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PM) - [미션 3] 프로덕트 지표 설정하기](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1fe6a1fb-e75f-4319-b421-1afc3364dc47/미션 표지.png)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PM) - [미션 3] 프로덕트 지표 설정하기
미션 3. 프로덕트 지표 설정하기
여러분이 맡은 프로덕트에서 어떤 지표들을 측정할지 설정해보세요.
단, 프로덕트 지표 프레임워크 강의에서 소개한 지표들은 제외합니다.
맡고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프로덕트를 하나 정해서 해 보세요.
지표의 이름을 정하고, 지표의 계산식을 정의해보세요.
그 지표를 측정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지표의 변동에 따라 어떤 의사결정 또는 후속 조치를 해야 하는지 작성해보세요.
프로덕트 : 사이드 프로젝트 팀 빌딩 플랫폼
프로덕트 소개 요약
사이드 프로젝트 팀 빌딩을 지원해주는 서비스.
유저가 자신의 프로필을 작성 후 게시할 수 있음.
프로젝트 팀 빌더는 게시되어 있는 다양한 프로필을 열람하고 자신이 원하는 인재를 찾아 컨택할 수 있는 환경 제공.
프로덕트가 "잘 운영되고 있음"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액션들
회원이 프로필을 충실히 작성하는 행동
프로필 공개 설정 비율
타인의 프로필을 열람하는 행동
타인의 공개 프로필을 보고 직접 컨택(채팅)을 거는 행동
채팅을 통한 의미 있는 커뮤니케이션 발생
외부 툴 정보 교환
팀 결성(프로젝트 참여) 선언
재사용(재방문) 행동
지표 1. 프로필 완성도(%)
정의: 가입 중 온보딩 과정에서 프로필 작성 시, 프로필의 핵심 항목 기재 비율
프로필 핵심 항목 예시
경력 사항
희망 포지션
세부 포지션
보유 기술 스택
프로젝트 이력
계산식: (작성 된 필드 수 / 전체 필수 필드 수) * 100
활용: 온보딩 완료율 확인, 서비스 참여 의지 확인
지표 2. 유저 완성 프로필 비율(%)
정의: 전체 유저 중 프로필 완성도(지표 1)가 일정 수치 이상인 유저의 비율
계산식: (프로필 완성도 >= 80%인 유저 수 / 전체 유저 수) * 100
활용: 온보딩 완료율 확인, 서비스 참여 의지 확인
지표 3. 공개 프로필 비율(%)
정의: 전체 유저 중 자신의 프로필을 공개 상태로 등록한 유저의 비율
계산식: (공개 프로필 유저 수 / 전체 유저 수) * 100
활용: 유저들이 실제로 프로젝트 팀 빌딩을 위해 자신을 노출할 의향이 얼마나 높은지 파악
지표 4. 1인당 프로필 평균 조회수
정의: 일정 기간 내 활성 사용자들의 프로필 조회 수의 평균
계산식: (일정 기간 내 총 프로필 조회 수) / (일정 기간 내 활성 사용자 수)
활용: 유저가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 매칭 시도를 위한 탐색 행동이 활발한지 파악
지표 5. 신규 채팅 개시율(%)
정의: 일정 기간동안의 프로필 조회 수 대비 새롭게 생성된 채팅방의 총 건수(신규 채팅 세션 수)
계산식: (일정 기간 내 생성된 신규 채팅 세션 수 / 일정 기간 내 전체 프로필 조회 수) * 100
활용: 프로필 열람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채팅을 통한 매칭 시도가 있었는지 여부를 파악
지표 6. 깊이 있는 대화 세션 비율 (Deep Conversation Rate)(%)
정의:
실제 채팅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지는 대화를 진행한 채팅방의 비율
해당 프로덕트는 1:1 채팅만을 지원, 대화의 왕복이 약 5회 이상 진행되어야 의미 있는 대화라고 간주
채팅방의 전체 누적이 아닌 일정 기간 내로 한정하여 설정
계산식: 일정 기간 내 (채팅의 왕복이 5회 이상인 채팅방의 수 / 전체 신규 채팅방의 수) * 100
활용: 채팅을 통해 실제 유의미한 단계까지 도달하는지 여부를 파악
지표 7. 외부 툴 정보 교환 채팅방 비율(%)
정의:
해당 서비스의 채팅 메세지에서 슬랙/디스코드/카카오톡 등 외부 툴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아이디 공유한 건수
본격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하면 자사의 서비스가 아닌 대중적인 툴로 이동할 경향성이 높다고 가정
계산식: (외부 툴 정보가 오간 채팅방 수 / 전체 깊이 있는 대화(Deep Conversation) 채팅방 수) * 100
활용: 외부 툴 정보가 교환된 경우,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결정했다고 간주. 즉, 팀 결성 완료 단계라고 볼 수 있음.
위의 지표들로 어떤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까?
프로필 완성도, 유저 프로필 완성 비율 (지표1, 2)
유저들이 가입 중 온보딩 과정을 충실히 수행하였는지 알 수 있음
수치가 낮다면?
온보딩 과정 자체에서 피로를 느낄 수 있음
'완성 프로필'의 기준을 예상보다 높게 설정한 경우일 수 있음
공개 프로필 비율
수치가 높을수록 가입한 유저 중 프로필을 공개로 설정한 유저가 많다는 것을 의미
기존의 팀 빌딩 방식이 불편하다는 나의 가정을 뒷받침 하는 근거가 될 수 있음
사람들이 직접 팀을 찾는 수고를 덜고 싶다는 니즈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수치가 낮다면?
가정부터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고 수정
1인당 프로필 평균 조회 수
서비스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이고 간단한 지표
수치가 낮다면?
프로필을 하나하나 열람하는 과정에 피로감을 느낀다고 판단할 수 있음
유저들이 직접 탐색을 하는 행위를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음
신규 채팅 개시율
유저들이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체감하기 시작했음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수치가 낮다면?
유저들이 자신이 원하는 팀원을 찾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음
깊이 있는 대화 세션 비율 (Deep Conversation Rate), 외부 툴 정보 교환 채팅방 비율
서비스가 제공하고자 하는 본질을 모두 경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수치가 낮다면?
대화 후 유저 간의 니즈가 맞지 않아서 성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음
외부 다른 툴로 이동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꼈다고 판단할 수 있음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