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질문&답변
메모이제이션과 타뷸레이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지민님!메모이제이션과 타뷸레이션의 장단점을 잘 알고계신 것 같습니다.만약 어떤 문제를 타뷸레이션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성능면에서 더 좋기때문에 타뷸레이션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겁니다.다만 타뷸레이션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라면 메모이제이션으로 해결하는 게 더 좋을겁니다.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재귀적 사고가 더 편하고 메모리 여유가 있다면 메모이제이션을 선택하는게 좋을겁니다.다만 메모리를 많이 아껴야하는 상황이라면 어렵지만 타뷸레이션으로 바꾸는 노력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이 부분은 말씀주신 것처럼 우열이라기보다는 현재 상황에 맞게 판단해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개발자의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 1
- 2
- 30
질문&답변
트리의 조건이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jhworld님!질문주신 영상에서는 루트노드가 A인 트리에서 서브트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그 중에 터미널 노드 E, F, G, H, I는 그 자체로 새로운 트리로 볼 수 있습니다.쉬운 얘로 다른 모든 노드를 없애고 노드 E만 있는 경우, 노드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연결되지 않은 노드가 없어서 트리의 조건이 참이되어 이 경우에도 트리가 되는 것입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 0
- 1
- 23
질문&답변
logisim 설치 문제
안녕하세요 광현님!logisim.jar 파일은 따로 압축을 풀지 않아도 아래 사진과 같은 .jar 파일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사진) 만약 해당 파일을 더블 클릭했을 때 압축 프로그램이 열린다면logisim.jar 파일 우클릭 - 연결 프로그램 - Java(TM) Platform SE binary로 선택해 열어주면 프로그램이 실행될 것 같습니다.혹시 이대로 해보시고 되지 않는다면 다시 질문드리면 그에 맞게 답변드리겠습니다! 😊
- 1
- 2
- 72
질문&답변
병합정렬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지민님!병합 정렬의 Merge 함수를 보시다가 궁금증이 생기셨군요.하나씩 답변드리겠습니다!🫡 tempArr는 정렬되지 않은 두 배열을 합친 크기의 배열로 만들며 스택 내 지역변수로 만들어 집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초기화 하지 않은 배열은 undefined값이 저장되기때문에 의도적으로 배열크기만큼 순회하며 0으로 초기화 해줬습니다. 물론 0으로 초기화 하지 않아도 똑같이 동작하겠지만, 저의 코딩 습관으로 이렇게 작성했습니다.😁Merge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tempArr는 스택에 새롭게 생성되기 때문에 이전 실행에 영향을 받지않습니다. push나 append함수로도 원하는 크기로 만들 수 있겠지만, Merge함수 실행 시 배열의 크기를 이미 알 수 있기 때문에 length로 배열을 처음부터 설정해주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이 들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에서도 배열을 이미 만들어 추가하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 2
- 1
- 63
질문&답변
병합정렬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뎡2님!뎡2님이 질문한 내용을 인프런 질문게시판에서 검색해보았는데요.27일 전부터 질문을 주셨네요.😥다만 해당 강의의 질문이 아닌 인프런 게시판의 범용적인 질문게시판으로 주셔서 강의가 지정되지 않아 지식 공유자인 저한테도 따로 알림이 오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추가로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지금 이 질문처럼 해당 강의에서 질문을 주시면 저에게도 알림이 오기 때문에 답변을 바로 드릴 수 있습니다.😀
- 1
- 5
- 67
질문&답변
병합정렬 질문 있습니다.
저에게 확인되는 질문은 지금 이 질문 하나인데, 혹시 어떤 경로를 통해 질문주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강의 질문 목록과 이메일을 봐도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 1
- 5
- 67
질문&답변
병합정렬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뎡2님!AI 답변은 인프런 플랫폼 자체에서 동작하는 있는 봇이므로 지식 공유자가 따로 컨트롤 할 수는 없습니다.해당 영상에서 설명드린 그림은 재귀를 설명드릴 때 "이미 해결되었다고 가정하고" 코드를 작성한 것을 시각화 한 것입니다.재귀의 특성상 탑다운 방식의 설명이 이해하기 쉽다고 판단해서 그렇게 설명드렸습니다.7분 20초 이후부터는 실제로 MergeSort() 함수 내 Merge() 함수의 동작 방식을 설명드리면서 두 개의 정렬된 배열이 어떻게 Merge가 되면서 정렬이 되는지 코드로 자세히 설명드리고 있습니다.재귀의 특성상 "이미 해결되었다고 가정하고"가 일반적인 사고와 거리가 있어서 어려움이 많은 부분입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 1
- 5
- 67
질문&답변
세번째 보는데도 내용이 너무 좋습니다.
만족스러우신 것 같아서 뿌듯하네요!반복 학습 하시면 기억이 더 오래 남을 것 같습니다.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1
- 1
- 48
질문&답변
exit() 함수
안녕하세요 yhb10205님!execlp 함수가 실패했을 때 13번 라인이 실행되기 때문에 exit(1)로 수정해주는게 정확한 표현입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 😊
- 0
- 2
- 52
질문&답변
데이터 삽입, 삭제 함수 오류 범위 설정
안녕하세요 yhb10205님!AI 인턴이 자세히 설명해줘서 제가 따로 설명이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AI 인턴이 설명한 insertAt 함수와 deleteAt 함수 설명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해당 설명을 보시고 예외 상황을 시뮬레이션 해보시면 이해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 0
- 2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