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질문&답변
MCP 서버 관련 질문이있습니다.
맞습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서버에 툴이 83개나 있으면, 툴 선택 과정에서 혼란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툴이 많아질수록 모델이 어떤 툴을 써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워지고, 오용하거나 불필요하게 여러 툴을 호출할 위험도 커집니다.제가 생각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툴 이름을 category.action 형식으로 명확히 구분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calendar.create_eventfile.upload_documentuser.get_profile 이렇게 하면 모델이 적절한 범주에서 툴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델에게 직접 툴을 고르게 하지 않고, 먼저 어떤 유형의 작업인지 분류하도록 합니다.사용자 질문 → 먼저 intent classificationintent에 따라 툴 후보군 좁히기 → 그 안에서 선택이를 위해 router 역할의 툴이나 사전 선택 체계를 따로 둘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적이지만, 각 툴에 description을 매우 구체적으로 작성해서 모델이 정확히 이해하게 만듭니다. 특히 system prompt에 tool 설명 요약을 넣으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모든 툴을 항상 활성화하지 않고, context에 따라 툴 세트를 동적으로 로딩할 수도 있습니다.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finance_tools 세트만 활성화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0
- 2
- 16
질문&답변
Replication 설정 후에도 node가 1개만 조회됩니다.
안녕하세요 sugmug님,제가 자료실에 있는 파일이 혹시 문제 있나 싶어 해봤는데 문제 없이 잘 되는 것 확인했습니다. 혹시 안되신다면, Docker Desktop UI로 가셔서 기존의 Container와 Volume을 지워보시고 다시 시작해보세요.지우시기 전에는 일단 디렉토리에서 docker compose down을 하신다음에 지우시면 UI 에서 컨테이너에 볼륨이 걸려있다는 에러가 안납니다.(사진)(사진) (사진)
- 0
- 2
- 27
질문&답변
리뷰이벤트로 메일주고 받은사람인데요
안녕하세요이렇게 정중하게 다시 말씀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마음 써주신 점 충분히 전달되었고, 오히려 진심 어린 태도에 제가 더 감사한 마음입니다.사소한 오해에서 비롯된 일이었지만, 이렇게까지 신경 써주시고 정리해주셔서 저도 기분 좋게 마무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리뷰는 언제든 자유롭게 남겨주셔도 되고, 꼭 부담 가지실 필요는 없습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었길 바라는 마음이 가장 큽니다.앞으로도 더 좋은 강의로 보답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되세요 😊
- 0
- 2
- 35
질문&답변
docker cp 명령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sugmug님,윈도우에서는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C:\tmp 디렉토리는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하고, 경로 끝에 파일명을 명확히 지정해 주세요 (ca.crt 포함)docker cp elastic-stack-docker-part-one-es01-1:/usr/share/elasticsearch/config/certs/ca/ca.crt C:\tmp\ca.crt
- 1
- 1
- 41
질문&답변
리뷰이벤트 질문
안녕하세요 Yuki님,요청하신 강의는 바로 다음날 추가해드렸었습니다. 한번 확인해 보시면 될 듯 합니다.
- 0
- 2
- 35
질문&답변
celery.py 위치
안녕하세요 남승수님,답변이 늦었네요. 설정만 제대로 한다면 아무 상관 없습니다. :D
- 0
- 2
- 34
질문&답변
리뷰이벤트 질문
이메일로 입장 전달해드렸습니다.
- 0
- 1
- 76
질문&답변
subnet, eni private <-> public설정 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재영님,2번: Public Subnet + Private ENI퍼블릭 서브넷은 라우팅 테이블이 인터넷 게이트웨이(IGW)를 포함하고 있어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서브넷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연결된 ENI가 퍼블릭 IP를 할당받지 않은 경우, 해당 인스턴스는 직접 인터넷과 통신할 수 없습니다.예를 들면, 인스턴스를 퍼블릭 서브넷에 띄우긴 했지만, 보안 또는 비용 이슈로 인터넷 통신을 제한하고 싶을 때 아마도... NAT 인스턴스나 로드 밸런서 바로 뒤에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이런 구조일 수 있습니다.그리고 퍼블릭 서브넷에 있는 이유는 다른 퍼블릭 리소스와 저지연 통신을 위해서지만, 직접 외부 노출은 피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주의할 점으로는 외부와 직접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 통신이 필요하다면 NAT Gateway나 다른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4번: Private Subnet + Public ENI제 생각에 이럴 경우는 없는데요. 프라이빗 서브넷은 라우팅 테이블에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없는 서브넷입니다. 그런데 ENI에 퍼블릭 IP가 붙어 있는 경우, 결국 외부와 통신을 시도하더라도 라우팅 경로가 없어 실패하게 됩니다.아마도 구성 실수로 퍼블릭 IP가 할당된 경우에 해당합니다. 또는, 서브넷 구조가 바뀌었지만 ENI 설정은 그대로 남은 경우.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비권장 구성입니다. 퍼블릭 IP가 있더라도 라우팅 테이블이 막혀 있기 때문에 효과가 없고, 보안상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이 조합은 작동하지 않으며, 설계 오류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1
- 1
- 54
질문&답변
postgres_loader의 apache-airflow-providers-postgres 버전 호환성
안녕하세요 jhlee님,Airflow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보니, 버전 간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도 혼자 해결하려고 시도하셨다니 정말 잘하셨습니다.이번에 사용하신 apache-airflow-providers-postgres 6.x 버전에는 주요한 변경 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irflow의 공식 정책에 따르면, 각 provider 패키지는 특정 버전 이상의 Airflow core와만 호환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Postgres provider의 6.x 버전은 Airflow 2.11.0 이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5.x 버전은 Airflow 2.6.0 이상과 호환됩니다. 따라서 현재 사용 중인 Airflow 2.10.5 환경에서는 6.1.2 버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호환되는 5.x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입니다.좋은 질문 잘하셨습니다!
- 1
- 2
- 45
질문&답변
Airflow Limitation 강의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Airflow는 각 Task를 실행할 때 스케줄링, Task 상태 확인, 로그 수집, 워커로 전달, 실행 환경 구성 등의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합니다. 이 오버헤드가 실제 Task 실행 시간보다 길어지면 오히려 효율이 떨어지겠죠. 특별하게 정해진 것은 없지만 최소 Task 실행 시간은 약 30초 ~ 1분 이상. 그리고 설명드린대로 Task 하나의 실행 시간이 30초 미만이면 오버헤드가 상대적으로 커져 비효율적일 수 있죠.저라면 1분 이상의 작업 단위로 쪼개는 것을 추천하겠습니다.실제로는 Task당 1~5분 정도의 실행 시간이 가장 일반적이며, 이보다 짧으면 병렬 처리의 장점보다 오버헤드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1
- 1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