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32021. 06. 23.
0
[라이브스터디] whiteship 블로그 토이프로젝트 스터디 3일차
스터디 팀 명 라이브 스터디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3회차(2021.06.23) 구글 미트 스터디 참여자 전원 참석 스터디 주요 내용 ERD 초안 리뷰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Q: 깃허브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어떤 목적으로 사용이 되어지나요?A: 순위를 지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집니다. Q: 타임 라인은 사용이 되어질까요?A: 굳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Q: 이모지, 과제는 따로 테이블을 만드는것이 나을까요?A: 1) 이모지같은 경우 누가 이모지를 눌렀는지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만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2) 만약에, 스터디시즌 2가 시작한다면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질문에 대한 서로의 답과 아직 해결하지 못한 질문들 없습니다. 다음번 스터디 주제 프로젝트 구조 확립
2021. 06. 20.
0
[라이브스터디] whiteship 블로그 토이프로젝트 스터디 2일차
스터디 팀 명 라이브스터디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1회차(2021.06.20) 구글 미트 스터디 참여자 3명 전원 참여 스터디 주요 내용 GitHub 정보 연동을 위한 API 조사 1. GitHub의 특정 repository’s issue 목록 조회 가능한지. 해당 API의 필수 파라미터는 무엇인가 2. 특정 issue의 댓글들 조회 가능한지. 해당 API의 필수 파라미터 및 body 정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3. 댓글에 달린 이모지 숫자, 이모지 정보 조회 가능한지. 해당 API에 대한 조사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A: 정보 업데이트는 배치로 돌릴 것인가? 아니면 수동으로 업데이트를 할 것인가? Q: 주기적으로 배치가 돌지만, 웹 사이트. 상에서 수동으로 데이터 적재할 수 있는 버튼도 생성하자 A: 이슈 본문의 스터디 주제, 목표, 일자와 댓글의 주소, 내용 등의 정보를 어떻게 parsing할 것인가? Q: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파싱하도록 하자. ( 어쩔 수 없이 파싱이 안되는 정보는 수동으로 데이터 변환) 질문에 대한 서로의 답과 아직 해결하지 못한 질문들 없습니다 다음번 스터디 주제 ERD 초안 리뷰 & ERD 확정. 3rd party library 정리 , build 환경 설정 확정
2021. 06. 19.
0
[라이브스터디] whiteship 블로그 토이프로젝트 스터디 1일차
스터디 팀 명 라이브스터디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1회차(2021.06.19) 구글 미트 스터디 참여자 3명 전원 참여 스터디 주요 내용 - 스터디 일정 산정 1차 일정 : 7월 중순 (다섯주 남음) 1. GIT hub 라이브러리 조사 2. ERD 확정 3. 패키지 구조 확정 ex.project.github.api.~~~ 4. 소스 작성 ( API 목록 작성) 5. API 만들기 6. 프론트 - API 연동 + (리팩토링, Test Code) 2차 ( 고도화) : 10월 이후에 일정 재 산정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A: 일정을 어떻게 산출할것인가?Q: 7월 중순까지 기본적인 api작성후 그 이후에 고도화 작업을 진행한다. A: erd 구조는 어떻게 잡을 것인가?Q: 작성된 erd초안을 바탕으로, 6월 22일에 리뷰하는 형식으로 진행* 작성된 erd초안은 서로 상호하에 작성하기로 결정 질문에 대한 서로의 답과 아직 해결하지 못한 질문들 없습니다 다음번 스터디 주제 GIT hub 라이브러리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