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3기] BE 테스트 코드 - Day16 미션

레이어별 특징 & 어떻게 테스트 하면 좋을지

 

Persistence Layer

Data Access의 역할.

(비즈니스 가공 로직없이 순수하게) Data CRUD에만 집중한 레이어.

 

SQL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스프링을 띄우는 통합테스트 이지만 Persistence Layer 로직만 수행되기에 단위테스트의 성격을 가진다.

test용 profile 설정과 data 주입이 되도록 설정 해두면 편하다.

 

Business Layer

Persistence Layer와 상호 작용을 통해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

트랜잭션이 보장되어야 함.

 

Persistence Layer를 주입하여 테스트를 진행.

비즈니스 로직에 대해 단위 테스트를 작성해도 좋을 거 같다.

 

Presentation Layer

외부세계에서 넘어오는 값들에 대하여 최소한의 검증은 마치고 유효한 값들을 비즈니스 레이어로 넘겨줘야 한다.

컨트롤러 테스트를 할때는 하위의 business layer 와 persistence layer는 모킹처리를 하고, 단위 테스트 느낌으로 진행한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