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조훈(Hoon Jo)
쿠버네티스(☸)를 정말 시작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 이 강의를 통해 쿠버네티스를 가장 손쉽게 구조를 이해하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초급
Kubernetes, Docker
앤서블을 통해서 다양한 환경(리눅스🐧, 윈도우📱 그리고 네트워크📶 시스템)을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워봅시다. 🥇 이를 통해 다양한 시스템을 앤서블로 통일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성한 앤서블 코드를 고도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즉 보다 효과적으로 빠르게🏃 동작하도록 코드를 작성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앤서블을 사용한 자동화 및 구성 관리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의 실습 환경 구성
플레이북 작성 및 최적화
보안 및 성능 튜닝
실제 사례를 통한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앤서블의 최신 기능 이해
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최적의 도구 앤서블(Ansible)
💡 강의 등록 전에 알아두면 좋을 점
[기초] 에서는 앤서블의 설치와 실행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 볼 것이며,
[응용] 에서는 기초에서 살펴본 센트OS외에 다양한 시스템을 앤서블을 통해서 자동 관리하도록 구현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일원화된 관리 체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sysnet4admin/_Lecture_Ansible.adv)
[Optional] `앤서블 2.5 새로운 점`, `네트워크 실습을 위한 NX-OSv 랩 구성하기`를 다루고 있으며, 필요하신 부분인 경우에 들으시면 되는 참고 사항 수준의 내용입니다.
(https://github.com/sysnet4admin/_Lecture_Ansible.Update1)
[심화] 에서는 단순하게 작성했던 코드를 좀 더 구조적으로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만들고, 재사용할수 있도록 코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부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만들고, 성능도 높이는 부가적인 부분이지만 정말 중요한 부분을 알아볼 것입니다.
(https://github.com/sysnet4admin/_Lecture_Ansible.expert)
📣 참고 사항을 확인해주세요!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DevOps 엔지니어
시스템 관리자
네트워크 관리자
자동화 도구에 관심 있는 사람
구성 관리 및 최적화에 관심 있는 사람
12,468
명
수강생
565
개
수강평
540
개
답변
4.9
점
강의 평점
6
개
강의
Documents:
Channels:
• Github
• Youtube
시스템/네트워크 IT 벤더의 경험 이후, 메가존 GCP 클라우드 팀에서 쿠버네티스와 연관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Tech Advisor 및 Container Architecture Design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페이스북 ‘IT 인프라 엔지니어 그룹’의 운영진을 맡고 있으며, 오픈 소스 컨트리뷰터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가지고 있는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여, 인프런/유데미에서 앤서블 및 쿠버네티스에 관한 강의를 기재하고 있으며, 또한 아는 지식을 문서로 남겨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책( 『시스템/네트워크 관리자를 위한 파이썬 실무 프로그래밍』, 『우아하게 앤서블』),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길벗) 이 있고, IT 잡지에 기고문을 쓰는 활동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CNCF의 앰버서더 와 Kubestronaut 로서 쿠버네티스 및 그에 연관된 다양한 프로젝트 생태계가 더 활발하게 퍼질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체
79개 ∙ (10시간 6분)
해당 강의에서 제공:
전체
34개
4.9
34개의 수강평
수강평 7
∙
평균 평점 5.0
수강평 3
∙
평균 평점 4.7
수강평 2
∙
평균 평점 5.0
수강평 1
∙
평균 평점 5.0
수강평 9
∙
평균 평점 4.9
5
자동화 개념은 잘 모르겠네요
아 저도..kalmakish 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현재 앤서블등의 도구가 자동화라고 얘기하긴 하지만 내가 만들어야 하고 또 입력을 해줘야 동작을 하다보니..자동화라고 느껴지지 않는 것이 당연한거 같습니다. 사실 일종의 반자동화에 가까운거 같은데... IT에서 스크립트로 처리되거나 다른 사람이 만든걸 그대로 쓸 수 있어서 10번할꺼를 1번하면 자동화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동화라고 언급된 것이고 엄밀하게 따지면 반자동화가 맞습니다. 혹시 직접 작성해야 하는 것으로 인해 자동화처럼 느껴지시지 않는다면 추후에 다른 사람이 만들어둔 것들을 그냥 써서 하시는 (대표적인 예: 쿠버스프레이) 것을 체험하시면 아마 좀 더 나은 경험을 하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ㅠ ㅠ 혹시 설명이 부족하거나 자동화 개념이 더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질문 남겨주시면 다시 부가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부족한 점을 보여서 양해 말씀드립니다. ㅠ ㅠ
지식공유자님의 다른 강의를 만나보세요!
같은 분야의 다른 강의를 만나보세요!
₩69,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