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hungryo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pring Cloud Gateway - Load Balancer ➀

Eureka 적용 전/후

작성

·

877

0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로드밸런싱 단원까지 학습하고 정리하면서 맞게 이해한건지 확인하려 질문드립니다.
 
이전 단원까지 학습한 내용 Eureka 적용 전과 Eureka 적용 후 비교하고 있는데요, 아래 내용이 맞을까요?
 
Eureka Server 구성 : API Gateway가 라우팅 기능, 로드밸런싱(라운드 로빈 방식) 기능을 지원한다. 추가로 다른 분의 질문에 답변을 참고하면 로드밸런싱 기능이 부족해 외부의 서비스 메쉬를 사용하거나 스프링 클라우드 로드밸런서를 사용한다.

Eureka Server 미구성(API Gateway에서 직접 관리) : API Gateway가 라우팅 기능은 지원하나 로드밸런싱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Eureka Server를 구성하면 로드 밸런싱, 마이크로 서비스 IP나 도메인 관리 용이 외 어떤 장점?차이점이 있는지요? 서비스 메쉬 이런 내용은 아직 개념이 잘 안잡히는데.. 그런 장점이 있다고 보면 될까요?

비동기 처리 지원은 Eureka Server와 관련없이 API Gateway 서비스에서도 지원하는거로 이해했습니다.(프로젝트 만들때 스프링 클라우드 라우팅 게이트웨이 만들어서...)

감사합니다.

답변 1

1

Dowon Lee님의 프로필 이미지
Dowon Lee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이도원입니다. 

강의에서 정리하신 내용처럼 Eureka를 설명하였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Eureka의 사용용도는 수업에서 얘기한 것처럼 Service Discovery/Registry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Eureka와 같은 Service Discovery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모든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IP 정보 포함)를 호출하는 쪽에서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것은 변경될 경우에도 일관적인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MSA에서 각 서비스 간의 통신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Service Mesh를 사용합니다. Eureka에서도 이러한 기능의 일부를 지원하나, 전용 서비스를 사용하시는 것이 실제 업무에서는 더 유용하다고 생각됩니다. Service Mesh의 특징은, 라우팅 제어, 서킷브레이크, 로드 밸런싱, 보안, 서비스 간의 데이터 전송의 제어 등이 있습니다. 

추가 질문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 글 남겨주세요, 최근 프로젝트로 인해 강의 업데이트가 늦어지고 있는데,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ungryo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