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하고 싶은 앱/웹 아이디어는 있지만, 앱 서비스 기획 경험이 없어 어떻게 시작해야 될지 막막한 스타트업 대표, 단기간에 기획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은 실무자, 경력자의 기획 업무 프로세스와 노하우를 배우고 싶은 주니어 기획자 모두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Figma를 활용한 새로운 기획 방식 및 PM 17년차의 업무 스킬을 기초부터 차근차근 알려드립니다.
서비스 기획 방법론
메인 타겟 유저 정의서 작성법
서비스 메뉴 구조도(IA) 작성법
Figma 기본 기능 사용법
Figma 고급 기능 사용법
프로토타이핑
개발 기능 정의
앱/웹 서비스 기획은 파워포인트를 사용해 지금까지도 IT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파워포인트를 사용했을 때에는 기획 업무에 한계가 있습니다.
일례로 Long-Scroll의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의 긴 페이지를 PPT에 영역별로 분리해 한 장, 한 장 표현하면, '이 페이지와 다음 페이지가 같은 화면인가요?' 라는 질문이 나오고, 이로 인해 기획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이루어지 않게 되고, 디자인 업무를 진행할 때에야 비로소 화면 UI를 이해하고 기획과 디자인을 동시에 수정하게 되는 비효율을 겪고 있습니다.
Figma를 활용한 기획을 통해 이러한 비효율을 없애고 구현하고 싶은 앱/웹 아이디어, 이제 현실로 만들어 보세요!
나의 앱 / 웹 서비스 아이디어를
쉽고 직관적으로 구현하세요!
스타트업 실무자
웹/앱 아이디어는 있지만
기획 경험이 많지 않은 분
Figma 초보자
Figma의 기본 기능부터
고급 기능까지 배우고 싶은 분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
실제 Figma 사용
프로세스가 궁금한 분
내 서비스의 고객이 누구인지, 전체 구조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는 두 가지 기획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메인 타겟 유저 정의서' 강의 중
Figma의 기본 화면과 인터페이스, 핵심 기본 기능을 짚어드립니다,.
'기본 기능 사용' 강의 중
최소 기능 제품 MVP로 화면 플로우와 프로토타이핑, UI 정렬 등을 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화면 Flow 정의' 강의 중
✔ 실제 기획 시 산출해 내는 1) 메인 타겟 유저 정의서 작성, 2) 서비스 메뉴구조도 작성, 3) Figma UX/UI 작성, 4) PPT 기능 정의 등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내 아이디어 서비스 기획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의 기획자로서 실무를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Q. 비전공자도 들을 수 있는 강의인가요?
A. 네,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구성된 강의입니다.
Q. 수업 내용을 어느 수준까지 다루나요?
A. Figma 툴을 사용한 기획법의 기초부터 심화까지 다룹니다.
Q. 강의를 듣기 전 준비해야 할 것이 있나요?
A. 강의를 보며 따라할 수 있도록 개인 PC/노트북을 지참해주세요.
1. 강의 수강 후 실제 서비스 기획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수강 후 이론적으로 Figma 활용법을 습득하기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무에서 자신의 서비스를 더욱 탄탄하게 기획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 낼 수 있을 것입니다.
2. 랜딩 페이지, 배달앱 등 최근 가장 많이 기획하는 서비스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스타트업 실무자
Figma 초보자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
500
명
수강생
48
개
수강평
20
개
답변
4.3
점
강의 평점
5
개
강의
안녕하세요!
20년차 기획자에서
AI 개발자가 된 에이크입니다
저는 20년간 웹과 앱 서비스를 기획하고 PM을 해왔습니다. 늘 제가 직접 서비스를 만들고 싶었지만, 개발을 배우는 게 쉽지 않았죠.
그러다 Cursor AI를 만나고 제 삶이 바뀌었습니다. AI의 도움으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직접 경험했고, 3개월 만에 3개의 실제 서비스를 런칭했습니다.
이제는 제가 경험한 이 놀라운 변화를 여러분과 나누고 싶습니다. 기획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AI 개발의 세계, 랜딩페이지부터 차근차근 시작해보시죠.
전체
22개 ∙ (2시간 32분)
해당 강의에서 제공:
메인 타겟 유저 정의서 1부
09:32
메인 타겟 유저 정의서 2부
10:14
메인 타겟 유저 정의서 3부
12:22
서비스 메뉴 구조도 작성하기 1부
09:34
서비스 메뉴 구조도 작성하기 2부
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