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110,000
초급 / Linux, 운영체제, asm, C, Raspberry Pi, ARM Architecture
5.0
(7)
이제 나도 리눅스 커널 분석을 할 수 있다! 리눅스 커널 강의 중에 가장 쉬운 커널 강의.
초급
Linux, 운영체제, asm
임베디드를 통해 개발자 인생을 시작했습니다.
그후에 웹과 앱도 개발하면서 어느덧 13년차 개발자가 되었습니다.
지금은 '오제이 주식회사'라는 작은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를 4년간 운영했고, 현재 2만 4천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말 더디게 성장하고 있지만, 꾸준히 운영하였습니다.
제가 알고있는 지식들이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110,000
초급 / Linux, 운영체제, asm, C, Raspberry Pi, ARM Architecture
5.0
(7)
이제 나도 리눅스 커널 분석을 할 수 있다! 리눅스 커널 강의 중에 가장 쉬운 커널 강의.
초급
Linux, 운영체제, asm
[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154,000
초급 / 임베디드, Arduino, Raspberry Pi
5.0
(24)
임베디드 개발이 무엇인지 알려드려요. 뜬구름 잡는 추상적인 설명 없이 명확하게 개념을 설명해드려요.
초급
임베디드, Arduino, Raspberry Pi
질문&답변
arm 아키텍처는 4를 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아주 심플하게 말슴드릴게요.파이프라인 때문에 PC는 실행 중인 명령보다 앞선 주소를 담고 있다.그래서 함수 호출·예외 처리·PC-상대 주소 계산에서 4 바이트(Thumb)보정이 필요하다.objdump -D(또는 -d) 출력에서 보이는 주소는 메모리에 실제 적재된 명령어의 주소고,런타임에 레지스터로 읽는 PC 값은 파이프라인 때문에 항상 그보다 앞서 있음.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ㅠ_ㅠ
질문&답변
ds18b20 Address 값 오류
안녕하세요.고생하고 계시는군요.임베디드 개발은 고통이 수반됩니다.특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중 무엇이 문제인지, 혹은 설정이 문제인지 모를 때...이런 상황은 임베디드 개발을 하다 보면 자주 마주치게 됩니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문제를 잘게 쪼개는 것입니다.먼저 코드에 문제가 없다면, 설정을 꼼꼼히 확인하세요.그리고 그 과정에서 단순히 설정을 따라 하기보다는,각 설정이 왜 그렇게 되어 있는지, 의미를 하나하나 이해하면서 넘어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그러다 보면, 생각지도 못한 실수를 발견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이것저것 다 점검했는데도 문제가 없다면,이제는 하드웨어 디버깅으로 들어가야 합니다.물론, 센서 고장일 가능성도 있습니다.하지만 실제로는 그 빈도가 생각보다 낮기 때문에,오실로스코프로 하나하나 찍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일단 전압이 제대로 인가되고 있는지 보시고,정말 기초적이지만 자주 하는 실수인 배선 상태도 확인하세요.배선이 연결되어 있다고 해도, 단선 가능성이 있으니 쇼크 테스트도 꼭 해보시고요.끝단과 끝단이 실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그 다음에는,내 보드 핀에서 신호가 제대로 나가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보드에서 신호가 나가는데도 센서가 응답하지 않는다면,데이터시트를 보고, 온도 센서가 수신할 수 있는 클럭 주파수(Hz)가 맞는지 확인하세요.그것도 맞다면,이제 온도 센서 자체의 문제를 의심할 단계입니다.이때가 오면, 저에게 연락 주세요.온도 센서 하나 보내드리겠습니다.👉ohjiwan@gmail.com 으로 연락 주세요.그리고 센서를 교체했는데도 안 된다?그럴 리가 없습니다... ㅠ_ㅠ
질문&답변
처음 보는 에러입니다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려면 실제 작성하신 코드를 보는 것이 가장 좋지만,현재 상황으로 보아 yun_logo1이 중복 정의되어 있는 것이 원인이예요.보통 이런 중복 정의를 방지하기 위해 #ifndef 를 사용하는데,문법이 정확히 사용되었는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형태로 작성되어 있어야 합니다:#ifndef OJW#define OJW #endif
질문&답변
헤더 파일 변수 선언 질문입니다
전역 변수를 선언하면, 같은 이름으로 다른 곳에서 그 변수를 또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전역 변수는 말 그대로 프로젝트 전체에서 공유해야 하는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걸 권장합니다.이렇게 정의된 전역 변수는 정말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은 한 곳에서 정의하고, 다른 곳에서는 그 변수를 extern 키워드로 참조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extern 선언은 헤더 파일에 작성하고, 이를 필요한 소스 파일에서 #include하여 사용하죠.즉, 여러 파일에서 동일한 전역 변수를 공유하기 위해 이런 구조를 잡는 겁니다. 만약 한 파일에서만 사용할 변수라면 굳이 전역 변수로 만들 필요 없이, 지역 변수나 static 키워드를 사용해서 해당 파일 내부에서만 쓰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만약 헤더 파일에 extern 없이 char g_f_sw_up;처럼 변수를 직접 정의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헤더는 #include를 통해 여러 소스 파일에 포함되는데, 이건 사실상 헤더 내용이 복사-붙여넣기 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같은 전역 변수가 여러 번 정의되는 셈이 되고, 링커 에러(Linker Error)가 발생하게 됩니다.물론 해당 헤더를 단 하나의 파일에서만 #include 한다면 에러는 나지 않겠지만, 두 곳 이상에서 #include 하게 되면 충돌이 발생하게 되죠.
질문&답변
보드 인식 불가, 시리얼 번호 인식 문제
안녕하세요 ㅇㅇ/메일로 문의 주신분 같네요.제가 오늘 새롭게 발송하였습니다.
질문&답변
케이블 하나 없어요
그게 있어야 하는게 정상이예요.정확히 뭔지 화면 캡처 한번 부탁드려요.바로 보내드릴게요.ohjiwan@gmail.com배송지 연락처 부탁드려요.죄송해요ㅠㅡㅠ
질문&답변
xshell 와이파이 연결이 안됌.
일단 라즈베리 파이가 같은 공유기 밑에 붙어야 합니다. (암호 및 ssid 설정이 잘 되어야 합니다. 제 강의 말고, 실제 집에 있는 정보로 입력하셔야 합니다.)공유기의 IP 대역이 맞는지 확인해야하니다.공유기에서 라즈베리 파이가 할당 받은 주소가 무엇인지 확인해서 접속을 해야합니다.결국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좀 있어야 하는데, 만약 힘드시다면 일단 유선으로 하는 걸 추천 드려요.아니면 라즈베리 파이에 직접 모니터를 연결하시고 거기서 ifconfig를 통해 정보를 보고 접속을 하시면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질문&답변
7세그먼트 온도표현
안녕하세요. 답이 늦어서 죄송해요.각각은 잘 되다가, 합해서 안되는 것은일단 장치에 문제는 아니고요.세그먼트가 순간 전류를 넣어 줬다 빼줬다 하면서 키는 형태라..타이머를 통해서 순간적으로 잘 치고 빼져야 해요.지금 온도 정보는 잘 나오는 걸로봐서는 온도는 문제가 없고요.1. 일단 디버거로 세그먼트를 키는 쪽 코드로 진입을 하는지 보세요.2. 진입하는데도 안켜진다면, 세그먼트가 충분한 시간을 할당 받지 못해서 그래요.3. 타이머 시간을 조절해서, 충분히 켜지는 시간을 확보하게 하셔야해요.감사합니다.
질문&답변
st link
모든 디버깅에 관한 에러사항을 이야기하는 영상입니다.https://youtube.com/live/kU4yg4XGjnE아직 편집본이 없어서, 좀 길기는 해요.일단 참조 하시고, 그래도 안되면 연락 주세요.
질문&답변
디버거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약속 드린 대로 영상 촬영 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https://youtube.com/live/kU4yg4XGj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