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44
·
수정됨
0
강의에서 필드 주입의 경우 일반 테스트 시에는 스프링에 의한 주입이 일어나지 않으니 다른 주입 방법이 있어야 하는데, 방법이 없으므로 권장하지 않는다고 이해했습니다.
@Test에서 테스트 시에 테스트 객체 안에서 (static) AppConfig를 만들어서 bean을 정의하고 ApplicationContext에 적용시킨 것이 기억나는데요
제가 이해한 것이 맞다면 test영역에는 스프링 컨테이너가 영향을 끼칠 수 없는 영역인건가요?
그래서 AppConfig를 테스트 영역 안에서 생성하여 적용한 것인가요?
그리고 @SpringBootTest에서는 스프링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건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스프링 테스트에 대한 질문이신 것 같네요.
테스트 코드에서 @Test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소드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테스트 코드는 주로 단위 테스트를 위해 작성되고, 스프링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일반 테스트에서는 스프링의 의존성 주입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필요한 의존성을 명시적으로 생성하여 주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단일 객체에만 의존하는 경우에는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합 테스트를 위해 스프링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테스트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SpringBootTest
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테스트 코드에서도 스프링의 의존성 주입과 관련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테스트 코드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필요한 의존성은 명시적으로 주입해야 합니다. 통합 테스트를 위해서는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스프링 프레임워크 공식 문서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