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alsgudtkwjs님의 프로필 이미지
alsgudtkwjs

작성한 질문수

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안녕하세요! 생성자와 필드의 타입에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336

2

  1. 위의 코드에서 jpa 때문에 protected로 기본 생성자를 만들어주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이게 무슨 의미인가요??

  2. 왜 id는 Long 타입인데, userId는 long타입인가요?

  3. 왜 id = null;로 해준건가요?

  4. sql ddl문은 작성해주지않고 자바 class만 작성해준 후 jpa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db에 자동으로 테이블 생성이 안되나요?

    입문자인데 눈높이에 맞춰 잘 설명해주시는 덕분에 재밌게 배우고 있습니다😄

 

답변 2

1

최태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태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alsgudtkwjs님!! 질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하나하나 설명 드려보겠습니다!!

 

[1. JPA에서 protected 기본 생성자의 의미]

저희가 기본 생성자를 추가로 만들어 준 이유는, JPA가 정상 동작하기 위해서 입니다!!

protected도 괜찮고~ public도 괜찮은데요! JPA의 경우, 내부적으로 "리플렉션"이라는 자바의 기술을 활용하고 이 기술을 활용할 때 기본 생성자를 사용하고 있어요!

따라서 JPA가 온전히 동작하려면 기본 생성자가 필요하게 됩니다.

 

[2. id는 Long 타입인데 userId는 long 타입인 이유 + 3. id = null;을 한 이유]

Long과 long의 차이는 null 이 들어갈 수 있는지~ 없는지~ 입니다!
(관련해서 자바의 boxing과 unboxing에 대해 찾아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

private Long id = null; 처럼 id라는 필드에 null 이 들어갈 수 있는 Long 타입을 설정하고, 초기값으로 null 을 넣어준 이유는 우리가 만들어준 데이터 (UserLoanHistory) 가 DB에 저장된 데이터인지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인지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id가 여전히 null 값을 갖고 있다면, 아직 DB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이고 id에 어떤 숫자가 들어 있다면 DB에 저장된 데이터라고 생각할 수 있죠.

 

반대로 userId 의 경우 누군가가 책을 빌렸다면 해당 유저의 id가 무조건 숫자로 들어 있기 때문에 굳이 null이 들어갈 수 있는 Long 타입을 설정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가능한 null이 들어갈 여지를 줄여주면 그만큼 버그가 작성할 확률도 줄어들게 되죠.

필드의 타입 하나에도 의도가 들어 있었는데 관찰력이 좋으시네요!! ㅎㅎㅎ

 

[4. DB 테이블 자동 생성]

이는 우리가 application.yml 에 설정해준 ddl-auto 옵션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ddl-auto 옵션에 create 혹은 create-drop 을 적용하면 자동 생성될 수 있고, none 을 적용하면 JPA 객체 만으로 테이블이 자동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개인 컴퓨터에서 개발을 할 때는 create 또는 create-drop 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다수가 접근하는 개발/운영 DB에서는 none 혹은 validate 가 권장됩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으면 좋겠네요~ 또 궁금증이 생기시면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alsgudtkwjs님의 프로필 이미지
alsgudtkwjs
질문자

위의 댓글 답변도 잘 읽어보았습니다. 항상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려 하심에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코딩이 조금 재밌어지려고 하네요

0

alsgudtkwjs님의 프로필 이미지
alsgudtkwjs
질문자

추가로 제가 프론트와 협업을 하고 있는데, 프론트에게 api 명세서를 넘겨주면 만약 로그인 api가 POST /api/signin 이라고 하면 로컬에서는 (POST) http://localhost:8080/api/signin 으로 postman으로 테스트를 할텐데, 프론트쪽에서 api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올 때 저희가 배포하지 않고 로컬에서만 서버를 돌렸다면
프론트는 데이터를 받지 못하는건가요?
localhost:8080 이 부분을 도메인을 구입해 서버를 동작시켜야 실제로 프론트쪽에서 api로 데이터를 요청해 받을 수 있는건가요??

최태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태현
지식공유자

저희가 배포하지 않고 로컬에서만 서버를 돌렸다면 프론트는 데이터를 받지 못하는건가요?

네네 맞습니다!! 질문자님 컴퓨터에 서버가 있고, 프론트 개발 역시 질문자님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배포"를 통해 프론트가 배포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프론트에서는 서버의 API를 활용하기 어려워요!! 방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고 ngrok 같은 툴을 쓸 수 있긴 하지만, 일반적이지는 않습니다.

 

localhost:8080 이 부분을 도메인을 구입해 서버를 동작시켜야 실제로 프론트쪽에서 api로 데이터를 요청해 받을 수 있는건가요??

개발 단계에서는 도메인은 꼭 구매할 필요가 없고, IP로 바로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

다만, 보통은 프론트 역시 배포가 필요하니 도메인을 하나 구입해서, 프론트와 백이 각각 나눠 갖습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을 샀다면, 서버가 api-dev.example.com을 사용하고 프론트가 app.example.com을 사용하는 느낌이죠! 이러한 서브도메인은 계속 만들 수 있습니다.

alsgudtkwjs님의 프로필 이미지
alsgudtkwjs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