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집마감
![[머니업 챌린지] 프로그래밍좀비의 앱 수익화 챌린지강의 썸네일](https://cdn.inflearn.com/public/courses/336393/cover/24dddc85-2e24-4c88-a115-f3a3154fe119/336393.png?w=420)
[머니업 챌린지] 프로그래밍좀비의 앱 수익화 챌린지
무료
입문 / 수익화
신청
25. 02. 25 ~ 25. 03. 12
일정
25. 02. 25 ~ 25. 03. 24
입문
수익화
300개의 앱을 개발하여 퇴사를 이룬 개발자입니다.
현재는 인디해커로 활동하며 경제적 독립을 위해
꾸준히 앱을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모집마감
[머니업 챌린지] 프로그래밍좀비의 앱 수익화 챌린지
무료
입문 / 수익화
신청
25. 02. 25 ~ 25. 03. 12
일정
25. 02. 25 ~ 25. 03. 24
입문
수익화
모집마감
[● 머니업 챌린지 LIVE] 350개의 앱으로 월급의 7배를 벌고 경제적 자유 찾기
무료
입문 / 수익화
신청
25. 02. 17 ~ 25. 02. 25
일정
25. 02. 25 ~ 25. 02. 25
입문
수익화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429,000
초급 / 수익화, Google Ads, admob, Android
5.0
(181)
350개의 앱을 통해 월급의 2~7배를 벌게 된 7년간의 여정과 노하우를 모두 담았습니다. 이제는 당신이 그 주인공이 될 차례입니다.
초급
수익화, Google Ads, admob
질문&답변
계정 운영관리 관련
안녕하세요~!우선 계정 분리의 경우 당연히 필수는 아닙니다~저의 경우 하나의 계정에 80개가 넘는 앱이 들어간 계정도 있습니다.다만 계정을 나누는 이유는 혹시모를 위험에 대비하기 위함인데요..! 만약 자신이 출시하려는 앱이 조금의 찜찜함이나 정책에 위반되지 않을것 같은 앱이라면단 하나의 계정으로 운영하시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극단적인 예시를 들어 만약 계산기 앱을 만들었는데 그런 앱이 정책 위반이 될 확률은 극히 낮을 것입니다.) 그럼 질문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저의 경우 A, B, C 계정은 애드몹 A 계정에 연결 / D 계정은 애드몹 B 계정 연결 / E, F 계정은 애드몹 C 계정에 연결과 같이 명확히 1:1로 매칭시켜 하고있진 않고 있습니다. 다만 가급적 최대한 분산하려 노력하여 운영중입니다.저의 경우 모든 계정이 23년 11월 이전 생성된 계정이라 테스트에 대한 부분이 없습니다. ㅠ 그리고 최근에는 비교적 테스트 제한이 완화되어 12인 테스트로 변경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약 사업자 계정으로 만들어서 다양한 계정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면 저라면 다양한 계정을 만들어서 운영할 것 같습니다!
질문&답변
앱스토어나 github 코드 계정관리 관련
안녕하세요 겸엄금지 조항으로 고민이 많으시군요!Github의 경우 무료로 사용하더라도 private 로 repository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private로 관리하시면, 어떤 서비스를 만들던 제 3자가 알아볼 수 없습니다.(다만 깃헙에 잔디는 심어집니다.) 그리고 앱 패키지의 경우 도메인과는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자유롭게 다양한 형식으로 만드시면 됩니다. 다만, 실제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 출시된 앱과 겹치지만 않으면 상관이 없답니다.예를들어 조금 극단적으로 com.dfsdfds.werwerdsgf13, com.dfewww.ggbkjdrj 이런것도 가능하답니다.
질문&답변
firebase 사용범위
안녕하세요 저의 경우 Firebase를 사용할때 기본적으로는 analytics, crashlytics 세팅은 해두는 편이구요. 푸시 발송을 위한 Fcm 정도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각종 이벤트들을 받아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앱을 개선하는 작업을 하긴했었는데 최근에는 앱들이 많아지면서 해당 작업은 현재는 더이상 안하고 있고 기존에 이벤트 수집 관련 부분은 이미 세팅된 앱들 위주로만 관리하고 있습니다.이벤트 수집 처리는 어떤식으로 활용하였는지 아래 내용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https://inf.run/TdPt2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요! 🙂 더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주세요!
질문&답변
data.ai 인수로 인해 사용 불가능
해당 내용 관련하여 강의 업데이트 진행해두었습니다.감사합니다 🙂
질문&답변
data.ai 인수로 인해 사용 불가능
안녕하세요 비교적 최근에 해당 사이트가 다른 회사에 인수된것 같더라구요 https://inf.run/TZ5d3 여기서 한번 회원가입 진행해보시겠어요?별도의 회사 이메일이 필요합니다. 회사 이메일 생성의 경우 https://inf.run/gWnFa 여기서 그리 어렵지 않게 생성할 수 있어요!
질문&답변
앱 개발 시 Flutter와 React Native 중 어떤게 더 나은가요?
안녕하세요~저의 경우 앱 개발 프레임워크 및 언어 분포는 약 95% 안드로이드, 3% iOS(Swift), 2% Flutter로 개발했습니다.사실 어떤 언어나 프레임워크가 절대적으로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언어와 프레임워크는 결국 원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도구일 뿐이니, 본인이 자신 있거나 익숙한 것, 또는 배우는 데 흥미를 느끼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Android 위주로 하는 이유는 제가 자신있고 잘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해요.)요즘은 Flutter와 React Native 모두 크로스 플랫폼 개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어 어느 쪽을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두 프레임워크 다 각자의 장점이 있으니, 원하시는 것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질문&답변
이벤트 트래킹 툴은 무엇을 사용하시나요?
이벤트 트래킹 툴 사용 경험 공유안녕하세요, 크리스팍님!이벤트 트래킹에 관한 질문에 대해 답변드립니다.1. 이벤트 데이터 체크 여부예전에는 앱 수가 적을 때 이벤트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체크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앱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서 소수의 앱 몇 개를 제외하고는 이 기능을 활발히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리소스 배분의 효율성 측면에서 주요 앱에만 집중하게 되었습니다.2. 데이터 수집 툴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할 때는 주로 Firebase Analytics를 활용했습니다. 각 버튼이나 상호작용 지점에 이벤트 리스너를 설정하여 사용자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Firebase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했습니다. 예시 코드)// Android 예시 FirebaseAnalytics.getInstance(context).logEvent("button_click", bundleOf( "screen_name" to "main_menu", "button_name" to "settings", "user_type" to userType )) 3. 데이터 활용 방법수집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활용했습니다.기능 최적화: 데이터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 빈도가 낮은 기능은 UI에서 덜 중요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제거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설정 메뉴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면 '설정 화면으로'으로 이동시켰습니다.인기 기능 강화: 자주 사용되는 기능은 더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접근성을 개선했습니다. 예를들어 '공유하기' 버튼이 자주 사용되는걸 발견하게 되었다면 좀더 눈에 띄는 형태인 플로팅 버튼으로 변경했습니다.사용자 여정 분석: 사용자가 앱 내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분석하여 불필요한 단계를 줄이고 경험을 간소화했습니다. 예를들어 마지막 원하는 화면이나 버튼을 누르는데까지 이동하는 경로마다, 버튼마다 이벤트를 심어둔다면 어디에서 유저가 이탈하였는지, 얼마나 이탈률이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을것입니다.A/B 테스팅: 두 가지 버전의 UI나 기능을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높은 참여도를 가져오는지 측정했습니다. (이 부분도 정말 많이 활용했었습니다.) 측정 후 더 좋은 반응을 보인 UI를 채택하여(잘되는 UI일 경우 보통 수집된 데이터가 더 많습니다.) UI를 개선합니다.이러한 데이터 분석과 개선 작업은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소수의 앱을 운영할 때는 이런 최적화 작업이 큰 가치가 있지만, 다수의 앱을 관리하는 환경에서는 모든 앱에 적용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소수의 앱 외에는 이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습니다.다만, 이런 경험을 통해 사용자 행동 패턴과 UI 선호도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고, 이는 새로운 앱을 설계할 때 직관적으로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사용자가 어떤 UI를 선호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이탈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경험이 자연스럽게 새로운 앱 개발 과정에 반영되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 😊
질문&답변
eCPM과 광고 수익 계산식 오류에 대하여 건의드립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혹시 어떤 챕터의 강의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질문&답변
다작과 관련된 문의 드립니다.
앱 개발 방식 및 SDUI에 관한 답변안녕하세요! 강의를 유익하게 보셨다니 정말 기쁩니다. 다작 관련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질문 1: 하이브리드 웹 방식 대신 SDUI 방식을 선택한 이유네이티브 프레임에 내부 콘텐츠를 웹으로 구성하는 방식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저는 몇 가지 이유로 SDUI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정책 관련 불안정성: 웹 기반 콘텐츠를 사용할 때 구글로부터 몇 차례 경고성 삭제를 경험했습니다. 갑자기 앱이 삭제되며 "웹으로 구성된 내용이 본인의 서비스가 맞는지" 의심받았고, 증명 과정을 거쳐야 했습니다. 이러한 불안 요소가 네이티브 + API 방식을 선택한 첫 번째 이유입니다.기술적 효율성: 제 웹 개발 실력이 뛰어나지 않아 오히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저의경우 특별한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네이티브로 개발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습니다.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서버+안드로이드 SDUI 방식으로 다작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질문 2: SDUI 방식에서의 화면 디자인 유연성SDUI로도 다양한 UI를 사전에 충분히 준비해두면 유연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제 경우 많은 영역에서 디자인, 색상, 폰트 크기, 액션까지 커스텀 처리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100% 모든 것을 완벽하게 처리하진 못하지만, 상당히 넓은 범위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미리 만들어둔 컴포넌트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지만, 제3자가 보기에는 비슷해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그래도 실용적인 측면에서 충분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 감사합니다.
질문&답변
광고수익이 광고비보다 높은 경우가 많은지?
광고수익이 광고비보다 높은 경우에 대한 답변안녕하세요! 우진님~제 경험으로는 구독 서비스나 인앱 결제가 반드시 필수는 아닙니다. 제가 운영하는 앱 중 약 80%는 순수 광고 수익만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모든 앱이 수익을 내는 것은 아니지만(광고를 전혀 하지 않거나 방치한 앱도 있음), 전체적으로 봤을 때 광고비 대비 약 80~150%의 수익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라면 1000만원의 광고비 사용 시 2000만원의 광고수익이 발생하는 셈입니다. 구독 서비스나 인앱 결제 상품이 있으면 물론 좋지만, 특별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히 '광고제거' 상품만 판매한다면 오히려 전체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설계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광고비를 지출하고도 순수익(애드몹 수익-광고비)이 발생하는 사례는 꽤 많습니다. 다만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타겟 고객과 앱 특성의 일치도: 유치하려는 고객이 고단가 고객인데, 앱의 특성상 저렴한 광고만 노출된다면 수익성이 떨어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타겟팅을 조정하거나 고단가 유저에 맞게 서비스를 개선해야 합니다.시장 테스트의 중요성: 이러한 부분은 직접 광고를 집행해봐야 알 수 있는 영역이며, 서비스 종류와 카테고리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개발 외 요소의 중요성: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하는 데 있어 개발은 약 3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나머지 70%는 지속적인 마케팅과 수익 최적화 과정이 필요합니다.리텐션의 영향: 앱의 리텐션이 좋다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잔존 유저가 많다는 의미이고, 이는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리텐션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은 강의에서 다루고 있으니 서비스에 적용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