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술을 학습하고 전달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 클라우드 인프라 및 파이프라인 설계
⚡ Azure, Docker, Kubernetes, Spring Boot
✉ daintree.henry@gmail.com
강의
수강평
게시글
질문&답변
windows .bashrc 파일 없음
홍잼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네, 파일이 없는 경우 새 파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
- 0
- 1
- 23
질문&답변
강의 이미지 사용
Gwangseok Lee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네, 개인 블로그에 강의 자료를 올리실 때는 아래의 내용을 출처로 꼭 기재 부탁드립니다!출처 - 인프런 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https://inf.run/Apgvc)
- 1
- 2
- 41
질문&답변
도커컴포즈 오류
ckstj8027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사용하신 프로젝트의 frontend 폴더 구조와 Dockerfile을 공유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 0
- 2
- 35
질문&답변
강의 예정
진상민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현재 쿠버네티스 강의는 40%정도 제작 되었으며 최대한 빨리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원래 작년 말로 계획하고 있었는데, 본업이 바쁜 와중에 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가 출판 작업이 생각보다 오래 걸려서요. 자꾸 지연되어 기다리시는 분들께 감사하고 또 죄송한 마음을 가지고 열심히 작업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는 편집 작업은 거의 마무리 되어서 곧 도서로도 찾아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련 근황이 업데이트 되는 대로 공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1
- 2
- 55
질문&답변
실행오류
ckstj8027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아마 이전 볼륨파트에서 생성했던 볼륨과 충돌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Postgres 컨테이너는 처음 실행되는 시점에 볼륨에 아이디, 패스워드, 초기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요.이미 이런 데이터가 만들어져 있는 볼륨이 마운트될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때는 볼륨 명을 다르게 지정하거나, 시도해보신 것 처럼 볼륨을 삭제하신 후 다시 생성하시면 됩니다. 강의 들으시면서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편하게 질문해주세요!
- 1
- 3
- 69
질문&답변
이미지의 세부 정보 조회 오류
ckstj8027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흔한 현상은 아닌데, 찾아보니 원인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가장 빠른 해결 방안은 이미지를 제거 후 다시 다운로드 받아보시는 방법입니다. docker image rm nginx:latest docker image pull nginx dokcer image ls nginx 아래 명령을 실행해도 증상이 동일하실까요?
- 1
- 3
- 70
질문&답변
Docker 백앤드 컨테이너 실행시 오류
steven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가장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것은 컨테이너를 삭제한 후 다시 실행해 보는 것입니다.기존 컨테이너 삭제docker rm -f leafy새 컨테이너 실행docker run -d -p 8080:8080 -e DB_URL=leafy-postgres --network leafy-network --name leafy devwikirepo/leafy-backend:1.0.0 만약 문제가 동일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가 잘 실행 중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docker logs leafy-postgres아래와 같이 로그가 나오는지 확인해보시겠어요?2025-03-03 14:55:37.562 GMT [1] LOG: listening on IPv4 address "0.0.0.0", port 5432 2025-03-03 14:55:37.562 GMT [1] LOG: listening on IPv6 address "::", port 5432 2025-03-03 14:55:37.563 GMT [1] LOG: listening on Unix socket "/var/run/postgresql/.s.PGSQL.5432" 2025-03-03 14:55:37.566 GMT [65] LOG: database system was shut down at 2025-03-03 14:55:37 GMT 2025-03-03 14:55:37.572 GMT [1] LOG: database system is ready to accept connections
- 1
- 5
- 153
질문&답변
안녕하세요. 레이어 관리 관련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종운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 먼저 1번, 레이어의 사이즈는 차이가 있습니다.(사진) RUN 을 분리한 경우 총 레이어의 합이 148.71, 하나로 합칠 경우 147 입니다.RUN 지시어 하나에 패키지 설치와 캐시 삭제(rm -rf /var/lib/apt/lists/*)를 한 번에 하면, 레이어에 쌓이는 캐시 정보가 지워지는 효과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첫 번째 케이스는 아래와 같이 레이어가 구성됩니다.1번 레이어: 패키지설치+캐시2번 레이어: 패키지설치+캐시3번 레이어: 패키지설치+캐시4번 레이어: 캐시 제거1~3 단계에 캐시가 쌓이기 때문에, 한 개의 레이어에서 설치+캐시 제거를 함께 수행하는 것보다 일부 사이즈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부분은 패키지의 개수가 많아질 수록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레이어가 적을수록 빌드가 더 효율적으로 동작합니다. 레이어가 한 개가 늘어날 수록 커밋 단계가 늘어나기 때문에, 캐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결과가 동일하더라도 레이어가 많은 빌드의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레이어는 가능한 적게 구성하는것이 좋으며, 레이어를 재사용 해서 캐시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분리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패키지 A,B,C는 앞으로의 커밋에서도 동일한 버전이 설치될 것이고, 패키지 D,E는 상황에 따라 버전이 바뀌거나 다른 패키지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을 것입니다.이 경우 설치 레이어를 두 개로 분리하여 첫 번째 레이어에서 패키지 A,B,C를 설치하고, 두 번째 레이어에서 패키지 D,E를 설치합니다. 이 경우 두 번째 레이어가 변경되어도 첫 번째 레이어는 캐시로 재활용하기 때문에 빌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강의 들으시면서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편하게 질문해주세요!
- 1
- 2
- 43
질문&답변
COPY 경로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minjun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리눅스 경로에서 . 과 ./ 은 동일합니다!따라서 두 번째 필드에 / 가 . 으로 변경된 부분만 바뀌는 것으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강의 들으시면서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편하게 질문해주세요!
- 1
- 2
- 61
질문&답변
도커 컨테이너 내부에서 개발하는 것의 장단점에 대해
sk.byun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먼저 성능 관련내용 관련해서는 개발 PC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한다고 해서 성능에 무리가 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리소스 제한 역시 별도로 설정을 해두지 않을 경우 호스트PC의 자원 사용제한을 둘 필요가 없으며, 필요한 만큼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단점이라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물론 팀 내에서 의견 조율을 통해 의존성을 관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도커파일로 이를 관리하면 문서화가 되어 더 공유하기가 쉬워지실 것입니다. 오히려 실무에서 단점으로 여겨지는 부분은 기술장벽이 있다는 것입니다. 도커를 모르는 사람이 있으면 활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죠. 저도 실무에서는 팀내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팀원 대부분 여전히 도커에 낮설어하기 때문이죠. 저는 주로 개인 프로젝트에서 파이썬을 개발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많은 프로젝트를 개발하거나 관리해야 할 때, PC에 패키지를 설치하게 되면 프로젝트별 패키지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업데이트한 라이브러리가 다른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물론 파이썬에서는 아나콘다나 venv를 통해 여러 라이브러리 환경을 제공해주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PC에 아무 라이브러리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커파일이라는 문서 형태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깔끔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선택은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도커를 활용해보시는 것도 좋은 선택지가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강의 들으시면서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편하게 질문해주세요!
- 1
- 2
-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