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클럽 3기 PM/PO 3기] 4주차 발자국
강의 내용 요약
Product Discovery - 실험, 가설 가정 베팅
Value, Usability, Feasibility 가설의 개념과 검증방법 에시에 대해 배움
Product Discovery - 기회 솔루션 트리
'기회 솔루션 트리'의 개념
Product Discovery - 북극성 지표
'북극성 지표' 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봄.
Product Growth
Growth Lever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구성하는 Acquisition, Retention, Monetization이 무엇인지 배움.
Growth lever- Acquisition
Acquisition이란, 유저를 흭득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유저를 어떻게 모으는지에 대한 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았음. 이에 대한 방식은 추천(레퍼럴), 네트워크 효과, UGC, 플러그인 방식, PLG 등이 있다.
Growth lever- Retention:Engagement
Retention에 영향을 주는 Engagement Level에 대해서 배우고 Engagement Level을 높이는 방법인 'Fogg Behavior Model'에 대해서 배움
Growth level- Monetization
프로덕트의 다양한 수익화 전략에 대해서 배움
Growth Model
그로스 모델 & 그로스 모델링에 대해 배움
회고
A/B테스트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사실 이 강의를 듣기 전에는 A/B 테스트는 필수이고 만능인줄 알았다.
개인적으로 기회-솔루션 트리와 북극성 지표에 대해 개념이 많이 헷갈렸다. 찾아보니, 북극성 지표는 조직이나 팀이 장기적으로 지향하는 가장 핵심적인 성과지표를 의미하고, 기회-솔루션 트리는 제품이나 서비스 개선 시 문제 중심 접근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구이다.
즉, 두 개념의 관계는.. 북극성 지표는 우리가 어디로 가야하는지 보여주는 '방향' 이고, 기회-솔루션 트리는 그 방향으로 가기 위해 어떤 길로 가야할지 설계하는 지표이다.
담당하는 프로덕트가 없다보니 구글 플레이 스토어 리뷰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해보고 있는데, 코치님께서 왜 기회-솔루션 트리를 설계할 때 고객 인터뷰가 중요하다고 하는지 알 것 같았다. 생각보다 리뷰는 고객 경험을 많이 담지 못한다.
개인적으로 이번에 배운 강의들은 어려운 개념이라고 많이 느껴졌다. 그러나 이 강의를 들으면서 배운 개념은 시작이고, 정리한 내용을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다시 공부해나가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