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31
4
안녕하십니까 강사님
빈 스코프의 강의를 하나 남겨두고 있는 상태에서 큰 틀이 이해가 되지 않아 제가 생각하고 있는 내용이 맞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1. Provider를 사용하기 전
스프링 컨테이너(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자체에서 계속 빈을 조회한다. 컨테이너를 계속해서 Autowired한다. 이러한 방법은 선호하지 않는다.
2. Provider를 사용
Provider를 사용하게 되면 1번과 가장 큰 차이점은 항상 컨테이너에서가 아닌, provider가 한 번 컨테이너에서 필요한 빈을 가져옴(?) (이것이 DL) 그래서 1번과 같이 큰 스프링 컨테이너를 항상 Autowired 할 필요가 없다.
3. request
처음에 오류가 생기는 이유는 http요청을 하지도 않았는데 로그를 출력하라고 하니 스프링에서 오류를 줌
4. 해결방안으로 provider를 사용
pdf에서 provider 덕분에 getobject를 호출하는 시점까지 request scope 빈의 생성을 지연할 수 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provider는 위에서 DL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인데, 만약 provider가 해당 빈을 가져오기 위해 주입 받는데, 빈이 없으면 계속해서 기다리는 역할도 한다는 말씀이신건가요???
5.
provider가 없을 때는 오류가 생긴 것을 알지만,
위에서 말하는 것은 흡사 Postconstruct의 기능과 비슷한 것 같아서 매우 헷갈립니다ㅠㅠ
ps.
http 요청 -> 컨트롤러에서 MyLogger가 최초로 만들어짐 -> MyLogger의 init 호출 -> uuid를 생성하여 해당 id를 http request와 매치를 함 -> controller에서 setURL을 하고 log를 찍음
이 과정은 이해됐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1
5
안녕하세요. gusdn85554님
1,2번이 잘못 이해되었습니다.
1. Provider를 사용하기 전
@Autowired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로딩 시점에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을 딱 한번만 조회한다.
2. Provider를 사용
Provider를 사용하면 Provider에 요청할 때 마다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을 조회한다.
이렇게 큰 기준을 가지고 다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빈 스코프 섹션 전체를 한번 복습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처음부터 이해가 잘못되었군요 바로 강의 한 번 다시 복습하겠습니다
복습하고 4,5번 내용도 다시 한 번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