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42025. 03. 11.
0
[회고] PM 인프런 워밍업 클럽 3기 2주차
학습 내용 요약PM은 고객을 직접 만나서 경험을 들어야함1대1 인터뷰 설계 & 사용성 테스트하는 방법과 꿀팁PM은 데이터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패턴을 발견해 예측 할 수 있어야 함지표의 경우 한가지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각 지표의 장단점 알아서 적절하게 보완해가며 봐야 함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를 잘 정의하고, 네이밍 컨벤션을 정해 이름을 일관성 있게 작성해야 함 학습 회고2주차 강의도 몇 주 전에 미리 들어서 기억이 가물가물 했는데, 정리한 내용이랑 강의 다시 보면서 정리했다.이번 강의와 미션은 나에게 정말 딱 필요한 내용이어서 좋았다.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베타 테스터를 모집해서 1~2주 정도 운영한 후에 인터뷰를 진행할 예정이었고, 이를 위해 인터뷰를 설계해야 했다. 미션을 보고나서 내가 인터뷰 설계를 하겠다고 지원해서 진행했다.강의를 들으면서 머리로는 다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아직까지는 직접 설명하지는 못하는 단계다... 더 공부하고 경험을 통해 체득해야할 것 같다.그래도 PM 강의에서 강렬하게 내 마음에 남은 문장은 "문제를 잘 정의해야 한다. 이게 정말 중요한 문제인가?"인데, 이건 인생을 살면서도 늘 생각하고 있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미션 회고내가 미션을 해결한 방식답하기 쉬운 질문부터 시작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지어떻게 이 서비스를 알게 되었는지실제 경험과 기억에 기반한 질문들로 구성선택지를 주는게 아닌 고객이 직접 생각해볼 수 있게 열린 질문인터뷰를 설계하면서 나도 모르게 계속해서 선택지를 제시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A, B, C 중에 뭐라고 생각하시나요?고객의 경험과 생각을 듣는게 제일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기 때문에 최대한 선택지를 제시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지만, 이 강의를 안 들었다면 고객을 선택지 안에 가두는 인터뷰를 진행할뻔 했다.
기획 · PM· PO
2025. 03. 11.
0
[미션 2] 고객 조사 설계하기
배경 설명AI 기반 글쓰기 서비스: 수익화 목적으로 진행 중인 사이드 프로젝트현재 서비스는 런칭 앞두고 베타 테스트 진행 예정베타 테스트 진행 후 사용자의 기대, 사용자가 경험한 문제와 개선 방법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뷰 설계 조사 주제 / 대상 / 방법주제: 서비스 사용 경험 및 만족도 분석대상: 베타 테스트 참여자방법: 1대1 인터뷰 인터뷰 질문지1. 기본 정보블로그를 운영하고 계신가요?⭕ (운영 중)어떤 목적으로 블로그를 시작하셨나요?블로그를 운영한 지 얼마나 되었나요?주로 어떤 주제로 글을 작성하시나요? (예: 맛집, 여행, 리뷰, 일상 등)주 몇 회 정도 글을 작성하시나요?규칙적으로 작성하시나요, 아니면 자유롭게 작성하시나요?글을 작성할 때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부분 또는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운영 예정)블로그를 시작하려는 계기가 무엇인가요?블로그 운영에 대한 계획이 있으신가요?블로그 운영을 준비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었나요?2. 베타 테스트 참여 이유베타 테스트를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앞서 이야기한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해본 방법이 있나요?⭕ (문제 해결 경험 있음)어떤 방법을 시도해보셨나요?기존에 AI 글쓰기 도구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있다면, 어떤 서비스를 사용해보셨나요?그 서비스에서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은 무엇이었나요?현재도 사용 중이신가요?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제 해결 경험 없음)해결을 시도하지 않기 어려웠던 이유가 있나요?앞으로 해결해볼 의향이 있으신가요?있다면, 생각해두신 방법이나 방향이 있으신가요? 3. 서비스 사용 경험이전에 AI 글쓰기 도구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 서비스가 더 쉽거나 편리했나요? 처음 생성된 글을 보았을 때, 어떤 느낌이었나요? 기대했던 수준이었나요? 아니면 기대보다 더 좋거나 부족했나요?AI가 생성한 글을 실제로 사용해보셨나요?그대로 사용하셨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수정했다면, 어떤 부분을 수정하셨나요? (예: 문장 표현, 구조, 정보 추가 등)AI가 생성한 글을 보면서 "이 부분이 아쉽다"라고 느꼈던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느끼셨나요? (예: 문장 표현, 정보 정확성, 글의 흐름 등)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선되었으면 좋겠나요?사용하면서 불편했던 점이 있나요?4. 구독 여부 및 가격 적정성정식 출시 후 월 1만 원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구독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구독할 의향 있음)어떤 점이 가장 마음에 들어서 구독할 의향이 있나요?❌ (구독할 의향 없음)어떤 이유 때문에 고민되시나요?
기획 · PM· PO
2025. 03. 07.
1
[회고] PM 인프런 워밍업 클럽 3기 1주차
학습 내용 요약PM의 선호 역량은 기업마다 다르지만, 핵심은 제품으로써 고객 가치와 사업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고객 중심의 고객이 만족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함PM은 제품 성과 전반을 책임지는 사람상황과 맥락에 맞는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PMF(Product Market Fit): 시장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찾기 > Feature Work(새로운 가치 창출) / Growth Work(더 많은 사용자 만들기)PM은 문제를 잘 정의해야 하고, 그 문제가 정말 중요한 것인지 판단해야 함데이터는 문제 파악에 기여, 문제 해결은 창조의 영역이며 좋은 아이디어가 필요 학습 회고사실 나는 챌린지에 참여하기 전에 미리 학습을 했는데, 강의 내용이 너무 알차고 좋아서 멈출 수 없었다...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막연함이 있었는데 이 강의를 통해 막혀있던 것이 뚫린 느낌?지금 진행중인 사이드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을 것 같다. 다만 분석툴을 익혀야 한다는 장벽이 있지만 그래도 해본 것과 시도조차 안한 것의 차이는 크다고 생각해서 한번 배워보려고 한다.노트에 필기를 했었는데 이렇게 회고 글로 정리해서 작성하니 더 학습한 내용을 상기할 수 있어서 좋다.미션 회고PM의 역할에 대한 아티클을 읽고 내 생각을 정리하는 미션이었는데, 처음엔 구글에 검색에서 마구잡이로 잡히는대로 읽다가 영양가 있는 글이 적다고 느껴져서 요즘IT에서 검색해서 읽었다.요즘IT는 정성이 담긴 글들이 많아서 좋은 아티클들이 많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그런지 강의에서 배운 내용들과 일치하는 내용이 많았다.
기획 · PM· PO
2025. 03. 05.
0
[미션 1]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은 무엇일까?
미션 내용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역량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이야기하는 아티클을 온라인에서 3개 이상 찾아서 읽고,어떤 의견들이 있는지 정리아티클들을 읽고 어떤 생각이 드는지 참고 아티클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역량 11가지 - https://brunch.co.kr/@ebprux/1278‘불확실성’의 시대, PM의 역할과 마인드셋 -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580/실리콘밸리 51개 기업들이 말하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9가지 -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584/ 의견 정리고객 중심으로 사고하고 고객 중심으로 제품을 설계한다.가설을 세우고 데이터로 검증한다. 고객이 진짜로 겪고 있는 설문, 데이터 등을 통해 문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전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어야한다.제품의 전략과 방향성을 회사의 목표와 일치할 수 있도록 한다.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나의 생각나는 개발자인데, 사실 그동안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을 프로젝트 관리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었다.필요한 기능을 정의하고, 일정 내에 기능 개발 / 테스트 / 출시할 수 있게 관리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했다.그러나 프로덕트 매니저는 고객의 문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고객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업의 성과를 내는 역할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읽은 세 가지 글 모두 가장 강조한 부분은 고객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이다.설문, 지표(데이터) 모두 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알아내기 위한 도구일뿐.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것에 매몰되기 보다는 진정으로 고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데이터는 현상일 뿐, 고객의 경험에서 고객의 니즈를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기획 · PM· 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