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니어 개발자 하얀종이 개발자입니다.
컴퓨터에 대한 이해와 경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어요. 🙃
게시글
스터디
모집완료
자바 백엔드 이력서기반 + CS 모의 면접 스터디 (경력 2년이상)
- 0
- 0
- 324
질문&답변
author 배열이 비어서 오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private SearchResponse createResponse(Document document) { String author = Optional.ofNullable(document.authors()) .filter(authors -> !authors.isEmpty()) .map(List::getFirst) .orElse("Unknown Author"); String publisher = Optional.ofNullable(document.publisher()) .filter(p -> !p.isBlank()) .orElse("Unknown Publisher"); return SearchResponse.builder() .title(document.title()) .author(author) .publisher(publisher) .pubDate(DateUtils.parseOffsetDateTime(document.dateTime()).toLocalDate()) .isbn(document.isbn()) .build(); }요런식으로 createResponse 부분만 Optional을 이용해서 null 처리 해주면 될 것 같네요.
- 0
- 3
- 127
스터디
모집완료
이펙티브자바 3판 스터디 추가인원 모집합니다.
- 0
- 0
- 504
스터디
모집완료
이펙티브 자바 3판 스터디 모집
- 0
- 0
- 515
블로그
전체 112025. 03. 09.
0
워밍업 클럽 3기 클린코드 스터디 - 1주차 발자국
클린코드 스터디 - 발자국을 통해서 1주동안의 강의와 미션을 통해 무엇을 배웠고, 어떻게 느꼈는지 작성합니다. 섹션1~5 배운 내용섹션 2. 데이터를 추상화추상과 구체이름짓기, 메서드와 추상화, 메서드 선언부, 추상화 레벨, 매직넘버와 스트링 섹션 3. 코드를 추상화인지적 경제성메서드를 리팩토링 하는 방법Early return공백 라인, 부정어예외처리stream API와 Optional() 섹션 4. 객체지향 페러다임객체지향의 특성SOLID 원칙 섹션5. 객체 지향 적용하기상속과 조합Value Object 일급 컬렉션Enum의 특성과 활용 다형성 활용숨겨져 있는 도메인 개념 도출하기 발자국 1주차 회고 💡 배운 점기존에 어설프게 객체지향 코드를 작성했던 부분을 왜 이렇게 작성해야 하는지어떻게하면 더 잘 읽힐 수 있는지를 많이 배운 것 같아요.특히, 인지적 경제성: 최소한의 인지만 가져가서 최대한의 효율을 내보자!! 라는 말을 많이 깨닫게 된 것 같습니다. 🤷♂ 잘한 점읽기 좋은 코드를 이해한 상태로 내가 바꿔보고 강의를 보면서 나와 다른점이 뭔지 보면서 많이 느꼈어요.굉장히 재밌어서 그런지, 매일 꾸준히 공부한 부분도 좋았습니다.이제는 코드를 칠 때 한번 더 생각하게 되는거 같아요. 어떻게 작성하면 다른사람이 편하게 읽을 수 있을까를요.₩⚠ 아쉬운 점영어가 약해서 메서드명 짓기가 너무 서투르다는 것을 느꼈어요.다른 사람들이 메서드명을 어떻게 짓는지 많이 보면서 더 읽기 좋은 메서드명을 찾아봐야 할 것 같아요. 🎯 다음 주 목표따로 정리한 내용 한번씩 읽어보기코드를 따라 치는게 아니라 내가 바꿔보고, 강의를 통해서 바뀐 부분 비교하기단순히 원칙만 지키는게 아니라, 더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깊게 고민하기 한마디아직 많이 부족하구나 라는 것도 느꼈지만, 더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될 거라는 생각에 너무 즐거워요. 🙃다들 다음주도 화이팅입니다.
백엔드
・
워밍업클럽
・
클린코드
・
박우빈
・
ReadableCode
2024. 11. 26.
2
Java 스터디 회고록 [김영한의 자바 기본편] with 우리의 스터디 클럽
회고록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2024년 11월 11일 → 2024년 11월 25일 목표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강의를 진도에 맞게 듣고 인증각 섹션별 미션 문제를 수행하고 정리하여 공유 목표 수행 여부목표 1 : ✅목표 2 : ✅ Keep입문편에 이어서 연속으로 기본편 스터디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기본편부터는 자바의 문법보다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위한 생성자, 접근제어자, 상속, 다형성 등에 대해 학습하였는데요. 신기하게 4년전 자바를 처음 배울때와 또 다르게 느껴졌던 것 같아요.왜 객체지향이 생겨났는지? 어떤게 객체지향적인 코드인지 다시금 깨닫게 되는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기본기를 튼튼히 하자! 라는 스터디 참여 목표에 좀 더 다가갈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처음엔 했던거 또하는게 맞을까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는데, 계속 이 방향으로 가는게 미래의 저한테 더 도움이 될 것 같다는 확신이 점점 듭니다. 또한 이전 입문편에서 개념을 정리하는 부분이 늘어지는게 고민이었는데 조금은 깔끔하게 정리 되고 있어서 발전하고 있다고 느낍니다.이번에도 14일간의 시간동안 17시간의 진도인증 + 미션 풀이 + 공유를 모두 완주하게 되어 기쁘고 뿌듯합니다. Problem이번 스터디에서는 새롭게 깃허브에 미션 코드를 올리고 공유하고 피드백하는 시스템이 추가되었는데요.생각보다 코드에 제 의도가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던 것 같아요. 좀 더 친절하게 보는 사람이 의도를 명확히 이해하는 코드를 만들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개인적으로 어렵기도 했지만 이번 스터디에 코드를 공유하는 부분은 너무 만족스러웠던 것 같습니다. Try다음 스터디도 바로 이어서 자바 중급편이 진행될 것 같습니다. 실무에 필요한 자바의 중급 기능을 배우게 될 텐데 본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기능들을 하나하나 알아 가게 될 것 같아서 기대가 됩니다. 더 자연스럽게 자바를 사용하고 싶네요.빠지지 않고 진도인증, 미션을 모두 끝까지 완주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 무튼 스터디장이신 성빈님 너무 고생많으셨고, 다른분들도 너무 너무 고생많으셨습니다. 이번에도 많이 배웠습니다.!! 🙌
백엔드
・
자바스터디
・
우리의스터디클럽
・
김영한의실전자바
・
기본편
2024. 11. 08.
1
Java 스터디 회고록 [김영한의 자바 입문편] with 성빈클럽
회고록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스터디2024년 10월 27일 → 2024년 11월 8일 목표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강의를 진도에 맞게 듣고 인증각 섹션별 미션 문제를 수행하고 정리하여 공유 목표 수행 여부목표 1 : ✅목표 2 : ✅ Keep요즘 기본기를 튼튼히 하자!라는 방향으로 공부하고 있기때문에 전체 복습하자는 생각으로 스터디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사실 자바를 공부했었고, 실무에서도 사용했었기 때문에 자바를 처음부터 다시보는게 의미가 있을까하는 생각이 있었어요. 그래도 기본기를 복습하자라는 생각으로 꾸준히 진도에 맞게 학습하고, 미션을 모두 수행하다보니 조금은 애매하게 알고 있었던 지식들이 더 확실하게 정립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강의 내용 뿐만아니라 자바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생기면 따로 찾아보기도 하면서 자바안에 수많은 고민들과 개념들이 녹아져 있다는 것을 느껴서 자바를 더 좋아하게 된 것 같기도 하네요.무튼 8일간의 시간동안 13시간의 진도인증 + 미션 풀이 + 공유를 모두 완주하게 되어 기쁘고 뿌듯합니다. Problem조금 제 자신에게 아쉬웠던 부분은 알고 있는 내용을 말로 혹은 글로 풀어서 정리할때 너무 길어지는게 있었던 것 같아요. 아는 것을 좀 더 핵심적으로 간추려서 정리하는 것을 계속 연습해야 할 것 같아요.그리고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성빈님(스터디 장)이 직접 미션 문제를 내주시고 리뷰까지 해주시는 방식이 저한테는 매우 편하고 좋았지만 성빈님이 너무 고생하시기도 하고, 스터디원끼리 서로 내용에 대한 생각을 많이 공유하지 못한 부분이 조금 아쉬웠던 것 같기도해요. 빠듯한 일정이라 어쩔수 없기도 했지만요. Try다음 스터디는 자바 기본편 이어서 자바의 꽃인 객체지향 내용을 다루게 될 텐데, 좀 더 꼼꼼히 정리하면서 개념을 정립하고 싶어요. 그리고 스터디의 포맷도 변경될 수 있다고 하여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저한테도 도움이되고 다른 분들께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성빈님 특히 너무 고생많으셨고, 다른분들도 고생많으셨습니다. 여러모로 많이 배웠습니다.고급자바쟁이까지 끝까지 고고 !! 🙌
프로그래밍 언어
・
김영한의자바입문
・
코드로시작하는자바첫걸음
・
자바스터디
・
성빈클럽
2024. 11. 03.
2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2기 CS 전공지식 완주 후기
열심히, 그리고 얻은 것처음에는 아무생각없이 인프런 사이트에 들어갔다가 워밍업클럽 배너가 보였습니다.디자인, 프론트엔드, 백엔드, CS 전공지식 등 여러 클럽을 모집하고 있었고, 이전부터 CS 관련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과 맞아 떨어져서 감자님이 진행하시는 CS 전공지식 클럽에 참여를 하게 되었습니다. 지식공유자와 함께하는 스터디라고 하며 주어진 강의를 듣고 미션을 수행하는 것이었는데, 참여 필수조건은 강의를 구매해야 하는 것인데요. 할인쿠폰 30%, 40%도 제공되어서 조금 쉽게 결제 버튼을 누를수 있었네요. 항상 스터디를 시작하면 바쁘다는 핑계로 열심히 하려는 초반과는 다르게 후반부로 갈수록 해이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요.이번에도 그러지 않을까? 내가 완주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이 됐지만, 그래도 하자.!! 라는 생각으로 3주동안 열심히 진행한 것 같아요. 강의 듣기 모든 라이브 세션, 미션 인증, 그리고 발자국을 진행하면서 느낀것을 공유드리고 싶네요.키워드는 열심히, 그리고 얻은 것 입니다.뭔소리냐? 하실 것 같은데, 워밍업 클럽은 내가 주체적으로 열심히만 한다면 너무나 얻을게 많다 라는 것 입니다.코치님의 질문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 미션을 통해 학습한 개념에 대해 스스로 잘 알고 있는지 검증, 다른 러너들의 글을 보며 생기는 동기부여, 정말 열심히 공부할 수 밖에 없는 잘 짜여진 스케쥴이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저는 무사히 완주 할 수 있었고 정말 얻은게 많은 시간이 었습니다. 누가 운영체제나 자료구조에 물어본다면, 조금은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나중에는 저도 지식공유자로 참여해서 코치로 꼭 참여해보고 싶어요. 아 그리고, 저는 인프랩에서 진행하는 오프라인 수료식을 참석도 했었어요. 인프랩에서 너무나 준비를 잘 해주셨는데요.맛있는 식사도 무료로 제공해주시고 네트워킹, Q&A, 수료식, 우수러너 발표까지 정말로 알찬 시간이었습니다.수료식에서는 쑥쓰러워서 코치님 그리고 많은 러너분들과는 이야기 못한게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같이 공부했었다는 생각에 엄청 반갑더라구요. 내적 친밀감 😍인프랩에서 진행하는 워밍업클럽이 얼마나 성장할지 더욱 기대가 되는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한마디 하고 싶어요. "뭔가를 얻는 것은 노력한 자의 몫이다."다같이 고생한 코치님과 러너님들 감사합니다. 3기하면 또 봬요~~~~~~~~~~~~~~~~~~~~~~~~~~~~~~
백엔드
・
인프런워밍업클럽
・
인프런
・
스터디2기
2024. 10. 24.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 CS 전공지식 스터디 특별미션
특별미션 특별 미션) 실수로 워밍업 클럽 출석을 빼먹었는데 우연히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졌습니다. 러너분의 이름(name)과 출석수(count)가 저장된 배열에서 여러분(나)의 데이터를 퀵정렬을 이용해 오름차순 정렬하고 가장 첫 번째 데이터인 여러분의 출석수를 변경하도록 코드를 작성해주세요. (퀵정렬 구현 부분도 변경)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QuickSor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er[] arr = { new User("홍길동", 5), new User("임꺽정", 4), new User("이순신", 3), new User("나", 1), new User("짱구", 5) }; System.out.println("===== 정렬 전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 퀵정렬 실행 quickSort(arr, 0, arr.length - 1); // 첫 번째 나의 데이터의 출석수 변경 arr[0].count = 5; System.out.println("===== 정렬 후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 // 퀵정렬 함수 static void quickSort(User[] arr, int left, int right) { // 기저조건 if (left >= right) { return; } int pivotIndex = divide(arr, left, right); quickSort(arr, left, pivotIndex - 1); quickSort(arr, pivotIndex + 1, right); } // 배열을 나누고 피벗의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 static int divide(User[] arr, int left, int right) { int pivot = arr[left].count; // 피벗은 첫 번째 원소의 count 값 int leftStartIndex = left + 1; int rightStartIndex = right; while (leftStartIndex = left + 1 && arr[rightStartIndex].count >= pivot) { rightStartIndex--; } // 인덱스가 교차하지 않았으면 값 교환 if (leftStartIndex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퀵정렬을 수행하고 나의 출석수를 변경하는 코드를 Java로 작성했습니다.count 기준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배열의 첫 번째 데이터인 나의 출석수를 5로 변경하는 로직입니다.개인 일정때문에 첫번째 OT를 빠졌었는데, 구제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네요.감사합니다.!!
백엔드
・
인프런워밍업클럽2기
・
CS전공지식
・
특별미션
2024. 10. 19.
2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 CS 전공지식 스터디 3주차 마지막 발자국
운영체제 3주차 학습 요약 가상메모리컴퓨터의 물리적 메모리의 크기를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운영체제가 각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인 메모리공간을 할당할 수 있게 해줌이때문에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이 메모리 어디에 위치하는지 신경쓰지 않고, 0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고 프로그래밍 함동적주소변환 (DAT)메모리관리자가 가상메모리의 논리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하는 것을 말함세그멘테이션 분할 방식에서 논리 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메모리관리자는 CPU에서 받은 논리주소를 세그멘테이션 테이블을 이용하여 물리주소를 찾음페이징 분할 방식에서 논리 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메모리관리자는 CPU에서 받은 논리주소를 페이지 테이블을 이용하여 물리주소를 찾음페이지드 세그멘테이션 분할 방식에서 논리 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세그멘테이션 테이블의 속성값으로 페이지 테이블의 인덱스를 추가할 수 있게하여 세그멘테이션, 페이지 테이블을 모두 이용해서 물리주소를 찾음가상메모리는 세그멘테이션으로 분할되어 있고, 물리메모리는 페이징으로 분할되어 있어 각 분할방식의 장점을 취할 수 있게 함메모리 접근권한세그멘테이션 테이블에 메모리의 특정번지에 권한을 부여하는 속성을 추가하여, 메모리 접근시 권한을 검사할 수 있음디멘드 페이징 정책조만간 필요할 것 같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가져오고 쓰이지 않을 것 같은 데이터는 스왑영역으로 보내는 정책필요한 데이터를 언제 메모리로 가져올지를 결정하는 것페이지 테이블 엔트리접근비트, 변경비트, 유효비트, 권한비트 (프레임번호만 있는게 아님)페이지 폴트프로세스가 가상메모리에 접근요청했을때 물리메모리에 데이터가 없을때 발생하는 인터럽트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면 보조저장장치의 스왑영역에 접근하여 스왑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리는 작업을 함페이지 교체정책스왑영역에서 데이터를 찾아 메모리에 올리려고 했는데, 이미 메모리가 가득찼을때 조회할 데이터를 메모리에 추가하기위해 데이터를 남기거나 스왑영역으로 보내는 정책무작위, FIFO, Optimum, LRU, Clock Algorithm, Enhanced Clock Algorithm스레싱과 워킹셋스레싱제한된 물리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많이 올려 스왑 영역에 데이터가 많이 저장되고 Page Fault가 자주 발생하게 되면 CPU 사용률이 떨어짐. 스케줄러에 의해 운영체제는 CPU 사용률을 올리기 위해 더 많은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올리게 되고 이를 반복하게 되면 CPU 사용률이 0에 가깝게 떨어지는데 이를 스레싱이라고 함워킹셋현재 메모리에 올라온 페이지는 다시 사용할 확률이 높기에 하나의 세트로 묶어서 메모리에 올리는데 이를 워킹셋이라고 함입출력장치주변장치(I/O 디바이스, 저장장치)들은 메인보드에 있는 버스로 연결되어 있음각 하드웨어에 맞게 외부 인터페이스가 존재캐릭터 디바이스, 블록디바이스 입출력 제어기는 두 개의 채널, 시스템 버스와 입출력 버스로 구분파일과 파일시스템운영체제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자파일을 관리하는 하드디스크나 Flash Memory(SSD)는 블록 디바이스, 파일 시스템은 전송 단위는 블록이지만, 사용자는 바이트 단위로 파일에 접근이 가능해야 함, 파일 관리자가 이를 중간에서 관리파일의 종류순차파일구조, 직접파일구조, 인덱스파일구조디렉토리관련있는 파일을 모아둘 수 있도록 하는 장치알고리즘 & 자료구조 3주차 학습 요약 삽입 정렬 (Insertion Sort)정렬되지 않은 영역에서 데이터를 하나씩 꺼내서 정렬된 영역 내 적절한 위치에 "삽입"해서 정렬하는 알고리즘삽입하려는 데이터를 정렬된 영역의 원소를 역순으로 순회하면서 비교O(n²)장점 : 작은 데이터나 거의 정렬된 데이터에 대해 매우 효율적단점 : 속도가 느려서 대규모 데이터에 비효율적 병합 정렬 (Merge Sort)정렬하려고 하는 배열을 잘게 쪼갠다음, 순서에 맞게 재배열하는 알고리즘 (재귀)O(n log n) 장점 : 속도가 빠르며 대규모 데이터에서도 일정한 성능을 보임 단점 : 추가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며, 메모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음퀵 정렬 (Quick Sort)배열의 숫자중 하나를 피벗으로 설정하고, 피벗의 왼쪽에는 작은값, 피벗의 오른쪽에는 큰값을 정렬하는 알고리즘분할시 왼쪽과 오른쪽의 포인트가 교차하면 피벗과 오른쪽 포인트의 값과 교환하여 피벗값을 정렬해나감평균 O(n log n), 최악 O(n²) 장점 : 평균적으로 매우 빠르고, 메모리 사용이 적음 단점 : 피벗 선택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며, 최악의 경우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그러나 최악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동적프로그래밍메모이제이션계산 결과를 따로 기억해서 여러 번 중복 계산하지 않도록 하는 기법하향식 계산 방식으로 활용타뷸레이션계산에 필요한 모든 값을 전부 계산 후 테이블에 저장하는 기법상향식 계산 방식으로 활용 회고스터디의 마지막 주차가 되었네요. 나름 정리도 하고 CS전공지식 스터디 내부에서 다른분들이랑 모여 발표 스터디도 하면서 열심히 학습하면서 많이 배운시간이 었던거 같아요. 특히나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해보면서 각 알고리즘의 장.단점을 외우지 않아도 조금만 생각해보면 장.단점을 도출할 수 있게 되어서 좋았어요.스터디 발표 & 정리 자료 캡쳐빠르게 끝나 아쉬움반 후련함반이 있지만, 계속 복습하고 부족한 부분 채워나가면서 열심히 해나가겠습니다.많이 배웠습니다. 즐거웠어요.
백엔드
・
CS전공지식
・
그림으로쉽게배우는자료구조와알고리즘
・
그림으로쉽게배우는운영체제
・
인프런워밍업클럽2기
・
감자
2024. 10. 19.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 CS전공지식 스터디 미션 03 입니다.
CS전공지식 미션 2운영체제메모리의 종류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각 메모리의 특징도 함께 적어주세요.레지스터CPU 내부에 있는 가장 빠른 메모리로 CPU가 계산하기위해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으며, 64bit 32bit CPU라는 말도 CPU의 연산단위이면서 레지스터의 크기를 나타냄캐시L1, L2, L3 캐시등이 있으면 CPU와 메모리 사이의 속도차이를 줄이기 위해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메인 메모리일반적으로 RAM을 의미하며 포노이만 구조의 CPU가 연산하기위해 프로세스를 올리는 공간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도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임보조저장장치SSD, HDD 등으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음, 메모리보다 속도가 느림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남아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임 사용자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운영체제 영역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만든 레지스터는 어떤 레지스터일까요?경계레지스터 : CPU내부에 존재해서 맨 앞에 저장하고 있는 운영체제 영역의 최대 범위를 기록하고 있어, 침범하지 못하게 함, 만약 경계 레지스터의 값을 넘긴 프로세스가 있으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시킴메모리 할당 방식에서 가변 분할 방식과 고정 분할 방식의 장단점은 뭔가요?가변분할방식은 프로세스의 크기에 맞춰 메모리를 분할하는 방식으로 프로세스의 영역별로 메모리를 분할 할 수 있어, 메모리 접근권한이나 메모리 공유를 할 수 있음, 그러나 외부단편화가 발생하여 메모리낭비가 생길 수 있음 고정분할방식은 고정된 크기로 메모리를 분할 하는 방식으로 가변분할방식의 외부단편화를 제거할 수 있음, 그러나 고정된 크기에 프로세스를 나눠서 할당하기 때문에 내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고, 프로세스 영역별로 나눌수 없어 메모리 접근권한이나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있음CPU 사용률을 올리기 위해 멀티프로그래밍을 올렸지만 스왑이 더 많이 이루어져 CPU 사용률이 0%에 가까워 지는 것을 뭐라고 할까요?스레싱많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리면 스왑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음이때 CPU가 실제 작업을 처리하지 못하고 스왑 작업에만 몰두하게 되어 CPU를 사용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함HDD나 SSD는 컴퓨터를 실행시키는데 꼭 필요한 걸까요?꼭 필요하지는 않음컴퓨터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RAM이 필요하지만, HDD나 SSD는 데이터의 영구적 저장을 위한 보조 장치임만약 시스템이 네트워크 기반 부팅을 사용하거나 RAM 디스크를 활용하는 경우, HDD나 SSD 없이도 컴퓨터를 실행할 수 있음. 다만 RAM은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운영체제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HDD나 SSD가 필요파일을 삭제해도 포렌식으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파일을 삭제하더라도 실제로 데이터는 즉시 삭제되지 않고, 파일 시스템에서 해당 파일의 참조만 제거됨실제 데이터는 디스크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포렌식 도구를 이용해 복구할 수 있음.완전한 삭제를 위해서는 데이터를 덮어쓰는 과정을 거쳐야 함자료구조와 알고리즘지금까지 배운 5개의 정렬 알고리즘의 장단점과 시간 복잡도를 적어주세요.버블 정렬 (Bubble Sort)O(n²)장점 : 단순한 구조로 이해 & 구현이 쉬움, 거의 정렬된 배열에서는 빠르게 종료될 수 있음단점 : 속도가 느리고, 다른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에 비해 많이 사용되지 않음선택 정렬 (Selection Sort)O(n²)장점 : 메모리 사용이 적고, 단순한 구조로 이해 & 구현이 쉬움단점 : 속도가 느리고, 다른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에 비해 많이 사용되지 않음삽입 정렬 (Insertion Sort)O(n²)장점 : 작은 데이터나 거의 정렬된 데이터에 대해 매우 효율적단점 : 속도가 느려서 대규모 데이터에 비효율적병합 정렬 (Merge Sort)O(n log n)장점 : 속도가 빠르며 대규모 데이터에서도 일정한 성능을 보임단점 : 추가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며, 메모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음퀵 정렬 (Quick Sort)평균 O(n log n), 최악 O(n²)장점 : 평균적으로 매우 빠르고, 메모리 사용이 적음단점 : 피벗 선택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며, 최악의 경우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그러나 최악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메모리가 부족한 시스템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재귀로 쉽게 구현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이라면 메모이제이션과 타뷸레이션 중 어떤 걸 이용하실 건가요? 이유를 함께 적어주세요.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재귀를 사용하면서 이미 계산된 값을 기억하고 활용하는 방식으로, 필요할 때 계산된 값을 바로 반환해서 사용재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중복 계산을 피할 수 있음타뷸레이션(Tabulation)문제를 하위 문제부터 점진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으로, 반복문을 사용해 값을 채워나가는 방식메모리 부족한 상황이라면 타뷸레이션을 사용할 것 같습니다.타뷸레이션은 스택 오버플로우 위험이 없고, 재귀 호출에 따른 추가적인 메모리 오버헤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백엔드
・
CS전공지식
・
그림으로쉽게배우는자료구조와알고리즘
・
그림으로쉽게배우는운영체제
・
인프런워밍업클럽2기
・
감자
2024. 10. 13.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 CS 전공지식 스터디 2주차 발자국
운영체제 2주차 학습 요약 CPU 스케쥴링 알고리즘SJF (Shortest Job First)짧은 작업 시간을 가진 프로세스에 먼저 CPU를 할당하는 방식버스트 타임이 긴 프로세스는 계속 실행되지 않을 수 있고, 어떤 프로세스가 얼마나 실행될지 예측이 어려움RR (Round Robin)시간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각 프로세스에 순차적으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컨텍스트 스위칭으로 인해 처리량이 늘어남MLFQ (Multi Level Feedback Queue)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동적으로 조절하여 CPU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오늘날 운영체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됨프로세스 동기화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에 동시에 접근할 때 순서를 정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프로세스간 통신의 종류한 컴퓨터 내에서 프로세스간 통신하는 방법 : 파일 or 파이프를 이용한 프로세스 내에서 쓰레드간 통신하는 방법 : 데이터 or 힙영역을 이용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 소켓통신, RPC공유자원과 임계영역공유자원은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간 통신할 때 공동으로 이용하는 변수나 파일 같은 것들공유자원은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각 프로세스의 접근 순서에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임계영역은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가 동시에 사용하면 안되는 영역 (접근 순서등의 이유로 결과가 달라지는 영역)경쟁조건은 공유자원을 서로 사용하기 위해 경쟁하는 것임계구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건상호배체임계영역엔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해야 함한정대기기다리는 프로세스는 언제가는 임계영역에 접근 할 수 있어야함진행의 융통성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일을 방해해서는 안됨세마포어 & 모니터뮤텍스는 공유자원을 lock()과 unlock()을 이용하여 프로세스의 접근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여러 프로세스의 접근을 관리할 수 있으면 세마포어 (뮤텍스는 동기화 대상이 오직 하나임)세마포어는 잘못된 사용으로 임계영역을 보호받지 못할 수 있음 (세마포어를 사용하지 않고 임계구역에 들어간 경우)이를 해결한 방식이 모니터모니터는 공유자원을 숨기고 접근에 대한 인터페이스만 제공하여 공유자원에 안전하게 접근하게 하는 메커니즘운영체제가 처리하는게 아니라 프로그래밍 언어차원에서 지원하는 방법임교착상태 (데드락)두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다 아무도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데드락 필요조건상호배제비선점점유대기원형대기은행원 알고리즘총 자원의 양과 현재 할당한 자원의 양을 기준으로 안정 또는 불안정 상태로 나누고,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는 수준이 되도록 자원을 할당하는 알고리즘검출 & 회복교착상태는 어떻게 검출하지?가벼운 교착상태 검출 (타이머)일정시간마다 작업을 조작하고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체크포인트로 롤백무거운 교착상태 검출 (순환구조)교착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고 다시 실행 시킬때 체크포인트로 롤백오버헤드가 발생하지만 억울하게 종료되는 프로세스는 발생하지않음메모리레지스터 (32bit 또는 64bit)캐시CPU와 메인메모리 속도 차이 때문에 미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공간메인메모리 (RAM)프로세스를 로드, 휘발성보조기억장치 (SSD, HDD)디스크 저장, 비휘발성물리 주소 - 물리적인 메모리 주소논리 주소 - 사용자 관점에서 본 상대적 주소, 사용자는 논리 주소를 통해 물리 주소로 접근메모리 할당방식가변분할방식메모리에 연속해서 프로세스를 할당단점으로 외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음고정분할방식메모리를 정해진 크기로 나누어 프로세스를 할당단점으로 내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음버디시스템메모리를 2의 제곱 수로 분할하여 할당하는 방식가변분할방식과 고정분할방식을 합친 방법 알고리즘 & 자료구조 2주차 학습 요약 재귀 & 재귀적으로 생각하기재귀는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말함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의 부분 문제를 같은방식으로 해결하는 과정하향식 풀이에서 활용됨 (하위 문제를 기반으로 해결)하노이탑 구현하기세개의 기둥과 서로 다른 크기의 원반들이 있을때 가장 큰 원반이 아래에 있고 위로 갈수록 작은 원반으로 이루어져있음하나의 기둥에 있는 원반들을 다른 기둥으로 옮겨야 함기둥 A에 있는 원반을 기둥 C로 옮기기 (하향식 접근으로 풀이) 처음 시작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캡쳐 모두 옮김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캡쳐자바코드public class HanoiTop { void hanoi(int count, String from, String to, String temp){ if(count == 0) return; hanoi(count - 1, from, temp, to); System.out.printf("원반 %d를 %s에서 %s로 이동\n", count, from, to); hanoi(count - 1, temp, to, fro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noiTop hanoiTop = new HanoiTop(); hanoiTop.hanoi(3, "A", "C", "B"); } } 버블정렬앞에 있는 숫자와 옆에 있는 숫자를 비교해서 자리를 바꾸는 알고리즘자바코드public class BubbleSort { void bubbleSort(int[] arr) { // 사이클 - 자리교체는 (배열의 갯수 - 1) 번 수행함 for (int i = 0; i arr[j + 1]) { // 데이터 자리변경 int temp = arr[j]; arr[j] = arr[j + 1]; arr[j + 1] = temp;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2, 3, 1, 4}; // 정렬 전 - arr = [2, 3, 1, 4] System.out.println("정렬 전 - arr = " + Arrays.toString(arr)); BubbleSort bubbleSort = new BubbleSort(); bubbleSort.bubbleSort(arr); // 정렬 후 - arr = [1, 2, 3, 4] System.out.println("정렬 후 - arr = " + Arrays.toString(arr)); } } 선택정렬정렬되지 않은 배열의 첫번째 원소를 시작으로 마지막 원소까지 탐색하여 가장 작은 값을 정렬되지 않은 첫번째 배열로 가져오는 알고리즘자바코드public class SelectionSort { void selectionSort(int[] arr) { // 1 사이클의 순회는(배열의 갯수 - 1) 번 수행됨 for (int i = 0; i 회고2주차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정해진 진도도 학습하면서, 스터디안에 발표스터디에 참여해서 복습도 하는 과정이었어요. 적어보였던 운영체제의 내용이 생각보다 많아서 정리하는데 은근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구요. 그래도 스터디안의 발표 스터디에 참여하여 정리내용을 발표하고 다른 스터디원들의 발표내용도 듣고 헷갈리는 부분도 토론해서 도움이 많이 되었던 한 주 였던것 같습니다.스터디 발표 정리 자료 캡쳐그리고 이번 알고리즘 강의에서는 항상 어렵게 느꼈던 재귀에 대해 조금은 이해한게 너무 좋았습니다.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의 부분 문제를 같은 방식으로 분해하여 해결한다.!! 재귀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할 때 이 함수가 벌써 구현이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재귀함수를 구현한다.!! 많이 연습해봐야겠지만 그래도 재귀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마지막 1주가 남았는데, 끝까지 열심히 해서 끝까지 완주해야겠네요. 화이팅
백엔드
・
인프런워밍업클럽2기
・
CS전공지식
・
2주차
・
발자국
・
감자
2024. 10. 13.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 CS전공지식 스터디 미션 02 입니다.
CS전공지식 미션 2운영체제FIFO 스케줄링의 장단점이 뭔가요?FIFO (First In First Out) 스케쥴링은 말그대로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 받는 방식을 말합니다.장점은 단순하게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해와 구현이 쉽고, 프로세스가 작업이 완료될때까지 지속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CPU의 사용률을 높다는 것에 있습니다.단점으로는 진행되고 있는 프로세스가 완전히 끝나야만 다음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작업시간이 긴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되고 작업시간이 작은 프로세스가 다음에 실행된다고 한다면, 작은 프로세스는 계속 기다리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도중에 I/O작업이 발생하면 CPU작업이 필요없는데도 I/O작업이 끝날때까지 CPU가 대기하는 비효율도 발생하게 됩니다.SJF를 사용하기 여러운 이유가 뭔가요? SJF(Shortest Job First)는 짧은 작업시간을 가진 프로세스에 먼저 CPU를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FIFO보다 빠르지만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가 있습니다.첫번째는 짧은 작업시간을 가진 프로세스를 선별해야 하는데 실제 어떤 프로세스가 얼마나 실행될지 예측이 어렵다는 점 입니다. 운영체제는 작업의 소요 시간을 사전에 예측하기 힘들며, 이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두번째는 작업시간이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계속 뒤로 밀리면서 실행되지 못하고, 기아(starvation)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SJF는 현실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R 스케줄링에서 타임 슬라이스가 아주 작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RR(Round Robin)는 FIFO 스케쥴링의 단점을 해결하기위해 시간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각 프로세스나 작업에 순차적으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을 말합니다.타임슬라이스가 아주 작으면 타임슬라이스 마다 CPU가 할당되는 프로세스가 변경되는 만큼 컨텍스트 스위칭이 발생하기 때문에 처리량이 늘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만약 프로세스의 처리량보다 컨텍스트 스위칭의 처리량이 커진다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운영체제가 MLFQ에서 CPU Bound Process와 I/O Bound Process를 어떻게 구분할까요?MLFQ (Multi Level Feedback Queue)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동적으로 조절하여 CPU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MLFQ는 CPU Bound Process는 타임슬라이스를 크게 주고 I/O Bound Process는 타임슬라이스를 적게 주는 방식으로 동작하는데, 프로세스가 동작하면서 주어진 타임슬라이스를 모두 사용하고 운영체제에 의해 CPU를 빼앗기면 CPU Bound Process로 간주하여 우선순위를 낮춰 다음 실행될 때 더 큰 타임슬라이스를 부여하도록 하고, I/O작업이 발생하여 스스로 CPU를 반납하면 I/O Bound Process로 간주하여 우선순위를 높여 작은 타임슬라이스가 주어지도록 합니다.공유자원이란무엇인가요?공유자원은 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 프린터, 메모리 등이 있습니다. 공유자원은 여러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가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각 프로세스의 접근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동기화 문제)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는 조건은 어떤 것들을 충족해야할까요?교착상태 (데드락)은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다 아무도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는 조건은 4가지인데 모두 충족해야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상호 배제 : 어떤 프로세스가 한 리소스를 점유했다면 그 리소스는 다른 프로세스에게 공유되면 안됨비선점 : 프로세스 A가 리소스를 점유하고 있으면 다른 프로세스가 리소소를 빼앗을 수 없음점유대기 : 어떤 프로세스가 리소스 A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리소스 B를 원하는 상황원형대기 :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의 관계가 원형을 이루고 있음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재귀함수에서 기저조건을 만들지 않거나 잘못 설정했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요?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말하는데, 문제를 반복적으로 더 작은 문제로 분해하여 해결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때 계속 자기 자신을 호출하므로 어느순간에는 호출을 멈춰야 하는데, 기저조건이 이 역할을 하게 됩니다.만약 기저조건을 만들지 않거나 잘못설정하면, 함수가 계속해서 자신을 호출하여, 스택오버 플로우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 될 수 있습니다.2.0부터 입력 n까지 홀수의 합을 더하는 재귀 함수를 만들어보세요.자바스크립트 코드function sumOdd(n){ // 기저조건 : n이 0보다 작으면 0을 반환 if (n 자바 코드개인적으로 자바를 사용하고 있어서 자바코드로도 작성해봤습니다.public class SumOddNumbers { // 0부터 n까지 홀수의 합을 구하는 재귀 함수 public static int sumOdd(int n) { // 기저 조건: n이 0 이하일 때 0을 반환 if (n
백엔드
・
인프런워밍업클럽2기
・
cs전공지식
・
스터디미션2주차
・
감자
2024. 10. 05.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 CS 전공지식 스터디 1주차 발자국
운영체제 1주차 학습 요약 운영체제운영체제는 컴퓨터를 유연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하다.운영체제가 하는일프로세스를 관리 (여러 프로그램을 동작시킴)메모리를 관리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감)하드웨어 관리 (사용자의 하드웨어에 대한 직접 접근을 막음)파일 시스템 관리 (하드디스크에 많은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저장&관리)운영체제의 구조커널 - 프로세스와 메모리, 저장장치를 관리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인터페이스 - 사용자가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도와주는 외부 인터페이스시스템 콜 - 커널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커널이 소통할때 사용되는 내부 인터페이스 (커널을 보호)드라이버 - 하드웨어와 커널간의 인터페이스폰노이만 구조CPU와 메모리를 분리하고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려서 실행하는 구조인터럽트인터럽트는 폴링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위해 CPU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일시중단하고 외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기위해 서비스루틴을 실행하는 매커니즘프로세스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가서 CPU 할당의 대상이 되는 능동적인 존재프로세스의 구조코드영역(실제 코드), 데이터영역(전역변수, 정적변수), 스택영역(지역변수, 함수), 힙영역 (객체 등, 런타임시 동적인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는 공간)컴파일 과정test.c -> 전처리기 -> test.i -> 컴파일러 -> test.s(어셈블리어) -> 어셈블러 -> test.o(기계어) -> 링커(라이브러리 연결) -> test.exe프로세스 컨트롤 블록 (PCB)운영체제는 여러개의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공평하게 CPU를 할당하기 위해 프로세스 정보를 담은 PCB를 만들고 저장함식별자, 프로세스 상태, 프로그램카운터, 레지스터 정보등을 저장프로세스 상태생성, 준비, 실행, 대기, 완료컨텍스트 스위칭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중에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저장하고 다른 프로세스의 상태값으로 교체하는 작업쓰레드한 프로세스 내에서 동시에 각자 실행될 수 있는 작업 흐름의 단위기본적으로 프로세스 1개에는 1개의 쓰레드가 존재쓰레드끼리는 스택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공유해서 사용, 프로세스에 할당된 Virtual Memory로 공간이 제약됨공유하는 영역을 통해 메모리 낭비를 줄이고 쓰레드끼리 소통할때 비용이 적게 들지만, 안정성이 떨어짐CPU 스케쥴링운영체제는 CPU를 여러 프로세스에 할당/해제 하는 것을 CPU 스케쥴링이라고 함다중 큐준비, 대기 상태의 프로세스는 다중 큐 자료구조에서 관리다중큐에는 정확하게는 프로세스의 정보를 가진 PCB가 저장CPU 스케쥴링 알고리즘FIFO (First In First Out)스케쥴링 큐에 들어온 순서대로 CPU를 할당 받는 방식한 프로세스가 완전히 끝나야 다음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I/O작업시 I/O작업이 끝날때까지 CPU가 대기하는 단점이 있음프로세스의 BURST TIME에 따라 성능차이가 심하게 나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고, 일괄처리 시스템에서 쓰임 알고리즘 & 자료구조 1주차 학습 요약 알고리즘어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확실한 방법자료구조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방법상황에 맞는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시간복잡도더 좋은 알고리즘이란 무엇일까? 메모리를 더 적게 사용하는 것? 속도가 빠른 것?입력값이 달라지더라도 동일하게 알고리즘의 속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시간복잡도입력값에 따른 변화의 추이를 나타내는 방법중에 최악의 경우를 기준으로 표기하는 빅 오 표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됨배열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요소들을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자료구조읽기, 쓰기와 같은 참조에는 O(1)의 성능을 가짐그러나 데이터 삽입, 삭제에서는 데이터 복사, 이동등이 일어나 비효율적임또한, 고정된 크기로 배열을 생성해야함연결리스트배열의 단점은 연속된 메모리공간이 필요하다는 것과 초기 배열의 크기를 모르면 메모리가 낭비될 수 있다는 점임연결리스트에 데이터를 추가한다면 빈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생성하고 연결만 해주면 됨연결리스트는 요소 접근시 첫번째 노드부터 이동하면서 찾아야함, O(N)배열 VS 연결리스트배열은 메모리 크기가 고정이고, 연속된 주소에 할당되는 단점, 그러나 인덱스 접근으로 인해 참조는 매우 빠름 연결리스트는 초기 크기를 알 필요없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연결만 해주면 됨대신 인덱스 접근이 느림 (첫번째 노드부터 이동하면서 찾아야 함)스택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마지막에 나가는 First In Last Out의 자료구조큐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는 First In First Out의 가료구조덱데이터 삽입과 제거를 앞과 뒤 모두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자료구조덱을 이용하면 스택과 큐 모두 구현 가능해시테이블해시 함수에 의해 생성된 해시값을 인덱스로 사용하여, key, value 쌍으로 저장됨해시충돌서로 다른 입력값이 동일한 해시값을 갖는 상황체이닝충돌이 발생한 경우, 동일한 해시값을 갖는 여러개의 항목을 연결리스트로 저장 (실제로는 레드블랙트리) 해시테이블의 장.단점장점 : 빠른 데이터 읽기, 삽입, 삭제 - O(1)의 성능단점 : 메모리를 많이 차지함 (좋은 해시함수는 필수)셋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자료구조 (순서를 보장하지 않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회고1주일동안 CS 전공지식 스터디를 하면서 부족한 것을 채우면서 많이 공부하게 된 것 같아요. 다른사람들이 어떻게 공부하고 있는지, 그리고 미션을 통해 가장 중요하게 알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들을 집어주셔서 확실히 개념이 잡히는 것 같아요.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전공자임에도 스스로 알고 있다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생각보다 잘 모르고 있구나 라는 반성을 많이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스터디와 강의로 통해서 개념을 다시 정리할 수 있게되어 너무 좋았어요. 특히, 운영체제 부분 프로세스의 상태 전환 하는 부분에서 많이 배운 것 같네요.개발을 할 때 필요한 기본 지식들, 알고리즘 그리고 자료구조들은 평생 사용하는 것들인데 스터디를 통해 많은 것들을 얻는 것 같아요. 이제 2주 남았는데요. 짧다면 짧은 기간이지만 함께 달려서 완주했으면 좋겠습니다.
백엔드
・
인프런워밍업클럽2기
・
cs
・
발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