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프런 워밍업 클럽 CS - 2주차 운영체제 미션
운영체제
FIFO 스케줄링의 장단점이 뭔가요?
- 장점
단순하고 직관적이다.- 단점
한 프로세스가 완전히 끝나야 다음 프로세스가 시작되기 때문에 실행시간이 짧고 나중에 도착한 프로세스가 실행시간이 길고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가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한다는 점이 단점이다.
SJF를 사용하기 여러운 이유가 뭔가요?
Burst Time이 긴 프로세스는 Burst Time이 짧은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RR 스케줄링에서 타임 슬라이스가 아주 작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타임 슬라이스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처리량보다 컨텍스트 스위칭이 많이 발생해 오버헤드가 너무 크다.
운영체제가 MLFQ에서 CPU Bound Process와 I/O Bound Process를 어떻게 구분할까요?
프로세스가 타임 슬라이스를 초과하여 강제로 CPU를 뺏긴다면 CPU 사용이 많은
CPU Bound Process
로 판단할 수 있고, 반대로 스스로 CPU를 반납한다면 비교적 CPU 사용이 적은I/O Bound Process
로 볼 수 있다.
공유자원이란무엇인가요?
프로세스 간 통신을 할 때, 공동으로 이용하는 변수나 파일 등을 공유자원이라고 말한다.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는 조건은 어떤 것들을 충족해야할까요?
1. 어떤 프로세스가 한 리소스를 점유했다면 그 리소스는 다른 프로세스에게 공유가 되면 안된다. (상호배제)
2. 프로세스 A가 리소스를 점유하고 있을 때, 다른 프로세스 B가 리소스를 빼앗으면 안된다. (비선점)
3. 프로세스가 리소스 A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리소스 B를 원하는 상태여야 한다. (점유와 대기)
4.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들의 관계가 원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원형 대기)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