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 프로덕트 디자인 (Figma)] 4주차 발자국](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21b6df34-aeea-4984-afd5-8d5891947af5/워밍업 썸네일.png)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 프로덕트 디자인 (Figma)] 4주차 발자국
진행 기간: 4주차(20250323-20250330)
진행 강의:
[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학습 내용
네비게이션 컴포넌트, 모드 활용(다크모드, 통합 브랜드 구현, 반응형 디자인, 다중언어)
컴포넌트 부분에서는 마지막인 네비게이션 관련 부분을 학습하였습니다.
링크, 탭, 바텀 네비게이션, 사이드 네비게이션, 글로벌 네비게이션, 페이지네이션, 케러셀
네비게이션 컴포넌트는 어떻게 보면 제일 많이 쓰이는 중요한 요소일 수 있는데,
개발자 입장에서는 제일 구현을 안하는 요소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전부 라이브러리로 가져다 쓰는 부분이 많아서, 원리만 생각하고 많이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
이번에 네비게이션 컴포넌트를 배우면서 개발 원리를 배우지는 않았지만 "실제로 구현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과 라이브러리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차별화 된 디자인적 요소"를 반영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드 활용 부분을 진행하면서 실제로 개발을 해보지 않고도 많은 시나리오를 미리 계획할 수 있고, 테스트 해 볼 수 생각이 들었습니다.
브랜드 통합 부분에서는 기본 UX 요소를 배리어블과 모드를 통해서 쉽게 전환이 가능했습니다.
모드를 활용하면 개발 전에 여러 디바이스 들을 대응하기가 매우 용이하였습니다.
언어의 경우에도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 어느 정도는 시나리오를 테스트 할 수 있었습니다.
B2B 어드민, B2C 이러닝, 모바일 OTT 앱
이 부분은 앞에서 왜 열심히 컴포넌트를 만들고 모드를 활용하는 법을 배웠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실습 위주의 파트였습니다. 또한, 실제 피그마를 사용하는 시나리오와 제일 유사한 환경이기도 하였습니다.
이 파트는 워밍업 클럽을 하지 않더라도 꼭 진행을 스스로 해봐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 파트였습니다.
컴포넌트, 파운데이션 등을 미리 정확히 준비해 놓고 화면을 구성하는 것과 아닌 것이 엄청나게 많이 차이났기 때문입니다.
강의를 듣기 전에 앱 디자인을 했을 때, 딱 이 강의의 반대로 했기 때문에 UX 구현시에 많은 시간을 소모했었습니다.
강의 수강 이후로는 앱을 빠르게 디자인 하고, 다른 부분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파트는 뒤로 갈수록 개인적으로 난이도가 쉬워졌습니다.
여러 페이지를 만들면서 중복된 요소들이 등장하고 만드는 법이나 스스로의 노하우가 늘어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주차 및 강의와 활동을 마치며
중간 점검 미팅에서 선생님은 디자이너로서 개발을 해보면 내 프로덕트에서 더 디자인이 나아질 부분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신다고 하셨는데, 저는 반대로 UX구현을 좀 더 체계적으로 진행하면서 개발자로서는 부족하지 않지만, 사용자로서는 부족했을 요소들, 실제로는 그렇게 개발하면 안되는 요소들을 많이 찾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모든지 쉽게 할 수 있는 AI 시대에 스스로의 생각으로는 개발자, 기획, 디자인의 끝은 만류귀종으로 "개인의 경쟁력" 하나로 귀결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팅에서 말씀하셨던 것처럼 개개인의 주요 전공과 더불어, 노하우와 제품을 보는 눈과 같은 "개인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앱이나 웹 등을 개발하거나 디자인을 하더라도, 나만의 요소(디자인 시스템, 기술적인 구현, 참신한 아이디어 등)에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서 스스로의 작은 기획과 테스트를 여러 번 진행 하고 실제 출시 시에는 완성도가 높고 성장성이 높은 프로덕트를 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실제로 그렇게 해보려고 합니다.
워밍업 클럽을 하기 전에는 사실 이 많은 부분을 다 할 수 있을까 생각이 많이 들었지만 2가지 요소 덕분에 완강 및 미션을 모두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강의에서 처음 피그마를 하는 사람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고 친절하게, 또 실제 구현시에 노하우를 숨김 없이 알려주십니다.
워밍업 특성상 타임 리밋이 있다는 점이 집중도를 매우 높일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강의를 듣기 전과 들은 후가 스스로에게 있어 많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특히 전체적인 프로덕트를 보는 눈이 넓어졌고, 개발자지만 막상 앱을 구현하라고 하면 막막한데, 이제는 구현이 가능하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개발자의 경우에는 지엽적으로 개발하는 경우가 많고, 전체적인 맥락을 모르고 개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강의를 듣고 실습을 실제로 진행한다면 전체 프로세스를 보는 눈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며 꼭 강의를 들어 보시고 실습도 해보시기를 추천 합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