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밍업 클럽 3기 PM/PO_미션3
미션 3. 프로덕트 지표 설정하기
여러분이 맡은 프로덕트에서 어떤 지표들을 측정할지 설정해보세요.
단, 프로덕트 지표 프레임워크 강의에서 소개한 지표들은 제외합니다.
맡고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프로덕트를 하나 정해서 해 보세요.
지표의 이름을 정하고, 지표의 계산식을 정의해보세요.
그 지표를 측정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지표의 변동에 따라 어떤 의사결정 또는 후속조치를 해야 하는지 작성해보세요.
지표 대상 서비스
화해의 마케팅 서비스
지표1: 사용자 마케팅 채널
지표: 자사 이벤트 시 컨텐츠의 채널별 참여자 수 확인
계산식: (각 채널별 이벤트 참여자 수) / (해당 콘텐츠 게시 후 일정 기간 내 참여자 수)
지표 이유: 마케팅에 사용시 효과적인 광고 채널을 파악할 수 있고, 채널별 효과성도 파악 가능하다.
의사결정: 참여자가 많은 채널을 집중적으로 활용하여 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참여자가 적은 채널은 광고 전략 및 콘텐츠 기획 방향을 수정하거나 우선 순위를 낮출 수 있다.
후속 조치
참여자 증가 : 해당 채널의 콘텐츠 강화 및 예산 추가하여 지속적인 활용
참여자 감소 : 콘텐츠 수정 및 다른 채널로의 이동
지표2. 외부 업체와 협업시 효과적인 채널 확인
지표 : 외부 업체(인플루언서, 블로그, SNS 광고, 이벤트 부스)를 이용한 캠페인을 통해 유입된 가입 및 참여자 수 확인
계산식: (각 캠페인 별 유입자 수 / 캠페인 활동 기간) / 소요된 비용
측정 이유: 단가 대비 캠페인 참여자 수 파악을 통해 효과적인 캠페인 채널을 파악하여 외부 업체와 협업시 방향성을 정할 수 있다.
의사결정:
효율이 높은 캠페인 : 적극적으로 활용 및 협업 강화
효율이 낮은 캠페인 : 캠페인을 중단하거나 재검토를 통해 전략 방향 수정
지표 변동에 따른 의사 결정 및 후속 조치
효율적인 채널: 더 많은 예산 투입 및 추가 캠페인 기획
비효율적인 채널: 해당 채널의 캠페인 종료 및 캠페인 방향/기획 재검토
지표3. 외부 업체와 협업을 통해 유입된 사용자의 리텐션율 확인
지표: 외부 업체(인플루언서, 블로그, SNS 광고, 이벤트 부스)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의 리텐션율 (재방문율, 지속 사용 비율 등)
계산식: (외부 업체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가 일정 기간 내 다시 방문하거나 활동한 비율) / (전체 외부 업체 유입 사용자 수)
측정이유: 유입된 사용자 중 실제로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사용자의 비율을 확인하여, 외부 협업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리텐션율을 통해 유입된 사용자가 얼마나 브랜드에 충성도 높은지, 협업의 장기적인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표 변동에 따른 의사 결정 및 후속 조치:
높은 리텐션율: 해당 업체와의 추가 협업을 고려하거나, 동일한 전략을 다른 외부 업체와 적용.
낮은 리텐션율: 타겟층 고려 및 외부 업체의 협업 퀄리티 등의 파악을 통해 원인을 분석하여 업체를 변경하거나 전략을 수정
회고
다 작성하고 보니 제품을 성장시키고 발전시키는 부분보다 제품을 광고하고 홍보하는 지표로서 작성된거 같아서 조금 아쉽네요.
캠페인에 사용된 기능들의 사용자의 사용 빈도나 사용 시간등의 파악을 통해 제품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의 지표로 사용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