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7,720원
5개월 할부 시kmin1298
2025-04-281577907안녕하세요 혹시 성능테스트를 위한 JMETER 같은 도구도 강의 중 사용하시나요? 감사합니다.!
tjdwnsdks
2025-04-101566053안녕하세요. 질문드릴게 몇가지 있는데요. 1) 저는 스프링으로는 게시판을 만들어봤고, 스프링부트로는 어떻게 돌아가는지만 아는 정도입니다. 혹시 이상태로 들어도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 2) 혹시 로그인 관련된 부분도 강의에 포함되어 있나요? 3) kafka 는 검색해보니 AWS 인것 같던데 별도로 돈을 내야 하는 서비스 인건가요?
쿠케2025-04-10409024tjdwnsdks님, 안녕하세요! 1) 의지만 있으면 충분히 따라올 수 있고, 부족한 부분은 추가 학습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강의에서는 스프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진 않고 CS 이론도 학습하며 활용하기 때문에, 강의 난의도 자체가 높습니다. 이 부분은 잘 인지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2) 로그인은 강의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강의소개에서 설명하듯이 대규모 처리와 무관하다고 판단한 부분은 생략합니다! 3) kafka는 분산 이벤트 스트리밍을 위한 플랫폼일 뿐이고, 오픈소스입니다. AWS에서 kafka를 대신 운영해주는 서비스가 있는 것입니다. 강의에서는 로컬에 Docker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별도로 비용이 들어가는 부분은 없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 주세요!
okputto
2025-03-301557777안녕하세요 무료들어보기 강의를 들어봤는데 맥북이 필요할까요? docker 등 다른 이미지 필요할때 window 로도 실습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쿠케2025-03-30406991okputto님,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은 모두 window로도 실습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발환경 세팅은 직접하셔야 합니다! 강의에서도 세팅하는 법을 일일이 설명하진 않고, 직접 찾아서 하는걸 가이드 드리고 있습니다.
엽엽
2025-03-011532369할인 계획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쿠케2025-03-01401230엽엽님, 안녕하세요! 개인적인 할인 계획은 없으나, 인프런 자체 이벤트 할인 대상에는 포함되는 강의입니다. 인프런 이벤트 기간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인프런 측에 한번 문의해보시겠어요?!
대원
2025-02-271531534안녕하세요. 취준생으로 토이프로젝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쇼핑몰을 상정하고 많은 API를 만들기보다는 고도화?를 진행했는데요. 해당 프로젝트에서 멀티모듈, 외부 API 호출에서보상트랜잭션 구현, 멱등키를 가정한 REDIS 분산락 구현 등을 컴포넌트로 뽑아내봤습니다. (많이들 하는 인덱스 개선이나 그런 것들과 같이) DB관점에서 무엇을 해결하려기보다는 Application Level에서 최대한 조정해보려고 노력했습니다. ( 사실 엄청난 복잡한 쿼리가 있지도 않은 상황이기도 하고요.) 플젝이 한 개정도여서 무엇을 하나 더 만들어볼까하다가 소재가 중요한게 아니라 고민한 내용과 깊이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흔하디 흔한) 게시판을 생각했는데요. 새로운 토이플젝에서는 스프링이벤트까지만 사용했던 것을 카프카도 적용해보고, Snowflake id 도입을 해보기도 하고.. 새롭게 안해본 것들을 도입해보려고 했는데 운좋게도 해당강의가 제가 생각했던 것이랑 목차를 보니까 너무 유사하더라구요. 마침 제가 했던 것처럼 완전 MSA 형태도 아니고요.. 혹시 위와 같은 상황에서 해당 강의가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실운영이 아니고, 취준생이 위와 같은 주제로 '대규모 트래픽 ~을 고려한 '혹은 '분산 환경 ~ 을 고려한' 과 같은 키워드로 토이플젝을 만들어보는게 충분히 어필이 되거나 도움이 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 방향이 맞나.. 싶기는 한데.. 신입이 너무 겉멋이 든거 아닌지 하고 바라볼까 싶어서 약간 자기 검열을 하게 되는 것 같고 고민이 되어서요!.. 어쩌다보니 강의 문의라기보다는 전반적 상담(?)이 된것 같은데.. 강의 주제가 너무 재밌어 보여서 듣고싶은데 금액도 그렇고.. 시간투자도 막 모든 것에 많이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니 고민이 되어 여쭤봅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쿠케2025-02-27400994대원님, 안녕하세요! 무언가 더 해보고 싶지만 무엇을 하면 좋을지 고민이 많으신 것 같은데요, 본 강의 들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 또한 말씀하신대로, 취업을 위한 개발 공부가 목적이라면, 소재가 아니라 그 깊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 소재에 대해서는 당장 취업에 주요한게 아니기도 하니깐요..! 지금 목표로 해야하는건 기획자가 아니라 개발자이기도 하고요. 복잡한 비즈니스는 회사에 들어가서도 충분히 안목 키우고 경험할 수 있습니다. 게시판은 단순하게 보이더라도, 깊이 있게 들어가면 어려운 기술도 많이 써볼 수 있고, 기획 자체에 시간을 뺏기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웹 서비스는, 형태나 명칭은 조금 달라질 수 있어도 게시판이 일반적인 요구사항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저는 실제로도 주변에 게시판부터 제대로 만들어보라고 합니다..! 아마 키워드를 보셨거나 듣다보면 아시겠지만, 기본기를 기반으로 심층적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취준생 분들 입장에서도 충분히 어필이 가능한 내용이라고 생각되고요. 특히 DB 이론에 대해서는 꽤나 깊게 들어가기도 합니다. 강의는 분산/MSA에 모든 초점이 맞춰져 있다기 보단, 병목 지점/동시성 문제/유지보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어떤 방법과 기술을 선택하여 해결해 나가는지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게시판에만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은 아니고, 잘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한다면 타 도메인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강의를 통해서 앞으로의 공부 방향을 잡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제 강의라 좋게 말하는건 당연하겠지만..! 제 강의 아니었어도 내용만큼은 많은 도움 될거라 생각해서 주변에 추천했을 것 같네요..!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 주세요!
엽엽
2025-02-171523418안녕하세요 혹시 아키텍처 구성에 Spring Cloud Config, API Gateway 혹은 쿠버네티스가 포함되어 있나요?
쿠케2025-02-17398929엽엽님, 안녕하세요! 본 강의는 애플리케이션 최적화가 중점이라, 해당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learnlearnlearn
2025-02-171523032안녕하세요 인텔리 제이 안쓰고 vscode 쓰면 막히는 부분이 많을까요? 인텔리 제이 안써봐서 vscode 로 하면서 따라갈 수 있을까요 ?
쿠케2025-02-17398850learnlearnlearn님, 안녕하세요! vscode를 충분히 잘 다루신다면, 당연히 다 따라오실 수 있습니다. 다만, vscode는 제가 잘 다룰줄 모르다보니, 강의 진행하다가 막히더라도 관련하여 제가 도움을 드리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인텔리제이 무료버전도 있다보니, 이번에 한번 경험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홍태경
2025-02-171522972안녕하세요 현재 독학으로 스프링을 갓 시작한 1인 입니다 올해 안에 해당 강의를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드는걸 목표로 하고 있으며 추 후 쿠버네티스를 배워 대용량 서비스를 컨테이너로 운영하는걸 큰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대용량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msa, 객체지향 설계며 단순 mvc 패턴으로 처리하는 것 외로 알아야 할 것들이 많이 있더라구요 이 강의를 이해하기 위해 스프링, 자바의 어느 부분을 사전에 깊게 공부 해라 라는 파트가 있을까요 ㅠㅠ
쿠케2025-02-17398849태경님, 안녕하세요! "어떤 분야에 대해 깊은 사전 지식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답변드리기가 조금 모호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강의 소개에도 언급되듯이 게시판 한번 만들어보는 흐름을 거쳐보셨으면 충분합니다! 주관적인 기준이긴 하지만, 제가 깊다고 판단한 부분은 강의에서 상세히 설명합니다. 다만, 스프링 기능이나 자바 문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다보니, 관련하여 낯선 부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능동적으로 추가 학습해나가는 자세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 주세요!
김동민
2025-02-071514734할인때 구매할지 고민중인데... 할인 쿠폰같은건 따로 못받겠죠?
쿠케2025-02-07397037김동민님, 안녕하세요! 인프런 이벤트 할인 대상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따로 자체 할인 계획은 없습니다..!
eoyeong
2025-02-061513511안녕하세요. 프로젝트가 msa로 구성되어 있는 것 같은데, msa는 현재 제 시점에는 과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msa를 강의를 통해 제대로 배울 수 있을지, 강의를 듣고 제대로 사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하지만 강의에서 다룬다고 되어 있는 대용량 데이터나 트래픽 처리, 성능 최적화 부분은 고민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msa를 적용하지 않는 모놀리식인 개인 프로젝트에서도 해당 강의에서 알려주시는 대규모 데이터와 트래픽을 어떻게 처리에 관한 내용, 성능 최적화 방법등이 도움이 될까요??
쿠케2025-02-06396783ga님, 안녕하세요! MSA를 지향하지만, MSA에 대해 깊게 들어가진 않습니다. 모놀리틱 프로젝트에서도 적용 가능한 개념을 위주로 진행됩니다! MSA가 중점은 아닙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주세요!
tjdwnsdks
2025-01-251503062아... 이 강의 난이도가 중급이라고 되어있어서 스프링만 할줄알고 부트는 처음이라 장바구니에 담아놓도 고민중이었는데 설 세일한다길래 들어왔더니... 가격이 너무 올랐네요 ㅠㅠ 혹시 별도 할인은 이제 없으시겠죠? ㅠㅠ
쿠케2025-01-25394589tjdwnsdks님, 안녕하세요! 강의 난이도나 준비 기간, 정산률 등 고려하여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죄송스럽지만 이후에 별도 할인 계획은 없습니다..! 갑작스러운 가격 인상으로 당황스럽게 해서 죄송합니다..
메이슨리
2025-01-241502208들을까 말까 고민하면서 장바구니에 넣어두었는데.. 설날쯤 되면 할인하겠지 싶기는 했는데... 이거 가격이 원래 안 이랬던거 같은데요?? ㅋㅋㅋ MSA나 이벤트소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도 많이 배울 수 있는 강의인지 궁금합니다. 책만 보면 도대체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아서 코드랑 같이 보면 좀 이해가 될까요?
쿠케2025-01-24394438메이슨리님, 안녕하세요! 갑작스레 가격이 올라있어서 당황하셨을 것 같습니다.. 강의 난이도나 준비 기간, 정산률 등 고려하여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된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MSA는 범위가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많이”라는 기준에 대해서는 모호할 수 있을 것 같네요. MSA의 이점과 어떻게 설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지 일부 힌트는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강의 소개에서도 설명하듯이 서버 구성 및 배포 전략 등 인프라 레벨은 강의에서 다루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구현 레벨에서 주로 다루게 됩니다. MSA를 채택하고 활용할 뿐이지, MSA에 대해 이론적으로 깊은 이해를 얻어내기에는 조금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 관심사 분리, 확장성, 병목 지점 해소" 이런 것들에 더 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네요. EDA로 이벤트를 활용하지만, 이벤트소싱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진 않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주세요!
자프링공부해
2025-01-241501822혹시 카프카나 도커같은거 몰라도 기초적인 부분도 배울 수 있나요?
쿠케2025-01-24394378백엔드한명이요님, 안녕하세요! 카프카, 도커 전혀 몰라도 강의에서 배우기 때문에 충분히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도커는 기초적인 수준에서 다루고, 카프카는 개발자가 필요한 수준에서 배우고 개발에 활용합니다. 물론, 개별적으로도 방대한 주제라 모든 범위를 설명하진 않으므로, 더욱 깊게 공부하는 것은 수강생분들의 몫입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 주세요!
jk s
2025-01-201493902윽 얼리버드 사려다가 못샀네요.. 커리큘럼 진짜 알차보이는 것이 인턴분들 교육용으로 넘 좋아보이네요. 혹시 강사님 자체(?) 할인 계획은 따로 있으실까요..!? 강의가 오픈된지 얼마 안되어서 이런 문의 드린다는 것이 좀 그렇지만.. 인프런 보면 가끔씩 강사분들께서 깜짝할인 인가 어떤 걸로 진행하셔서 문의 살짝 드려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쿠케2025-01-20393463jk s님, 안녕하세요! 강의에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당분간 개인적으로 할인 계획은 없습니다..! 하지만 인프런 자체 이벤트 할인 대상에는 포함되고 있어서, 아마 명절 할인 이벤트를 하게 된다면 같이 진행될 것 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주세요! 감사합니다!
박철현
2025-01-161491167어... 살려고 장바구니에 넣어놨었는뎅... 설날때 요놈 세일 하나요....?? 제발 해주세여
쿠케2025-01-17392891철현님, 안녕하세요! 아마 인프런 이벤트 대상 강의(?)라서 자체 이벤트 할인 대상에 포함될 것 같네요..! (인프런 이벤트 기간은 저도 잘 모릅니다..!) 혹시 이벤트 대상이 안된다면 프로필 통해 메일 연락주세요!
100and
2025-01-151489269안녕하세요! 가격이 갑자기 변동된 거 같은데, 변동된 게 맞을까요?ㅠㅠ 들으려고 준비 중이었는데, 가격이 크게 변동된 거 같아서 결제를 못하고 있어요.
쿠케2025-01-15392364100and님, 안녕하세요! 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계속 검토중이었는데, 난이도나 준비 기간 등 고려하여 금주부터 변경된 사항으로 반영하기로 하였습니다..! 갑작스레 가격이 올라서 당황스러우셨을 것 같네요.. 제 프로필에 메일 한통 보내주시겠어요?
gojgho
2024-12-311475436안녕하세요 이 강의를 꼭 들을 예정인데 듣기전 궁금한부분이있습니다. dto -> entity 로 매핑하는건 어떻게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리플렉션을 활용한다던지 , builder 를 활용해서 단순히 entity 에 dto 필드값을 get으로 넣어준다던지 어떤 방식으로 되어있는지 궁금하고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실무 시스템에서는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합니다 !
쿠케2024-12-31389099gojgho님, 안녕하세요! 강의에서는 팩토리 메소드를 이용하기도 하고, 엔티티에 update 메소드를 정의해서 호출하기도 합니다. 실무에서는 위 방법 외에도, 생성자, 빌더, 리플렉션, 매퍼, 간단하게는 setter를 그냥 호출하기도 해서 시스템의 레거시 수준이나 팀 컨벤션, 복잡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냥 빌더나 update 메소드를 정의하는걸 선호하긴 하는데, 상황 또는 취향 차이도 있네요.) 꼭 한 가지 방법을 고정으로 사용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 주세요! 감사합니다.
송재근
2024-12-311475266안녕하세요. 해당 강의는 현재 취업(이직)시장에서 요구하는 대규모 트래픽을 고려한 설계에도 해당이 되는 건가요? 왜냐하면 항*플러스 백엔드의 커리큘럼 과정과 비슷하다면 가격이 저렴한 지금 이 강의를 선택하고 싶어서 궁금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부분을 다루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강의 설명으로는 자세하게 이해할 수 없다고 느껴서요. - 다량의 트래픽이 주어졌을 때,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략 수립 - Redis를 이용 - Kafka를 이용해 대용량 트래픽 제어하기 위한 설계 - 캐싱 전략,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데이터 정합성 처리 방법 - 비동기, Message Queue를 사용한 데이터 처리
쿠케2024-12-31389069재근님, 안녕하세요! 본 강의는 현재 취업 시장에서 요구하는 대규모 트래픽을 고려한 설계에 해당 됩니다. 언급 주신 타 강의의 내용을 구체적으로는 모르지만, 기본적으로 해당 내용은 모두 다루고 있습니다. 강의 소개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코드 개발 보다 오히려 이론 설명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특정 도구 또는 방법론을 바로 개발에 적용하기 이전에, 이것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무엇을 해결하는지 알려드리기 위함입니다. 특히 Redis/Kafka를 다루기 이전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깊은 이해와 활용은 필수라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꽤나 깊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커리큘럼도 MySQL -> Redis -> Kafka를 순차적으로 사용해보게 되는 것이고요. 강의는 약 13시간으로 구성되어있지만, 내용은 깊고 타이트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온전히 습득하려면 몇배의 시간이 들 수도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 이러한 강의가 잘 없는 것 같고, 저도 겪어본 취준생 입장에서 이러한 강의가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아서 직접 만들어보았습니다. 제가 만든 강의라 좋게 말씀드리는게 당연하겠지만..! 대규모 시스템에서 고려해야할 부분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입문 강의는 아니기 때문에 스프링/백엔드에 대한 기초 지식은 이미 습득한 상황이어야 원활한 수강이 가능한 점은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 주세요! 감사합니다.
박민수
2024-12-291473296안녕하세요 구매전 몇가지 문의사항이 있습니다 저는 자바 백엔드 취준생인데 상반기 포트폴리오를 만들면서 참고가 될만한 강의를 찾아보고 있었는데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건 어떤 문제상황에 대해서 이기술을 선택했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강의에서 Redis msa Kafka 같은 기술을 도입할때 지금 시점에 도입하는 이유나 개념들이 나와있는지 궁금합니다 .
쿠케2024-12-29388674민수님, 안녕하세요! 일단 강의라는 범주 내에서는 요구사항이 엄청 복잡할 수 없다보니 MSA에 대한 근거는 크게 와닿진 않을 수는 있는데, 모놀리틱 아키텍처와 비교하여 MSA를 선정한 이유를 설명하고, 이러한 아키텍처를 적용했을 때의 복잡성을 같이 해결해 봅니다. MSA 외의 기술 스택도 선정 과정 및 이유, 개념이 함께 설명된다고 봐주시면 됩니다. 다만, 각 도구나 방법론은 개별적으로도 방대한 주제이기 때문에, 개념에 대한 내용은 개발자가 충분히 활용 가능한 수준 및 강의의 진행 범위 내에서 설명됩니다. 따라서 각 도구나 방법론에 대해 깊게 학습해 보시려면, 강의가 끝난 뒤(또는 진행하면서도) 별도 추가 학습을 추천 드립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주세요~ 감사합니다!
이진우
2024-12-271471599안녕하세요 강의 구매전 문의 몇가지 있습니다 1. gradle로 멀티 모듈 구성해서 진행하는 걸까요 2. "대용량" 키워드가 눈에 띄지만 부하 테스트에 대한 내용은 없어보이는데 해당 프로젝트에 부하 테스트를 한다면 RPS나 TPS 성능은 얼마정도 나올거로 생각되시나요 3. 소스 코드는 어떻게 작성하셨는지 궁금합니다만, 깃허브나 외부로 공개안되고 구매시 다운받는 형태로만 확인가능한거죠?
쿠케2024-12-27388364진우님, 안녕하세요! 문의 사항 답변드립니다. 1. gradle로 멀티모듈 구성하여 진행됩니다. 2. 대규모라는게 구체적인 수치를 산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하는데요, RPS/TPS 등의 구체적인 수치는 서버/DB 스펙, 인프라 구성, 스케일아웃, 외의 부가 로직 등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강의에서는 이를 산출해보는게 의미 없다고 판단하여 굳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강의에서는 결국 확장성 있는 구조를 만들면서 병목 지점을 최소화한다는게 핵심입니다. 강의에서도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다루게 되는 것이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말씀하신대로 부하 테스트를 직접 수행하는 과정은 없지만, 어떻게 대규모를 지탱할 수 있는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로컬에서 간단히 테스트해봅니다. 부하 테스트로 인해 고려하지 못했던 문제 사항 등을 잡아낼 수는 있겠지만, 부하 테스트 이전에 그러한 문제 사항이 잘 고려된 시스템을 구축하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하고, 강의를 잘 소화하신다면 이러한 방법에 대해 얻어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외부로 소스코드는 공개되어 있지 않고, 구매 시에 다운로드 받는 형태로만 확인 가능합니다. 소스코드는 미리 공개해둘지 계속 고민 중인데, 이 부분은 아직 미정이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히 문의주세요~ 감사합니다!
kmin1298님 안녕하세요! JMETER 같은 별도의 성능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진 않습니다. 성능 확인에 대한 부분은 실행 계획이나 결과를 직접 보면서 확인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