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인프런 내 깜짝 선물 출현 중🎁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PM) 2주차 발자국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PM) 2주차 발자국

강의명: 시작하는 PM/PO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프로덕트의 모든 것
코치: 김민우
링크: https://www.inflearn.com/course/%EC%8B%9C%EC%9E%91%ED%95%98%EB%8A%94-pmpo-%EB%AA%A8%EB%93%A0%EA%B2%83/dashboard


2주차 강의 포인트

PM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고객에 대한 전문가가 되는 것"
따라서 PM은 중간에 누군가를 끼지 않고, 직접 고객을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고 관찰해야 함.

  • 고객을 직접 만나면 얻을 수 있는 것들

    • 고객의 경험, 생각, 감정을 생생하게 이해

    • 우리가 고객을 얼마나 몰랐는지 알 수 있음

    • 고객에 대한 더욱 정확한 Mental Model

    • 다양한 아이디어

    • 재미와 보람

    • PM에 대한 전문성

PM이 알아야 하는 고객 정성 조사 방법 2가지

  1. 일대일 심층 인터뷰

  2. 사용성 테스트

PM이 고객 리서치를 하는 명확한 목적 설정 필요. 그래야 더 나은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음.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고객의 동기, 경험 등 다양한 정성적인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음.

사업적인 질문에서 리서치 질문으로, 다시 인터뷰 질문으로 단계를 거쳐 가며 질문을 구체화 해야 고객 인터뷰를 통해 양질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사용성 테스트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얻기 위함임.

  1. 유저가 우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가

  2. 유저가 우리 제품을 이해할 수 있는가

  3. 유저가 우리 제품의 기능을 발견할 수 있는가

 

PM에게 있어서 데이터 활용 능력은 중요하다.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들의 패턴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다음을 예측할 수 있다.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PM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2가지 역량이 필요하다.

  • 데이터 축적 관련 역량

  • 데이터 활용 역량

PM은 특정한 의도(어떤 데이터를 축적할 것인지, 어떤 형태/이름으로 축적할 것인지)를 가지고 데이터를 축적해야 함.

지표 이해, 데이터 분석, 툴 사용 등의 역량을 길러야 함.


2주차 회고

2주차 강의는 내가 해야 할 것을 조금 더 명확하게 알도록 해줬고, 또한 나의 이전 과업에 대해 돌아보도록 해주었다.

일을 하면서 우리 회사가 타겟으로 생각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수차례 인터뷰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 당시에 몸으로 직접 부딪혀 가며 인터뷰 스킬을 늘릴 수 있었지만, 스스로 인터뷰의 목적에 대해 뚜렷하지 못한 상태였던 것 같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을 했어야 좋았는지 조금 더 치밀하게 준비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PM 직무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면서 데이터 분석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마침 데이터 분석 측면에서 PM이 가져야 하는 역량에 대한 강의를 듣게 되어 어떤 부분을 더 공부하면 좋을지 알게 되었다. 현재는 파이썬 언어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분석을 공부 중이지만 해당 학습을 마치고 나면 데이터 분석 툴, SQL 등 추가적인 공부를 해봐야겠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