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교육 인공지능 개발자가 1인분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안녕하세요 재주스 (안재주) 입니다.
본 포스팅은 <2023년 10월 21일>에 진행한 멘토링 중 '신업/주니어 연구개발자'가 흔히 갖는 고민에 대한 내용입니다.
여러분도 비슷한 상황이시라면 제가 추천드리는 솔루션을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멘티 개인상황
학력/경력
학과 : 학사 ( 생활과학 관련 학과 )
인공지능 국비교육 ( 실습위주 부트캠프 참여 )
23년 하반기부터 AI 연구원으로 근무
자격증/어학/수상내역
ADsP
Tensorflow Certificate
AI 경진대회 참여
기술스택
OpenCV, Visualization
Python, Pytorch, Tensorflow
메인 고민
아이디어가 현실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 조차 감 잡기가 어렵고, 솔루션을 생각할때 단편적인 생각만 들어서 이미 선임분들의 스쳐지나간 아이디어일 경우가 많습니다
솔루션 일부 중 '개인상황분석'
이번 멘티는 전혀 다른 학과출신으로 국비교육을 통해서 공부를 시작했으며 성공적으로 'ML 엔지니어'로 취업을 했습니다.
취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내에서 맡는 역할에 한계가 분명했고 1인분을 해내지 못해내고 있는 상황이였습니다.
저는 이러한 상황을 전반적으로 Basic-Level에 갇혀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Basic-Level은 시중에 나와있는 책이나 강의를 읽고 공부해본 수준이 아닙니다.
공부하고 '작은 수준'의 문제를 해결해본 사람부터 Basic-Level로 생각합니다.
Basic-Level : 인공지능의 전반적인 개요와 간단한 코딩을 통해 개념을 적용 해본 정도
개념을 적용 해본 정도 : 기 구축된 데이터셋 or 스스로 구축한 데이터셋을 갖고 프로젝트를 진행한 수준
현재 회사에서 수행하는 역할이 단순지식노동에 가깝다고 생각이듭니다.
GPT가 생성한 코드/기존의 코드를 가져와서 활용하는데 시간이 많이걸림
가끔은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함
현재는 [탄탄한 이론에 근거한 코딩실력] + [데이터 사이언스에 필요한 코딩실력] 을 쌓는것이 옳아보입니다.
이론에 근거한 기초 자료구조의 구현연습→ [Stack, Queue, …]
이론에 근거한 ML 함수 구현 → 이미지 Flipping, Stacking, Keras의 전처리 기능수행 코드들
데이터 사이언스에 필요한 코딩실력 → 통계학, 인공지능 간단이론들 Numpy로 구현
위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에서 대학원 학업계획서, 연구태도 등 다양한 얘기를 다루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