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기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 시험입니다. IT 및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이론 및 실무지식을 바탕으로 정보보안시스템 및 솔루션 개발, 주요 운영체제 및 네트워크 장비, 정보보안 장비에 대한 운영 및 관리, 조직의 정보보안정책의 수립과 대책수립 및 관리, 정보보호 관련 법규 적용 등의 직무 수행 등 위험 평가, 위협 탐지 및 완화 전략을 통해 디지털 자산 보호에 대한 전문성을 검증하는 자격 시험입니다.
강의 특징
본 강의는 정보보안기사 실기 시험의 이론과 실제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며, 실제 시험에서 높은 적중률을 보이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학습합니다. 강의는 실무적인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고, 학습자가 실제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을 강조합니다. 또한,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각 주제별로 상세한 설명과 실습 위주의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강의 커리큘럼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이메일 보안 프로토콜과 실제 시나리오 적용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RSA, AES, SPF, DKIM, DMARC, FTP, TFTP 등 애플리케이션 보안 개념 및 프로토콜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HTTP 요청 방식, HTTP 응답 분할 공격, Apache 서버 취약점, SSL/TLS 프로토콜을 통한 안전한 데이터 전송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SSL과 TLS 프로토콜, OpenSSL 취약점 식별, DTLS를 통한 안전한 통신 프로토콜 학습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ITSEC 구성 요소, IPsec 목적, IPsec의 터널 모드와 전송 모드 차이점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ESP 터널 모드, VPN, IPsec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보안 개념 및 프로토콜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VPN, VLAN, DNS, DNS 보안 개념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DNS 보안, DNS 서버 구성, 캐시 독살 및 SQL 인젝션 공격 방지 방법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SQL 인젝션, 준비된 명령문, 웹 서버 보안, XML 쿼리 취약점 이해
애플리케이션 보안(199번~210번) :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반적인 취약점 식별 및 설명, 디지털 콘텐츠 보호 원칙 이해, OWASP의 웹 보안 표준 역할 학습
학습 후 기대 효과
수강 후에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토콜과 취약점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을 갖추게 됩니다. 실제 시나리오에서 보안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취약점을 식별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향상됩니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최신 표준과 방법을 배워 정보보안 분야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