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02
0
dfs나 bfs문제를 푸실때 if(ny < 0 || ny >= n || nx < 0 || nx >= n) continue; if(a[ny][nx] == 0) continue; if(visited[ny][nx]) continue; 와 같이 or연산을 써서 조건문을 쓰시는데요. and연산자를 쓰지 않고 or연산을 쓰시는 이유가 따로 있으신가요?
http://boj.kr/09a17090441545d8ad3b0b7bcac3fb4b 에서 14번 라인과 같이 and연산자로 매번 코드를 짜는데 제가 놓지고 있는게 있나 싶어 여쭈어 봅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태완님 ㅎㅎ
if(ny >= 0 && ny < k && nx >= 0 && nx < k && lsm[ny][nx] && !visited[ny][nx]){
dfs(ny, nx);
}
앞의 코드처럼 하셔도 무방합니다.
제가 그렇게 하는것은 단지 저의 스타일일 뿐이지 로직만 맞다면 &&로 하셔도 괜찮습니다.
다만 제가 이렇게 쓰는 이유는요. &&로 할 경우 좀 더 if문이 길어질 수 있고 그렇게 하다 실수하다 맞왜틀에 걸린적이 있는 이후로는 if문 자체를 좀 더 단순하게 구축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짜는 것 뿐입니다.
if(ny < 0 || ny >= n || nx < 0 || nx >= n) continue;
if(a[ny][nx] == 0) continue;
if(visited[ny][nx]) continue;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가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if(ny < 0 || ny >= n || nx < 0 || nx >= n)와 같이 or연산을 사용해 조건문을 만드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 조건문은 ny, nx가 범위를 벗어났을 때, 즉 배열의 인덱스가 음수거나 배열의 범위를 벗어났을 때 해당 조건문이 참이라는 것입니다.
만약 and연산을 사용하게 되면, 모든 조건식이 참일 때만 해당 조건문이 참이 됩니다. 따라서 and연산을 사용하면 코드가 더 길어지고 복잡해지게 됩니다.
그리고, 여러 분이 말씀하신 14번 라인 코드에 대해서는 or연산과 and연산의 차이때문에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개별 상황에 따라서 더 효율적인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or연산과 and연산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죠.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