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어클#11] Jenkins Pipeline 기초부터 Blue-Green까지
Sprint2 추가 강의가 업로드 됐어요!
이번 강의에서는 Jenkins Pipeline 기초부터 Blue/Green까지라는 주제 입니다.
Step 1. Jenkins Pipeline 기본 구성 만들기
Step1으로 Jenkins Pipeline에 대한 기본 구성을 만들어 볼거고, Github에서 릴리즈 파일들을 가져와서 빌드/배포하는 구성을 이번에는 젠킨스 파이프라인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Step 2. Github 연결 및 파이프라인 세분화
두 번째 Step은 Github 연결과 파이프라인 세분화인데, Jenknis Pipeline을 쓰는 이유인 파이프라인 스크립트를 Github에서 가져오고, 파이프라인을 좀더 세분화 시켜볼꺼예요. 이렇게 세분화 하면 좋은 점이 각 구간별로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바로 보이기 때문에 이전 배포보다 왜 느려졌는지 눈에 잘 뛰기도 하고, 생각보다 오래 걸리는 구간이 있으면 개선 포인트로 잡기도 좋아요.
Step 3, 4. Blue/Green 배포 만들기 및 특징 실습
다음으로 Blue/Green 배포를 만듭니다. 처음 Blue가 배포된 상태에서, Green 배포를 하고, V2 버전에 Deployment가 생성이 되면, 트래픽을 V2로 전환 합니다. Service의 Selector를 변경할 거고요. 그런 다음 v1 Deployment를 삭제하면, 이 Blue 배포가 없어지는 거죠.
근데 이 과정 중에서 유즈케이스로 말씀드렸던 운영에서만 테스트 가능한 경우를 하나 해볼 거고, 다음으로 수동 배포시 롤백이 빠르다는 것도 해볼 거예요. 그래서 여기까지가 수동으로 Blue/Green 배포를 할 때 해볼 수 있는 실습들입니다.
다음으로 Step4로는 버튼 한번으로 자동 배포가 되는 Script를 만들고, V2에 과도한 트래픽을 유입 시켰을 때 V2 Pod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은 실습 환경을 구성하기가 쉽지 않게 때문에 별도로 실습을 해보진 않지만 꼭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실습 내용은 강의에서 다루고 있어요. (https://inf.run/NzKy)
Blue/Green 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
다음으로, Blue/Green시 필요한 요소라고 해서 yaml을 만들 때 어떤 걸 고려해야 되는지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왼쪽은 Blue 배포에 대한 yaml 파일이고, 이건 이전 부터 계속 봤왔 던 내용이에요. 그리고 오른쪽은 Green 배포를 위한 Deployment yaml 파일 내용 입니다.
뭐가 다른지 보이시나요? deployment 이름 뒤에 추가적으로 시퀀스가 붙어 있죠? 바로 Blue/Green 배포를 고려한 Deployment에 네이밍이 필요한건데, Blue/Green은 기존배포와 나중배포에 대한 상징적인 표현이고, 배포 할 때마다 계속 새 Deployment를 만들 줘어야 되기 때문에 이렇게 네이밍에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
다음으로 블루/그린 배포를 위한 추가 레이블 및 셀렉터가 필요해요. 현재 이 레이블 상태라면 Green을 만들자마자 Service가 Green Pod에도 연결을 하겠죠. 그래서 블루/그린 배포를 위한 Selector와 Label을 추가적으로 만들어야 되요. 그리고 Green에는 이렇게 값을 다르게 만들어야 되는 거고요.
그래서 여기까지가 Blue/Green 배포를 한다고 했을 때, 미리 고민해서 구성 해놔야 되는 yaml 파일에 내용 입니다.
이번 강의는 실습이 많은 강의라 블로그에는 이정도까지만 정리하겠습니다 ^^
그럼 강의에서 만나요!
ps. 뒤로가기 함부로 누르지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좋아요♡를 준 사람이었느냐 :)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