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Certificated Professional 및 Associate 다수 보유
현 스타트업 CTO
강의
수강평
- AWS로 구축하는 MSA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AWS로 구축하는 MSA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AWS로 구축하는 MSA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게시글
질문&답변
Docker 설치 후 AMI 를 만든 이유
안녕하세요 austin님!강의 열심히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ustom ami와 기본으로 제공하는 ami 사용에 대한 차이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먼저 기본 제공되는 ami를 austin님의 말씀대로 docker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ec2인스턴스를 한번 생성하고, 삭제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때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약 auto scaling같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당 방법으로 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하지만 auto scaling을 사용하게 될 경우 트래픽이나 조건에 따라 인스턴스가 scale out, scale in을 자연스럽게 반복하게 됩니다. 이때 매번 인스턴스가 새로 실행되게 되는데, 이때 매번 접속해서 docker를 설치하는건 사실상 불가능하고, user data 스크립트를 통해 설치를 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인스턴스가 생성된 후 docker를 설치하는 네트워크 요청이나 설치 시간 등 추가적은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실제로 사용가능하게되기까지 상대적으로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이때 custom ami를 사용하게되면 docker를 내장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docker를 설치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설치시간 등 추가적인 작업을 줄일 수 있어, 비용적으로나 서비스의 전체적인 성능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 강의 진행중에 궁금한점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 남겨주세요!감사합니다 😀
- 1
- 2
- 35
질문&답변
EC2 Free tier Instance
안녕하세요 austin님! 네 강의 촬영 당시에 제가 사용했던 인스턴스 유형이 free tier 지원 종료된것 같습니다.가장 편한 방법은 강의에서 제가 사용한 인스턴스 유형과 같은 유형을 사용하는게 좋을것같습니다.가격은 오늘 기준으로 시간당 0.0104달러로 한화 약 15.1원 정도 과금이 됩니다.하루 24시간을 계속해서 켜둘 경우 약 364원 정도 나가는비용이라 부담이 없을것으로 생각이됩니다. 그래도 과금이 되는게 부담되신다면, t3micro같은 인스턴스를 사용하셔도 크게 차이나는 부분은 없고, docker를 사용할 때 명령어에서 --platform linux/arm64 이 부분을 빼주시면 동일하게 진행이 가능하실겁니다. 혹시 추가적으로 문제점이나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남겨주세요!감사합니다 ☺
- 0
- 1
- 22
질문&답변
라우팅 테이블 1개
안녕하세요 austin님! 질문해주신 여러 public subnet에 natgateway를 배포하게 되면, 장단점이 있습니다.단점은 말씀해주신대로 비용문제입니다.하나의 subnet에만 배포하게되면, 하나의 nat gateway 사용 시간에 대한 비용이 청구되고,두개를 사용하면 두개의 사용 시간을 합친 비용이 청구됩니다.장점은 subnet을 여러개 사용하다보니 가용성이 늘어난다는점입니다.aws에서도 여러개의 가용영역을 나눠놓은 이유는 가용성 때문인데, 여러 subnet에 배포를 하게 되면, 여러 가용영역에 배포하는게 되므로, 여러곳에 배포하는 만큼 가용성이 높아집니다. 운영 상태에서 각 subent에 nat gateway를 배포해야하는것에 대한 정해진 답은 없지만,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것입니다.예를들어 비용이 넉넉하고, 1초의 순간도 다운타임이 발생하는게 허용되지 않는 서비스라면 여러 subnet에 배포하는게 맞을것이고,잠깐의 다운타임이 허용되고, 비용을 절감하는게 더 높은 우선순위라면, 하나의 subnet에만 배포해도 문제가 되지않을겁니다. 제가 운영중인 서비스의 경우에는 하나의 subnet에만 배포하고있습니다.이렇게 운영을 해도 아직까지 문제가 된적이 없습니다. 요약을 하자면, 비용절감 > 서비스 안정성 이라면 하나의 subnet에 배포서비스 안정성 > 비용 절감 이라면 여러 subnet에 배포가 될것같습니다.만약 하나의 subnet에 배포한다고 해서 크게 걱정할 건 없을겁니다. 추가적인 궁금한 점이나 잘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 남겨주세요!감사합니다 😀
- 1
- 2
- 35
질문&답변
Private EC2내 Userdata Script 동작 문제
안녕하세요 sunyoon님! 말씀해주신 부분인 유저데이터로 실행 후 정지하고 다시 실행 시 입력 스크립트기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는 장상적인 현상입니다!유저데이터로 입력된 스크립트는 인스턴스 생성 시 한번만 실행이됩이다.일반적으로 이 스크립트는 이후 강의에서 사용해볼 오토 스케일링에서 주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혹시 추가적인 문의나 문제가 있으시다면 언제든 남겨주세요😄
- 0
- 2
- 35
질문&답변
기본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지은님!먼저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질문 주신 내용에 답을 드리면, 직접 생성을 텅해 구성되어있는 옵션이나 요소들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드릴 수 있지 않을까 해서 일부러 직접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했습니다.이미 라우팅 테이블에 익숙하시다면 본으로 생성되는 라우팅테이블을 수정하셔서 사용해도 무관할거에요!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부분이나 문제가 발생하면 언제든 문의 남겨주세요😄
- 1
- 1
- 42
질문&답변
로드밸런서 HTTP/HTTPS 리스너 규칙 설정 질문
안녕하시요 Hephaestus님~오후에 일정이 있어 답변 늦게 드려 죄송합니다!우선 질문해주신 404설정은 wss로 웹소켓 연결시에는 443 https 로 연결하고, 80 http 포트를 404로 반환하는 설정을 하셔도 문제는 없습니다!만약 http 로 ws 연결을 하려고 하실 땐 로드밸런서의 http to https 리다이렉트 설정을 하지 않으면 이론상으론 될거라 생각합니다.(직접 확인해보지는 못해 이렇게만 말씀드린전 죄송합니다) 마지막 질문에 답변을 드리면 wss를 의해 https 사용시엔 http로 설정됐던 보안그룹 설정을 https 로 바꿔주시면 문제없이 동작할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만 덧붙이자면, 이후 강의에서 api gateway를 사용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때 해당 게이트웨이로는 ws연결이 되지않기때문에 추가적으로 websocket api를 사용해야할 수 있습니다! 강의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궁금증 또는 문제가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남겨주세요! 😀
- 0
- 2
- 103
질문&답변
단일 AZ의 ECS 환경 구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Hephaestus 님!네 배포하실 환경에 가용성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면 하나의 서브넷에만 배포해도 됩니다.EC2의 서브넷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하는 서브넷은 AutoScaling Group이 배포하는 EC2들을 어떤 서브넷에 배치할지에 대한 선택인데, 마찬가지로 VPC Endpoint와 동일한 서브넷에 배치해주시면 문제없이 동작할것같습니다. ECS Service의 서브넷도 fargate나 ec2에 배치될 태스크들의 서브넷을 선택하는 부분인데, 역시 사용하실 하나의 서브넷만 동일하게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강의 들어주셔서 감사하고, 프로젝트 잘 되길 응원하겠습니다.추가로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감사합니다~ 😃
- 1
- 2
- 92
질문&답변
AWS 계정 Budget 설정 (실습) 영상 오류?
안녕하세요 hanumoka님!어 우선 해당 영상은 강의 출시 이후 수정된적이 없고, 금방 제가 확인해봤을 때는 잘 나와서 정상인 상태는 아닌것같습니다.혹시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하면 영상 실행한 환경(os나 기기)이 어떻게 되시나요??
- 0
- 1
- 61
질문&답변
NAT Gateway 와 RDS Proxy
안녕하세요 rjf1138님!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강의에서 nat gateway를 언급하거나 사용할 땐 nat instance로 대신 사용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Nat instance 그대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ㅎㅎ
- 0
- 2
- 100
질문&답변
ecs 컨테이너 인스턴스에 추가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짜스님!이 상황에서 확인해볼만한 요인은endpoint에 사용된 보안그룹이 ec2에 열려있는지와 ec2 profile로 설정된 iam 역할에 권한이 잘 설정되었는지 확인해볼 수 있을것같습니다.추가로 ec2에 접속해서 cloud-init-output.log 파일도 확인해보면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될거에요!이 부분 위주로 확인해보고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하면 문의 남겨주세요!
- 0
- 2
-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