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SpringBootTest어노테이션 역할

24.05.10 11:45 작성 조회수 44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아니오)

[질문 내용]
@SpringBootTest역할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이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빈을 사용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이걸 안붙이면 스프링컨테이너에 등록된 빈을 사용할 수 없나요?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y2gcoder님의 프로필

y2gcoder

2024.05.10

안녕하세요. blackjack_96님, 공식 서포터즈 y2gcoder입니다.

@SpringBootTest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의 환경처럼 스프링 컨테이너를 띄워서 테스트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스프링 컨테이너를 띄웠기 때문에 스프링 빈을 통한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의존 관계 주입 포함)! 왜냐하면 내부 구조상 해당 애노테이션을 붙인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면 컨테이너 생성시 메인 패키지에서 @SpringBootApplication 가 붙은 클래스를 찾아 해당 설정에 맞춰 빈들을 생성하고 설정을 주입하기 때문입니다 🙂

만약 @SpringBootTest를 붙이지 않은 테스트 코드를 만드신다면, 위의 기능들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의존관계 주입 등을 직접해서 테스트할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전자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시의 기준으로 각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작용을 테스트하는 데 좋고, 후자는 테스트 대상 컴포넌트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테스트하는데 좋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테스트 방법을 각각 통합 테스트 / 단위 테스트라고 하니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SpringBootTest 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클릭)을 참고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