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인프런 내 깜짝 선물 출현 중🎁

[워밍업 클럽 3기] CS 2주차 - 운영체제 미션

[워밍업 클럽 3기] CS 2주차 - 운영체제 미션

  1. FIFO 스케줄링의 장단점이 뭔가요?

     

장점

  • 단순하고 직관적

단점

  • 한 프로세스가 완전히 끝나야 다음 프로세스가 진행되므로, 실행시간이 짧고 늦게 도착한 프로세스가 실행시간이 길고 빨리 도착한 프로세스의 작업을 기다려야 함

  • I/O 작업이 있다면, CPU는 I/O 작업이 끝날 때까지 쉬고있기 때문에 CPU 사용률이 떨어짐

 

2. SJF를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가 뭔가요?

  • 어떤 프로세스가 얼마나 실행될지 예측하기 어려움

  • Burst Time이 긴 프로세스는 아주 오래동안 실행되지 않을 수 있음
    -> SJF는 Burst Time이 짧은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되기 때문에 긴 프로세스는 뒤로 밀려남

     

 

3. RR 스케줄링에서 타임 슬라이스가 아주 작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 오버헤드가 너무 커진다.

     

  • 컨텍스트 스위칭이 자주 일어나게 되고, 타임 슬라이스에서 실행되는 처리량보다 컨텍스트 스위칭을 처리하는 양이 더 많아지기 때문

 

  1. 운영체제가 MLFQ에서 CPU Bound Process와 I/O Bound Process를 어떻게 구분할까요?

  • CPU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실행하다가 스스로 CPU를 반납하면 CPU 사용이 적음 -> I/O Bound Process 확률 증가

  • 타임 슬라이스 크기를 오버해서 CPU 스케줄러에 의해 강제로 CPU를 뺏기는 상황 -> CPU Bound Process 확률 증가

 

  1. 공유자원이란 무엇인가요?

  • 프로세스 간 통신을 할 때 공동으로 이용하는 변수나 파일

 

  1.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는 조건은 어떤 것들을 충족해야 할까요?

  • 상호 배제: 어떤 프로세스가 한 리소스를 점유했다면, 그 리소스는 다른 프로세스에게 공유되면 안 된다.

  • 비선점: 다른 프로세스가 리소스를 뺏을 수 없어야 한다.

  • 점유와 대기: 어떤 리소스를 가지고 있을 때, 다른 리소스를 원하는 상태여야 한다.

     

  • 원형 대기: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들의 관계가 원형을 이룬다. (원하는 리소스의 방향이 원형을 이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