스템으로 정했다.https://github.com/PO0OH/storevibe/commit/f8e5b96ea93dc308ebc2d426ab8625a1aa9e2ff1 미션 2) 테이블 설계하기ERD - https://www.erdcloud.com/ 사용테이블 연결 시키면 fk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줄 모르고 컬럼에 다 입력했다가 삭제했다ㅎ..https://github.com/PO0OH/storevibe/blob/main/README.md 

백엔드인프런워밍업클럽3기발자국백엔드프로젝트

vin

[인프런 워밍업 클럽 BE 2기] 백엔드 프로젝트 - 4주차 발자국

마지막 주차인 4주차는 지금까지 개발한 어디민 페이지의 뷰를 개발하였고, 스프링 시큐리티를 이용한 로그인 개발, 로그 저장 등의 기능을 구현 하였다. 프로젝트를 마무리 짓고 최종적으로 docker와 구글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배포를 하였다. 어드민 화면 개발 1부트스트랩 템플릿 적용 시 코드 분석 및 TODO 체크 기능 해제: 부트스트랩 템플릿을 사용해 UI를 구성할 때 코드 변경 사항이 많아 analyze code와 check TODO 기능이 오래 걸려, 이를 해제하여 커밋 및 푸시 시간을 줄임.사이드바 개발에서 th:classappend, th:attr data-bs-target, th:classappend show 사용: Thymeleaf의 th:classappend를 이용해 동적으로 클래스를 추가하고, th:attr을 통해 부트스트랩의 data-bs-target 속성을 설정하여 UI 요소를 제어함. show 클래스를 사용해 사이드바를 열고 닫는 동작을 구현.뷰 레이아웃 개발 및 테이블 페이지(Table) 구현: HTML 템플릿에서 레이아웃을 설계하고, 데이터가 표시될 테이블 형태의 페이지를 구성. 이를 통해 표 형태로 데이터를 보기 쉽게 표시./*<![CDATA[*/ 구문 사용과 [[${pageName}]] 바인딩: Thymeleaf에서 스크립트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CDATA 구문을 사용하고, ${pageName}을 통해 페이지 이름을 동적으로 바인딩하여 화면에 표시.테이블 아이디 tableName 설정: HTML에서 테이블을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를 tableName으로 설정하여 JavaScript 등에서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함. 어드민 화면 개발 2테이블 페이지(Form) 개발: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출할 수 있는 Form 페이지를 구성. 입력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함.onsubmit : Form이 제출되기 전에 특정 JavaScript 함수를 실행하여 데이터를 검증하거나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이벤트.대시보드와 로그인 기능 개발스프링 시큐리티를 이용한 로그인 개발: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시큐리티 모듈을 사용해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를 구현. 안전한 로그인 기능을 제공.패스워드 인코더 및 필터 체인 개발: 패스워드 보안을 위해 PasswordEncoder를 사용해 비밀번호를 암호화하고, 인증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필터 체인을 설정함.AntPathRequestMatcher 사용: 특정 URL 경로와 HTTP 메서드에 대해 시큐리티 필터링을 설정하는 데 사용. 로그아웃 등의 특정 경로에 대해 시큐리티를 설정할 때 유용함.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프로젝트 배포Docker로 MySQL 실행 및 컨테이너 설정: Docker 이미지를 사용해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필요한 포트와 환경 변수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ports, command, volumes 설정:ports: 호스트와 컨테이너 간의 포트를 매핑하여 외부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command: 컨테이너가 시작될 때 실행할 명령어를 정의. 예를 들어, MySQL의 문자 집합을 설정하는 명령어를 추가.volumes: 컨테이너의 데이터가 호스트에 영구적으로 저장되도록 설정하여 컨테이너 재시작 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함.프로젝트 컨테이너 설정 및 depends_on 사용: Spring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컨테이너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를 설정하고, depends_on을 통해 MySQL이 먼저 실행된 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순서를 지정.호스트 포트 (Host Port):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포트입니다. 예를 들어, 3306:3306에서 앞의 3306이 호스트 포트입니다. 이는 Docker를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접근 가능한 포트 번호를 의미합니다. 다른 컴퓨터나 서버에서 이 호스트의 IP 주소와 포트를 사용하여 Docker 컨테이너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컨테이너 포트 (Container Port): 컨테이너 내부에서 서비스가 실행되는 포트입니다. 3306:3306에서 뒤의 3306이 컨테이너 포트입니다. 이는 컨테이너 내부에서 MySQL 서비스가 동작하는 포트를 의미합니다. 컨테이너 내의 애플리케이션은 이 포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합니다.Docker로 프로젝트 빌드Google Cloud Platform에서 Compute Engine 인스턴스 생성: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가상 머신을 생성하여, Docker 컨테이너를 실행할 환경을 제공.도커 허브로 푸시 시 커맨드로 진행: Docker Desktop에서 푸시 시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명령어를 사용하여 직접 푸시.Compute Engine에서 도커 컨테이너 실행: Google Cloud에서 생성한 인스턴스에 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운영.메모리 스왑 설정 및 Nginx 사용: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스왑을 설정하고, Nginx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의 로드 밸런싱 및 리버스 프록시 역할을 설정.도메인 연결 및 HTTPS 적용: 애플리케이션에 도메인을 연결하고 SSL 인증서를 적용하여 HTTPS를 통해 안전하게 서비스.[미션 6] MySQL에 내 데이터 넣기문제 상황: Docker로 실행한 MySQL과 DBeaver에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달랐음.원인: 과거 MariaDB 사용 이력이 있어, MariaDB와 MySQL이 서로 다른 포트로 연결되어 데이터가 불일치.DBeaver에서는 MariaDB에 연결되고, Docker에서는 MySQL에 연결되는 상황 발생.해결 방법: MariaDB의 서비스를 중단하여 MySQL만 실행되도록 설정하여 문제를 해결.[미션 7] 내 포트폴리오 도메인 공유하기문제 상황: Google Cloud Compute Engine에서 Docker Hub의 이미지를 pull하려 했으나, Docker push가 되지 않아 pull이 실패.원인: Docker Desktop 4.3.3 버전 이후로, Docker Desktop을 통한 push에서 오류 발생.해결 방법: Docker Desktop 대신 명령어를 사용해 push하여 문제를 해결.

웹 개발워밍업클럽백엔드프로젝트웹개발백엔드

vin 2024.10.27
vin

[인프런 워밍업 클럽 BE 2기] 백엔드 프로젝트 - 3주차 발자국

이번 주차에서는 포트폴리오 사이트 화면과 어드민 기능을 개발하며, 사이트의 삽입, 수정, 조회 API 구현과 인터셉터 설정을 완료하였다. 타임리프와 부트스트랩을 활용한 뷰 템플릿 구성, 데이터 처리, 예외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학습하며 웹 개발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포트폴리오 사이트 화면 개발하기 1RestController와 Controller의 차이점RestController: JSON 데이터를 반환하며, 주로 RESTful API를 구현할 때 사용. HTML 뷰 템플릿을 반환하지 않음.Controller: HTML 등 뷰 템플릿을 반환하기 위해 사용.부트스트랩과 타임리프 프래그먼트 사용부트스트랩 템플릿 적용: 부트스트랩 사이트에서 템플릿을 다운로드하여 프로젝트에 적용.타임리프 프래그먼트 사용: head, footer, navigation 등의 공통 영역을 분리하여 프래그먼트로 구성.th:fragment: 프래그먼트의 이름을 지정해 원하는 곳에서 재사용.th:replace: 프래그먼트를 뷰 파일에 포함할 때 사용.타임리프 문법 활용th:each: 컨트롤러에서 전달된 모델 데이터를 반복하여 출력.th:text: 서버 데이터를 HTML 요소에 텍스트로 삽입.target="_blank": 링크 클릭 시 새 탭에서 열리도록 설정.포트폴리오 사이트 화면 개발하기 2동적 콘텐츠와 레이아웃 처리th:fragment에 파라미터 전달: 프래그먼트에 파라미터를 전달해 동적 콘텐츠를 처리.th:block 사용 이유: 불필요한 태그 없이 블록을 형성해 th:each와 조건부 렌더링(th:if)을 함께 사용하기 위함.d-inline 태그: 인라인 요소로 배치하여 레이아웃 조정을 쉽게 함.레이아웃 작업: 공통 레이아웃을 th:fragment로 정의해, 수정 시 모든 페이지에 자동 반영되도록 구성.인터셉터의 역할과 설정인터셉터: 컨트롤러보다 앞단에서 동작하며, 여러 컨트롤러의 요청을 잡아 공통적인 처리를 수행.addInterceptors 오버라이딩: WebMvcConfigurer에서 인터셉터를 등록할 때 사용.모든 경로를 대상으로 하며, 정적 자원 경로(CSS, JS 등)는 제외.presentationInterceptor의 HandlerInterceptor 추가:preHandle: 컨트롤러에 도달하기 전 실행.postHandle: 컨트롤러의 응답 후 실행되나, 예외가 발생하면 동작하지 않음.afterCompletion: 예외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실행.HttpInterface 사용: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집해 기록.어드민 공통 기능 개발하기클래스 생성 및 관리admin 패키지: 컨트롤러, 데이터 처리, 예외 처리, 인터셉터, 보안 관련 클래스를 구성.예외 처리와 로깅Throwable: 모든 오류의 최상위 클래스.Error: 복구할 수 없는 오류.Exception: 애플리케이션이 복구 가능한 오류.Checked Exception: 컴파일 시점에 예외가 검출됨.Unchecked Exception: 런타임 시점에 발생.ControllerAdvice: 인터셉터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예외 처리를 담당.@ExceptionHandler: 특정 예외를 처리하는 메소드.Logger 사용: LoggerFactory.getLogger를 활용해 로그를 기록.DTO 개발companion object: 클래스 내부에서 정적 메소드와 변수를 정의할 때 사용.vararg: 가변 인자를 받아 여러 파라미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filterings: 데이터에서 제외할 필드를 관리.classInfo: 클래스의 메타데이터와 정보를 담음.인터셉터 추가postHandle 오버라이딩: 메뉴 데이터를 modelAndView에 추가해 특정 페이지에 전달.addInterceptors 설정: admin 경로에 인터셉터를 추가하며, 정적 자원(CSS, JS 등)은 제외.데이터 조회 기능 개발하기조회 기능 구현context 패키지: 화면과 관련된 설정을 서버에서 관리.orElseThrow: 데이터가 없을 경우 예외를 발생.@field: 필드 유효성 검사를 수행.@PathVariable: 경로 변수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RequestBody: 요청 본문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Validated: 입력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데이터 삽입, 수정, 삭제 기능 개발하기DTO와 데이터 처리form 패키지: DTO 역할을 하는 클래스들을 생성해 데이터 전달에 활용.ifPresent 사용ifPresent: 값이 존재할 때만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미션4] 조회 REST API 만들기이번 미션에서는 제품, 브랜드, 카테고리, 재고에 대한 조회 API를 개발하고, 각 경로(/api/products, /api/brands, /api/categories, /api/stocks)에 대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다.이번 미션에서는 조회 API 개발 및 테스트 코드 작성을 통해 RESTful API의 기본 구조를 익히고, Null 처리와 영속성 관리를 경험하였다. 특히 **?.let {}**과 ?: 엘비스 연산자를 활용해 null-safe한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익혔으며, 서비스 계층 분리를 통해 더 효율적인 설계를 계획하게 되었다.ProductDTO에서 발생한 Null 처리 이슈와 해결조회 API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ProductDTO 내의 brand와 category가 null일 경우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let {} 구문을 사용해 null-safe하게 처리하였다.?.let {}의 역할?.let {}: 객체가 null이 아닐 때만 코드 블록 내부를 실행한다.예시:brand = product.brand?.let { BrandDTO(it) }product.brand가 null이 아닐 경우에만 BrandDTO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실행되지 않음.엘비스 연산자(?:) 사용조회 로직에서는 **엘비스 연산자 ?:**를 사용하여, 값이 null일 경우 대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연산자: 왼쪽의 값이 null이면 오른쪽 값을 반환한다. product = stock.product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제품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만약 stock.product가 null이면 IllegalArgumentException을 던지도록 처리.영속성 설정: Cascade = PERSIST재고와 관련된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해, cascade = PERSIST 옵션을 사용하였다. 이 설정은 엔티티가 함께 영속화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이를 통해 테스트 코드가 문제없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다.재고 수량 설정과 서비스 계층 분리 계획현재 재고 테이블의 재고 수량(stockCount) 설정은 Stock 엔티티의 메서드를 통해 처리하고 있다.하지만, 이 로직을 추후 삽입 및 수정 API에서 더 깔끔하게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계층으로 분리할 계획이다.

웹 개발백엔드워밍업클럽백엔드프로젝트웹개발

vin 2024.10.20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