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개의 앱을 개발하여 퇴사를 이룬 개발자입니다.
현재는 인디해커로 활동하며 경제적 독립을 위해
꾸준히 앱을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강의
수강평
-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게시글
질문&답변
퇴사 전에 앱 출시해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완강 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일반적으로 회사 외부에서 앱 개발 등 부수적인 수익 활동을 하는 경우, 본인이 직접 회사에 알리거나 공공연히 밝히지 않는 이상 회사가 이를 알아내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특히, 사업자등록 여부는 개인의 개인정보이므로 회사가 별도의 사유 없이 확인할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점은 유의하시는 게 좋습니다.겸업 금지 조항: 회사 취업 규칙에 겸업 금지 조항이 명시된 경우, 회사가 알게 되면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경쟁 금지 의무: 회사 업무와 직접 경쟁하거나, 회사 업무 시간이나 자원을 사용하는 행위는 법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실제 많은 직장인 개발자들이 회사 다니면서 부업으로 앱 개발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 회사가 이를 알게 되는 경우는 본인이 직접 공개하거나 수익 규모가 커져 외부에 노출되는 등 드물게 제한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본인이 회사 업무와 명확히 분리하고 조용히 개인 앱을 출시하는 정도라면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이를 인지하거나 문제 삼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 0
- 2
- 0
질문&답변
앱 배포 후 광고 비용을 반드시 집행하시나요?
추가로 답변을 작성하고 보니 (구글 광고 집행 관련 영상은 아직 안 본 상태입니다 ㅎㅎ) 이 부분을 늦게 인지했네요. 제 개인적으로는 저 부분이 가장 명도님에게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의 경우 앱 배포이후 광고 집행을 500% 하고 있습니다.100%를 넘긴 이유는 광고를 정말 많이 만들고 테스트 해보기 때문입니다.
- 0
- 4
- 78
질문&답변
앱 배포 후 광고 비용을 반드시 집행하시나요?
이제 첫 단추를 끼우셨군요 우선 축하드립니다.강의 내용과 소개 페이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단순히 앱만 만들고 출시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단 한푼도 못벌 수 있습니다. 그건 앱이 아무리 매력적이라도 높은 확률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이제 용도 님께서는 사람들이 모르는 어딘가에 음식점을 차렸습니다.(사진)알리지 않는다면 아무도 그곳에 음식점이 생겼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하겠죠.과거 앱스토어가 열린지 얼마되지 않았을때는 정말 허접한 앱이라도 앱이 그리 많지 않았기에 몇십만 다운로드 몇백만 다운로드가 우습게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졌습니다. 사용자들은 자신이 필요하거나, 문제를 해결 해 줄 뾰족한 앱을 원하고 그 앱이 어디에있는지는 모르는 상태입니다. 그러한 사용자가 용도님이 만든 앱을 사용할 수 있게 열심히 알릴 차례입니다. 자신의 앱이 허접하거나, 사람들이 필요 없을것 같다거나, 자신이 없다거나 하는 생각은 일단 접어두시죠. 내가 만든 앱이 사람들에게 필요한지, 사람들이 좋아하는지, 앱이 유용할지와 같은 여부는 높은 확률로 사람들에게 알리고, 사람들이 써보고 난 뒤에 알 수 있습니다. 광고비로 돈 쓰는 것이 부담스러우시다면, 처음에는 굳이 돈일 들이지 않아도 마케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일명 손품파는 것이지요. 내가 만든앱이 어떤 사람들이 쓰면 좋을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만드셨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런 사람들이 모여있을 법한 커뮤니티나, 카카오톡, SNS, 네이버 밴드, 카페, 등 다양한 곳들을 찾아서 앱을 은근슬쩍 노출시켜보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검색이 어려우시다면, 요즘 AI가 정말 좋아졌기 때문에 GPT, Perplexity와 같은 도움을 받아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광고비의 경우 처음부터 많은 돈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 1~5천원만 해봐도 괜찮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이뤄져야 실질적인 앱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 말씀드리는 부분이지만 앱 개발로 수익화 까지는 개발이 차지하는 비중은 30%도 채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것 처럼 이외에 내가 만든 앱을 알리는 마케팅과 그 운영이 나머지를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니까요! 처음이시라면 당연히 어렵고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는 것이 당연합니다. 다만 위 앱을 만들고 출시하고 끝이 아닌, 그 이후 작업들에 더 많은 에너지와 노력을 투자해보시길 적극 추천드립니다. 🙂 강의에 상세한 방법들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으니 혹시나 잘 이해가 되지 않거나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다시한번 보시는것도 괜찮을거라 생각합니다. 해보시다가 혹시나 모르거나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질문 주세요! 응원하겠습니다.
- 0
- 4
- 78
질문&답변
애드몹 일치율은 100%인데 노출율이 너무 낮아요
안녕하세요!보고서를 보니 일치율은 모든 국가가 100%인데 노출률이 50% 이하 또는 0%인 상황이군요. 이런 현상에 대해 몇 가지 가능한 원인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도 노출률 순으로 각각 정렬 해봤을때 0%가 전혀 없는건 아니네요.)그런데 보여주신 내용으로 봤을때, 노출이 높은 순으로 했을때도 80~45% 정도 수준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사진) (사진) 제가 생각하기에 의심되는 부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광고 로딩 타이밍 문제스플래시 화면에서 광고를 로드하고 바로 노출시키려 할 때, 로딩이 완료되기 전에 홈화면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제가 주로 개발하는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도 간혹 광고 로드가 길때는 30초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마도 제 단말기의 일시적인 네트워크 문제이거나, 애드몹 서버의 문제인 것으로 추측)제가 Expo와 React Native 환경을 잘은 모르지만, 광고 로딩에 약간의 시간이 필요한데, 이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사용자 이탈사용자가 광고가 완전히 로드되기 전에 앱을 종료하거나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광고 재고(Inventory) 부족일부 국가(특히 브라질, 인도, 캐나다 등에서 0%로 나타난 국가들)에서는 해당 시간대나 타겟팅 조건에 맞는 광고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구글에서 광고 요청을 했지만, 노출할 광고가 실제 없는 경우)광고 로딩 콜백 처리 이슈광고 로드 성공 콜백을 받은 후에 광고를 표시하지 않으면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일치율은 100%인데, 노출이 안된다는 것은 말 그대로 광고 로드까진 완료했으나 그 광고가 유저에게 보여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 생각에는 위 내용을 잘 지키셨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이슈가 발생한다면 관련 SDK 이슈 또는, SDK를 활용하여 광고 View를 그려줄때 이슈일 확률이 높을것이라 생각합니다. https://chatgpt.com/share/681d7308-f718-800d-8463-67e72a85470egpt에게 물어본 답변인데 비슷한 이슈가 있는것 같아요. 한번 이부분도 확인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0
- 2
- 71
질문&답변
앱 다작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관련 내용 답변 드리겠습니다. 저의 경우 회원가입을 둔 서비스의 경우 많은 비중이 구글 로그인으로 이루어져있고, 간혹 카카오톡 로그인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제 구현은 아래 문서를 참고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공식 문서에도 충분히 잘 설명되어있기 때문에 그대로 따라만 해도 구현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거라 생각됩니다.Google OAuth - https://developers.google.com/identity/protocols/oauth2?hl=koKakao 로그인 -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rest-api별도의 user 테이블을 만들고, 로그인 이후 나온 고유 키값과 app_id(앱마다 고유 값)을 함께 묶어서 유저 테이블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현재 회원 가입이 필요한 서비스의 비중은 그리 높지는 않습니다. 저의 경우 회원가입이 필요한 경우 커뮤니티 기능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커뮤니티 기능이 있다는것은 분명 리텐션(앱 재방문)에 좋은 요소이긴 하나, 앱이 많아지거나 사용자가 증가할수록 관리 포인트 또한 늘어나게 됩니다.잘 발생되진 않지만, 커뮤니티에 악의적인 욕설이나 선정적인 내용을 유저가 올리게 되고 만약 이를 관리하지 않을시, 사용자가 구글에 신고하거나 구글의 검수에 걸리게 되면 앱이 삭제 또는 정지 당할 수도 있습니다.회원들도 하나의 테이블에서 관리합니다.(1번 답변에서 다뤘듯이, app_id 값을 함께 저장하면 됩니다.)아래는 제가 관리하고 있는 테이블 일부를 발췌하여 가져온 것입니다.CREATE TABLE `user` ( `id` bigint NOT NULL AUTO_INCREMENT, `app_id` bigint NOT NULL, # 앱마다 고유 값 `auth_id` varchar(255) DEFAULT NULL, # OAuth 로그인 이후 발급받은 고유 키 값 `image_thumbnail_url` varchar(255) DEFAULT NULL, # 유저 썸네일 `name` varchar(20) DEFAULT NULL, # 닉네임 `role` varchar(30) DEFAULT NULL, # ADMIN, NORMAL, etc.. `sign_up_type` varchar(30) DEFAULT NULL, # GOOGLE, APPLE, EMAIL, etc.. `created_date` datetime DEFAULT NULL, `updated_date` datetime DEFAULT NULL, PRIMARY KEY (`id`), UNIQUE KEY `uni_user_1` (`app_id`,`auth_id`) ) ENGINE=InnoDB DEFAULT CHARSET=utf8mb3;만약 해당 유저가 특정 게시판에 글을 작성한다면 위에서 생성된 user의 userid와 appId값을 아래 community 테이블에 함께 넣어주면 되겠죠. 이렇게 되면 앱이 300개가 아닌 3,000개라도 두개의 테이블로만으로도 게시판과 회원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나, 연관관계 같은 부분들은 생략되었습니다. )CREATE TABLE `community` ( `id` bigint NOT NULL AUTO_INCREMENT, `app_id` bigint NOT NULL, # 앱 고유 ID `user_id` bigint DEFAULT NULL, # 특정 유저 ID `content` mediumtext COLLATE utf8mb4_unicode_ci NOT NULL, # 내용 `is_active` bit(1) NOT NULL, # 삭제 여부 `menu_id` bigint NOT NULL, # 어느 게시판인지 구분자 `title` varchar(200) COLLATE utf8mb4_unicode_ci NOT NULL, # 게시판 타이틀 `created_date` datetime DEFAULT NULL, `updated_date` datetime DEFAULT NULL, PRIMARY KEY (`id`) ) ENGINE=InnoDB DEFAULT CHARSET=utf8mb3;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추가 적인 궁금한 사항있으시면 언제든 질문주세요 🙂
- 0
- 2
- 71
질문&답변
말씀하신 조건을 전부 만족하지 않더라도 일단 앱개발을 진행해봐도 괜찮을까요?
저도 과거에 비슷한 생각과 삽질을 정말 많이 했었는데요, 그래서인지 말씀주신 부분들 200% 공감되네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제가 질문자 분과 같은 상황이라면, 완벽한 아이디어와 조건의 앱을 찾거나 고민하기보다 그냥 이미 존재하는 앱이더라도, 또는 너무 허접한 앱이더라도, 특별한 차별점이 없더라도 그냥 생각을 비우고 만드신 후에 마케팅까지 하는 한 사이클을 경험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사실 생각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완벽을 추구할수록 실행하지 못하는 저주에 빠지고 맙니다. 머릿속에 생각은 생각일 뿐, 막상 출시하고 마케팅까지 해봤을 때랑은 또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답니다. 그리고 설령 완벽한 아이디어를 가진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하더라도 막상 시장에 출시해보니 형편없는 성적표를 받는 경우도 부지기수죠. 반대로 대충 만들었는데 이게 왜 이렇게 사람들이 좋아하고 많이 쓰지? 하는 경우도 정말 많답니다.제가 드릴 수 있는 조언은 지금 상황에서는 최대한 생각을 멈추고 실행에 옮기고 전체 사이클을 경험해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개발, 출시, 마케팅, 사용자 피드백 수집, 개선이라는 과정을 통해실제 사용자들의 반응으로부터 얻는 인사이트는 이론적 고민보다 훨씬 값집니다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이 크게 향상됩니다마케팅과 비즈니스 측면의 실전 경험을 쌓게 됩니다다음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교훈을 얻게 됩니다물론 무분별한 개발은 피하되, 지금 시작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선택해 실행에 옮기시길 권합니다. 실패하더라도 그 경험 자체가 다음 프로젝트의 소중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 0
- 2
- 77
질문&답변
질문에다 글을 적는 것이 맞는가싶지만..
첫 프로젝트를 세상에 공개하는 것은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인데, 그 첫 발을 내딛으신 것을 정말 대단하게 생각합니다. 애드센스 승인도 잘 되길 바라며, 앞으로 서비스가 더욱 발전하고 많은 사용자분들에게 사랑받기를 응원합니다! 🙂👍 해당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또는 필요한 타겟을 찾아서 열심히 홍보하고 적극적으로 마케팅에 임해보세요. 그리고 열심히 고객의 소리를 듣고 서비스에 반영해보세요. 그러한 과정들이 서비스의 품질을 높히고 고객에게서 돈을 벌어다주는 서비스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0
- 2
- 85
질문&답변
다국가 타겟 앱 eCPM 관리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eCPM 작동 방식과 국가별 영향eCPM(effective Cost Per Mille)은 '수익 ÷ 노출 수 × 1000'으로 계산되는 평균 단가 지표입니다. 광고 요청마다 실시간 경매(Real-time bidding)가 진행되고, 입찰가는 요청에 담긴 국가·디바이스·타깃 정보에 따라 책정됩니다.eCPM은 국가별로 크게 다릅니다.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등 선진국은 광고주 경쟁이 치열하고 소비력이 높아 eCPM이 높고, 인도, 동남아,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은 eCPM이 낮습니다.인도 트래픽이 많아지면 분모(노출 수)가 커져 '앱 평균 eCPM'이 내려가지만, 미국 요청이 받는 단가 자체가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지표 해석을 잘못하면 "미국 eCPM이 망가졌다"는 착시가 생길 수 있습니다.즉, 미국과 인도 유저가 같은 캠페인에 있더라도미국 유저의 광고 요청은 여전히 미국 단가로 경매가 진행됩니다다만 앱 전체의 평균 eCPM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미국과 인도 등 eCPM 차이가 큰 국가의 사용자가 섞이면, 전체 평균 eCPM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등 고수익 국가의 수익 잠재력이 희석될 수 있습니다.간단한 예시를 하나 들어보자면미국 사용자 1,000명이 광고를 볼 때 $10의 수익이 발생 (eCPM = $10) 인도 사용자 9,000명이 광고를 볼 때 $9의 수익이 발생 (eCPM = $1) 앱 전체 평균 eCPM = $1.9 ($19 ÷ 10,000 × 1,000) 이 경우 앱 전체 평균 eCPM이 $1.9로 낮게 나타나지만, 미국 사용자의 실제 수익성($10)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단지 보고서상의 평균 수치가 낮아진 것뿐입니다. eCPM 관리와 선순환 구조높은 eCPM의 선순환 효과: 광고 유닛이 높은 eCPM을 꾸준히 유지하면, 구글의 시스템은 이 광고 유닛을 '고품질'로 분류하고 더 많은 프리미엄 광고주들에게 노출시킵니다. 이 광고주들은 더 높은 금액을 지불할 의향이 있으므로, 경매 가격이 상승하고 결과적으로 eCPM이 더 높아집니다.낮은 eCPM의 악순환 위험: 반대로 광고 유닛의 eCPM이 지속적으로 낮다면, 구글의 시스템은 이 유닛을 '저품질' 또는 '저가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프리미엄 광고주들이 이 유닛에 입찰하지 않게 되고, 저단가 광고만 남게 되어 eCPM이 더 낮아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추천 전략이러한 점들을 고려한다면 굳이 인도 시장에 많은 트래픽을 끌어오려는 노력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국가가 다르기에 당장 각자의 eCPM에 영향을 끼치진 않더라도, 장기적 관점에서 소비력이 낮은 유저만 많이 사용하는 상태가 된다면 알고리즘이 해당 앱을 저품질 앱으로 인지하여 eCPM이 꾸준히 하락하고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추천드립니다.선진국 위주 앱 출시: 개발도상국보다 선진국 위주로 앱을 배포하는 전략타겟 마케팅: 전체 출시를 했다면, Google Ads, Meta광고, X 광고 등 유료 마케팅 시 선진국 위주로 타겟팅광고 유닛 분리: 별도의 광고 유닛을 만들어 운영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으나, 개발 리소스가 많이 필요하므로 위의 방법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이러한 전략을 통해 앱의 전체적인 eCPM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0
- 1
- 61
질문&답변
애드몹 match rate이 너무 낮아요
AdMob 광고 게재 제한에 관한 경험과 대처 방법AdMob 광고 게재 제한은 많은 개발자들이 겪는 문제입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게재 제한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테스트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광고를 보거나 클릭한 경우제3자가 악의적으로 광고를 반복 클릭한 경우비정상적으로 높은 클릭률이나 급격한 수익 증가가 감지된 경우게재 제한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Match Rate가 0.X%~3% 수준으로 떨어집니다. 게재 제한 해제 시 이메일 알림이 오는 경우도 있고, AdMob에서는 제한 상태로 표시되지만 Match Rate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해결 방법안타깝게도 이 문제에 대한 확실한 해결책은 많지 않습니다.사전에 사용자 IP와 광고 노출 데이터를 로그로 기록해 두었다면, 이를 바탕으로 제3자의 악의적 클릭 증거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데이터를 미리 수집해두지 않았다면 사후에 만들어 제출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게재 제한은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6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AdMob 계정을 최근에 개설한 신규 사용자라면 제한이 비교적 빨리 해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재 제한 해제 메일을 받으셨다면 더 빠른 복구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Google은 이의 제기를 하더라도 구체적인 제한 사유를 명확히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기다리는 것 외에는 뾰족한 방법이 없습니다.주의사항게재 제한으로 인해 새로운 AdMob 계정을 만들고 기존 앱의 광고 키를 변경하는 시도는 피하세요. 이로 인해 AdMob 계정과 개발자 계정 모두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권장 대처법 정리사용자 IP와 광고 노출 데이터가 있다면, 이를 증거로 제출하고 이의 제기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기다리기완전히 새로운 앱과 AdMob 계정으로 시작하기광고 게재 제한이 빠른 시일 내에 해제되기를 바랍니다.
- 0
- 2
- 83
질문&답변
구글 ads 사용시 광고 이미지에 대한 의견이 궁금합니다.
나중에 추가하는 경우, 어떤 시점에 이미지/영상등의 미디어를 추가하시나요?=> 일단 빠르게 광고를 테스트 해보기 위해 텍스트 위주의 광고를 먼저 선 게시하고, 이미지가 만들어 지는대로 곧바로 추가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이미 만들어진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가장 처음에 광고 제목, 내용과 함께 올리기도 하구요!어느 시점이 좋다, 나쁘다는 딱히 없었던것 같습니다.
- 1
- 3
-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