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질문&답변
ECR 푸시명령 login 400 Bad Request 에러
[카톡으로 소통하며 해결한 방법] - 참고용powershell이 아닌 다른 터미널(git bash 등)을 활용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작동한다. powershell로 ECR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을 하려면 아래 링크에 나와있는 명령어를 입력해야 한다. https://inf.run/dAjau
- 0
- 3
- 22
질문&답변
ECR 푸시명령 login 400 Bad Request 에러
안녕하세요 마음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IAM 권한 확인: AWS CLI에서 사용하는 IAM 사용자가 AmazonEC2ContainerRegistryFullAccess 또는 필요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AWS CLI 설정 확인: CLI가 올바르게 설치되었고, 올바른 프로필이 설정되어 있는지 aws configure를 통해 확인하세요. aws_access_key_id와 aws_secret_access_key가 적절히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합니다. 위 2가지 사항 체크한 뒤에도 해결이 안 되신다면아래 톡방으로 연락 한 번 주실 수 있을까요~?? 연락 주실 때 위 2가지 확인한 내용 캡쳐해서 같이 보내주세요! (혹시 몰라서 더블체크까지 도와드릴게요ㅎㅎ)https://open.kakao.com/o/srGtpusg
- 0
- 3
- 22
질문&답변
DOCKER로 MYSQL 실행하기 -3
안녕하세요 이성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경로를 입력하실 때 /mnt/c/users/lucig/Downloads/docker-mysql/mydata로 입력하지 말고C://users/lucig ...의 형태로 윈도우의 실제 경로로 한 번 입력해보시겠어요~?? 윈도우의 경로로 입력했는데도 정상적으로 실행이 안 되신다면입력하신 명령어와 에러 메시지도 다시 한 번만 댓글 달아주세요~!!
- 0
- 2
- 11
질문&답변
도커 볼륨을 사용할때 디렉토리 절대경로
안녕하세요 태우님! 강의 잘 봐주셔서 감사해요~~로컬에서 docker 볼륨을 사용할 때는 도커 볼륨 폴더 위치를 크게 신경쓰진 않습니다!만약 프로덕션 환경에서 docker 볼륨을 사용할 경우저 같은 경우는 관리하기 쉽게 루트 경로(~)에서 도커 볼륨을 관리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어떤 위치든 관리하기 쉬운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볼륨을 설정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이 외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15
질문&답변
도커는 어떤 실무 환경에서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은경님! 강의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질문해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 도커는 협업 환경에서 자주 쓰이나요?-> 협업을 하느냐 안 하느냐 여부로 도커 사용을 결정하진 않습니다! 현재 서비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커의 장점이 단점보다 많다고 생각될 때 도커를 활용합니다. 컨테이너 기반의 기술인 도커를 활용하게 되면 가장 큰 장점이 이식성(강의에서 자세히 설명)인데, 이 장점 때문에 최근 현업 IT 서비스 기업들에서도 대부분 도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커가 만능 기술일 정도로 장점만 가지고 있는 건 아닙니다. 말씀해주신 대로 배포 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디버깅이 조금 더 복잡하긴 합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도커가 가진 장점이 단점보다 크다고 판단해 도커를 자주 활용합니다! 도커는 왜 MSA 환경에 적합하다는 이야기가 많을까요?-> MSA 환경에서는 지속적인 배포와 수평적 확장이 중요한데, 도커는 이식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MSA 환경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말씀해주신 대로 '각 서비스의 환경 셋팅이나 배포가 많아서 그렇다'라는 말도 맞는 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린 내용은 이론적인 내용이므로은경님이 실제 프로젝트를 하면서 정말 도커를 사용할 정도로그만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지 느껴보고,만약 장점을 가지고 있다면 어떤 점이 얼마나 편한 지를 파헤쳐보시면좋은 학습이 될 것 같습니다!이 외로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 1
- 2
- 38
질문&답변
ec2 수평적 확장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동아님! 강의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질문 해주셨네요!! 토큰은 stateless(= 특정 서버에 의존되지 않는 성질)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수평적 확장을 하더라도 크게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하지만 세션은 stateful(= 특정 서버에 의존 = 특정 서버에 로그인 정보가 저장됨)한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수평적 확장을 하게 되면 로그인 인증 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따라서 세션을 활용하는 구성에서 수평적 확장을 하고 싶을 경우,Redis와 같은 외부 원격 세션 저장소를 활용해 인프라를 구성합니다~!! 이 외로 궁금한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11
질문&답변
엘라스틱 서치와 레디스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네오스카이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엘라스틱 서치와 레디스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엘라스틱 서치와 레디스 차이점은 아래 링크에서 잘 정리되어 있는 것 같아링크 첨부드릴 수 있도록 할게요~!!https://f-lab.kr/insight/redis-elasticsearch-usage-20240808 그리고 강의 중에 엘라스틱 서치도 redis-cli로 접속하여 값을 볼수있는데. 이것은 왜 redis-cli 를 사용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우선 말씀해주신 질문에 초점을 맞춰 답변을 드려보자면, 엘라스틱 서치는 redis-cli를 사용해서 다루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정확한 답변을 위해 혹시 엘라스틱 서치로 redis-cli로 접속하여 값을 본 부분이 영상의 어떤 부분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또 다른 궁금한 점 있으시면 답글 남겨주세요~~~~
- 0
- 2
- 23
질문&답변
Next.js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정화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그 전에 실습한 node 때문인 것 같습니다!Docker로 node를 띄우셨다면 docker kill 명령어를 활용해서3000번 포트로 실행시킨 node를 종료시킨 뒤에다시 next.js를 실행시키키기 바랍니다~!!혹시 안 되시면 또 댓글 남겨주세요 ~~~
- 0
- 2
- 26
질문&답변
TPS 기준
안녕하세요 동아님! 강의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 데이터가 100만개가 있으면 원래 3TPS 정도가 나오는 건가요?-> 시스템의 환경, 데이터의 종류, 로직의 복잡도 등 여러가지 요소에 TPS가 영향을 받다보니데이터 100만개면 무조건 3TPS 정도 나온다고 단정지어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그런데 측정하신 값이 3~4TPS라면, 현재 구성하신 인프라에서의 TPS가 3TPS 정도가 맞으실거에요! 3~4TPS가 나오는데 TPS가 얼마나 나와야 잘나오는지 기준을 잘 모르겠다.-> 대략적인 계산으로 어느 정도의 성능인지 설명드려볼게요! 3TPS라고 가정했을 때 1초에 3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하루(24시간 = 86,400초)에 259,200(3TPS x 86400초)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한 명의 유저가 서비스를 활용하면서 평균 10개의 요청을 보낸다고 가정해보면하루에 25,920명의 유저수를 감당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24시간 동안 유저들이 균일하게 요청을 보낸다고 가정) 이런 식으로 시스템이 어느 정도의 성능을 가졌는 지, TPS가 잘 나온건지를 짐작하실 수 있습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답글 남겨주세요 ~~~
- 0
- 2
- 26
질문&답변
> ./output.log 2>&1 & ```
안녕하세요 인프라님! Spring Boot에서 발생한 로그를 output.log 파일에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면저 명령어를 굳이 붙이지 않으셔도 됩니다~!!이 외로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 0
- 1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