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통신 기초와 자동차 전체 구조

(5.0) 수강평 1

수강생 35

Thumbnail

입문자를 위해 준비한
[모빌리티, CAN] 강의입니다.

CAN 통신에 대해 학문적인 개념보다는 실무에 필요한 개념에 대해 담았습니다.

이런 걸
배워요!

  • 자동차 전체적인 개념을 기반으로 한 CAN 통신

  • 현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CAN 통신 배경지식

  • 실무에 필요한 CAN 통신 개념

자동차 업계 취준생 및 주니어를 위한 강의

이번 강의의 목적은 미리 알고 개발을 했으면 보는 폭이 넓었을텐데.. 의 아쉬움을 해소하기 위해 만든
첫번째 시리즈 CAN강의입니다.

CAN Spec을 보면 너무 많은 내용이 있는데, 실제 개발을 하면서 꼭 필요한 부분들만 정리하였습니다. CAN에 대해 학문적인 것만 설명하는 것 보다는 실제 현업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개발은 어떻게 되는지? 왜 사용해야 하는지? 를 정리하였습니다.

강의는 내용도 전달하지만 수강생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동차 전체 구조를 통한 큰 그림부터, CAN의 사용 이유와 함께 CAN의 개념을 학습하며 스케치를 통해 밑그림을 그립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CAN 활용을 통해 색칠로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강의를 구상하였습니다.

자동차의 통신 방법 중 하나, CAN?

CAN이라는 용어를 들으면, 깡통(CAN)이나 '할 수 있다'의 CAN을 떠올리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CAN 통신은 자동차의 대표적인 통신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CAN 통신이 무엇이고 왜 자동차 산업에 적용되었을까요?

아래의 내용을 학습하며 궁금증을 하나하나 해소할 수 있습니다!

  • 통신의 개념

  • 자동차 구조 및 CAN 개요

  • High/Low Voltage 기반의 통신 "CAN"

  • Standard CAN, Extended CAN의 포맷

  • Data Frame의 형식

  • Error Frame / Remote Frame / Overload Frame

  • CAN 통신의 활용 "UDS 프로토콜"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 있는데, 강의를 들어야 할까요? 🤔

CAN은 표준 문서에 잘 정리되어 있지만, 양이 사실 정말 많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은 블로그나 유튜브에 잘 정리되어 있지만, 필요한 지식을 찾기에는 내용이 여기저기 퍼져있습니다. 저도 처음에 블로그, CAN Spec 문서를 통해 공부를 하였지만 너무 많은 양이기도 하고 실제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상상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이 강의를 들으시는 분은 개발하는데 정말 필요한 내용을 압축적으로 알려드리면서 '아 이런 식으로 개발이 되는구나!' 머리에서 상상이 가능하도록 구성했습니다.

실무에 필요한 지식을 압축해서 담았습니다! 📖

  • CAN 통신을 사용하여 개발하고 있는 실제 환경을 알 수 있습니다.

  • 너무 방대한 CAN Spec이지만,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만 콕 찝어 말씀드리겠습니다.

  • 자동차 전체적인 구조를 토대로 설명하기 때문에 CAN에 대해 보다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자동차 업계 취업 준비생

H사, L사, M사 자동차 업계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데 CAN이 무엇인지 모르겠고, 어떻게 개발되는지 궁금해요

자동차 업계 현직자

CAN을 이용해서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데, 어느 부분을 알아야 하고 환경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해요

자동차 개발 간접적 경험

자동차 부품 혹은 제품들이 어떻게 개발되는지 감이 안 와요. CAN이 무엇이고 왜 쓰는거죠?

수강 후에는

  • CAN 통신에 대해 이해 할 수 있어요

    • 왜 CAN 통신이 자동차 산업에 들어왔는지

    • CAN에 대한 여러 Frame에 대한 이해

    • CAN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 실제 현업 개발 환경을 그릴 수 있어요

  • 통신의 기초를 학습할 수 있어요

  • 자동차 산업 구조를 이해할 수 있어요.

강의에 담긴 특징

큰 그림부터 세세한 개념까지

어디에/어떻게/왜 사용되는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이론)을 안내합니다. 자동차 전체구조부터 자동차 개발환경에서 CAN의 도입이유 및 역할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현직 개발자의 개발환경을 이해

자동차에 들어가는 제품들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완성품을 가져오기보다, 툴을 이용해 개발합니다. 강의에서는 어떤 툴을 사용해, 어떻게 개발하는지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합니다.

이런 내용을 배워요

CAN Message Frame

CAN에는 다양한 Frame이 존재합니다. 오로지 데이터만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Error가 발생했을 때는 Error Frame을 송신하는 것처럼 각 상황에 맞는 Frame을 사용하는데요. Frame 별 포맷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UDS (Unified Diagnostic Services)

CAN 통신이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UDS 개념을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간략하게 UDS를 다룹니다. (UDS를 자세히 다루는 후속강의도 별도 제작 예정입니다.)

지식공유자 소개

안녕하세요. 지식공유자 윤우주입니다. 자동차 업계 SW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완성차 업체 V사 모델 개발

  • 완성차 업체 H사 모델 개발

  • 완성차 업체 J사 모델 개발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 자동차 산업 취업준비생

  • 자동차 산업 현직자

  • 자동차 산업에서 CAN의 지식 필요한 분

  • CAN에 대해 기초 지식을 이해하시고 싶으신 분

비전공 개발자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커리큘럼

전체

8 ∙ 1시간 44분

  • 자동차 산업 구조의 이해

    17:02

강의 게시일: 2024년 01월 10일
마지막 업데이트일: 2024년 01월 10일

수강평

아직 충분한 평가를 받지 못한 강의입니다.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수강평의 주인공이 되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