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4.3) 수강평 11

수강생 277

Thumbnail

초급자를 위해 준비한
[기획 · 전략 · PM, 오피스] 강의입니다.

첫 프로덕트의 출시를 앞둔 초보 기획자/PM을 위해 Test Case 작성 노하우와 실전 QA 노하우를 알려드려요.

이런 걸
배워요!

  • 꼼꼼한 QA를 위한 구조적이고 논리적인 Test Case 작성 노하우

  • 개발자와 소통하기 좋은 Test Case 작성 노하우

  •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명확한 Test Case 작성 노하우

  • Test Caes를 바탕으로 한 실전 QA 노하우

  • QA 결과를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관리 노하우

초보 기획자, PM으로
홀로 서는 법을 배우고 싶다면? 💪

PM으로 살아남기 🤸‍♀️

기획자/PM에게 중요한 건 문제정의, 레퍼언스, 데이터 리터러시 등..
그런데 막상 출시한 제품이 엉망이라면?

제품이 제대로 작동해야 가설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기획한 제품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우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기획한 제품이 출시 후 온전하게 작동하지 않는다면, 과연 나의 기획과 가설이 소용있을까요? 고객에게 제품의 가치가 온전히 제공될 수 있을까요?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를 통해 기획한대로 제품을 온전히 출시하는 노하우를 배워봅시다.


여러분의 상황은 아닌가요? 👀

제품 출시 전에 QA라는 걸 해야 한다는데..
QA는 어떻게 하는거지?

제품 출시 후에 발견하는 이슈가 많은데,
좀 더 제대로 QA하는 방법은 없을까?

QA 과정에서 소통과 조율이 늘 어려워...
커뮤니케이션을 더 잘 할 수는 없을까?

QA를 하고나서도 할 게 많은데,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는 없을까?


이런 분들을 위해서
준비했어요 👩

프로젝트의 관리/제품 출시가
처음인 초보 기획자

조금 더 제대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싶은 초보 PM

작은 조직/팀에서 제품 출시를
담당하는 제품 담당자


학습할 내용 📚

이 강의에서는 내 자식같은 프로덕트를 꼼꼼하게 챙기기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를 배웁니다. 프로젝트 관리 또는 제품 출시가 처음인 초보 기획자, 혹은 규모가 있는 프로젝트/프로덕트를 처음 담당하게 된 작은 팀의 PM이라면, 이 강의를 바탕으로 우리의 제품을 제대로 QA할 수 있는 실전 노하우를 얻어가시게 될 거예요!

  • Test Case와 QA의 중요성

프로젝트/프로덕트 관점에서 PM에게 Test Case와 Q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이해합니다.

  • 템플릿으로 Test Case 작성하기

복합다단한 제품을 구조화하고, 누구나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Test Case 작성법을 배웁니다.

💡 구조화되고 명확한 Test Case 작성 노하우와, 강의 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 QA를 진행하기에 앞서 사전 체크 사항
  • 제품 의존성과 프로젝트 현황을 고려한 누적 QA
  • Test Case로 볼 수 없는 사항을 발견하기 위한 랜덤 QA
  • QA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관리 & 런칭 준비 노하우
💡 프로젝트 일정과 의존성 이슈 등, 프로젝트 매니징 차원의 구체적인 QA 노하우를 알려드려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 Test Case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대로 QA하고 관리할 수 있는 노하우를 설명합니다.
  • 프로젝트 매니저에게 왜 QA와 Test Case가 필요한지, 맥락과 배경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Test Case 작성 노하우와 QA 노하우를 알려드려요.
  • 강의가 끝난 후 팀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강의를 들은 후
여러분들은 👨‍🏫

  1. 기획한 제품에서 무엇을 어떻게 QA해야 할지 명확하고 정확한 Test Case를 설계할 수 있게 됩니다.
  2. 큰 프로젝트에서도 안정적이고 제대로 QA할 수 있는 노하우와 자신감을 얻게 됩니다.
  3. QA를 비롯한 프로젝트 과정에서 여러 이해관계자와 더욱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게 됩니다.

예상 질문 Q&A 💬

Q. 오류는 어차피 눈에 보이는거 아닌가요? 굳이 Test Case가 필요한가요?

제품이 조금만 커지면, 놓치게 되는 게 많습니다. Test Case는 제품을 구조적이고 명확하게 이해하고 검수하기 위한 첫 단계예요!

Q. QA는 그냥 Test Case 작성한 거 처음부터 끝까지 쭉 실행해보는 거 아닌가요?

혹시 제품의 의존성(dependency)와 프로젝트 일정 현황을 고려하셨나요? 복합다단한 프로젝트 현황과 레거시를 고려한 QA 노하우를 알려드릴게요.

Q. 저희는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지 않는 애자일팀인데도 가능할까요?

애자일한 방식으로 기획-개발하는 환경에서도 결국 기획자/PM은 QA를 담당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도 Test Case를 작성하고 QA를 할 수 있는 노하우를 알려드릴 예정이예요.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 1. 기획한 제품이 곧 출시인데, 이슈 없이 제대로 돌아갈지 걱정인 초보 기획자/PM

  • 2. QA는 하고 있지만 눈에 보이는대로만 진행한 탓에 항상 뭔가 놓치는게 많았던 초보 기획자/PM

  • 3. 처음으로 규모가 있는 제품을 출시하게 되어, 제대로 검수하고 싶은 작은 팀의 기획자/PM

커리큘럼

전체

16 ∙ 3시간 1분

강의 게시일: 2022년 08월 03일
마지막 업데이트일: 2022년 08월 03일

수강평

아직 충분한 평가를 받지 못한 강의입니다.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수강평의 주인공이 되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