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해 보는 서비스 분석 - AI에게 물어 보기 - 아이브의 신곡에 들어가는 ...
샘플링은 어떤 곡이야 ?
요새 든 사소한 버릇 / 준직업병 증상 중 하나로.. 내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AI 나 검색 엔진들도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 AI들이 이미 내가 모르는 것을 많이 알고 있어서 그걸 복수하려는 알량한 자존심 정도로 해 두자.
한국에 오면 K-pop 음악들이 조금 더 잘 들리고, 최근에 자주 들리는 음악으로 아이브의 신곡으로 ATTITUDE ( https://www.youtube.com/watch?v=38xYeot-ciM )
건강한 아이들이 춤추고 노래하는 걸 보는 건 에너제틱해서 그 자체로도 좋고, 가끔씩 아이들과 대화 소재로도 좋아서 열심히 따라잡는데, 이 노래는 듣는 내내 80년대 후반 팝송으로 영어를 배운 내 기억 속에서 노래 하나가 떠올라서 AI 들에게 테스트. 이미 35년 전의 노래라니.. 쩝...
질문은 "아이브의 신곡에 들어가는 샘플링은 어떤 곡이야 ?"
채점 포인트들은
1. 단답형이니 정답을 알려 주는가 ? Suzanne Vega's "Tom's diner"
2. 여러 히트곡이 있을 진데, 신곡이 이 노래를 이야기해 주는가 ?
3. 불필요한 것들을 보여 주는가 ?
오늘의 순위는
Gemini > ClovaX > GetLiner > ChatGPT = Perplexity = Google > Naver > wrtn > Claude
Gemini ( 10/10 )
원하는 정보에 군더더기 없는 답변
ClovaX ( 9.5/10 )
답변은 깔끔하나 '디너'가 아니라 '다이너'. 옥의 티 감점.
GetLiner ( 8/10 )
위의 답은 정답이나, 중간에 After Like 이야기. 이건 2년 넘은 노래 이야기라 감점.
ChatGPT ( 7/10 )
After Like, Supernova Love 등의 불필요한 내용들. 예전 노래로 논란이 있었는지 내가 궁금해 해야 해 ?
Perplexity ( 7/10 )
설명은 맞는데, 클릭할 만한 reference 들이 관련 없는 내용들. 이렇게 꾸미기도 쉽지 않았을 텐데... 답변만 보면 꽤 ChatGPT 랑 닮아 있는 거 같음.
Google ( 7/10 )
질문이 기존 검색에 친절하진 않지만, 클릭할 것들이 질문에 대한 답에 매우 근접하고, 다른 노래들이 없음. Youtube boosting 이 없었으면 더 높은 점수가 되었을 거고, 첫번째 웹 링크는 잘 검색된 결과여서 다른 AI 엔진들이 이걸 끌어 올리는가 아닌가로 품질이 결정되었을 듯.
Naver ( 6/10 )
블로그에서 영끌해서 올린 결과. 하나는 다른 노래 이야기라 구글 대비 감점.
wrtn ( 4/10 )
틀린 노래. 어거지 답변. '또한'을 붙인다고 답변이 되지 않음. 어거지 답변에 대한 추가 감점.
reference 들로 충분한 거 같은데 랭킹이 틀어져 아마도 잘못된 답이 나왔고, 한편, 유튜브 썸네일을 이미지 검색 결과 ? 이건 선 넘은 거 아닌가 ?
Claude ( 2/10 )
솔직한 답변이지만,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뭐랄까 성의가 없달까 ?
잠깐.. 난 아이브를 물어봤는데, 왜 Aespa ? 이건 선 넘은 거 아닌가 ?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