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이종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종현

작성한 질문수

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M

12100번 구조체를 사용하지 않는 코드가 가능할까요?

해결된 질문

작성

·

442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사님~

해당 문제를 처음 풀 때 애초에 구조체를 사용할 생각을 떠올리지 못 해서 구조체 없이 강사님 코드의 rotate90 메서드와 move메서드 아이디어만 활용해서 코드를 작성해보려고 했는데 막혔습니다 ㅜ

제가 생각한 접근법은 완탐으로 5번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체크해보려했습니다. 근데 기존 완탐 문제들과는 다르게 단순 visited = 0;하는 원복 패턴이 아니라 원복은 불가능해보이고, 원복없이 배열을 90도 회전 -> move(이동하기)까지 마치고 복사 배열을 다음 재귀함수에 넘겨주려고 했는데 그럼 move 메서드에서 배열을 변환 후 복사 배열을 리턴해줘야 되지 않나요? array는 리턴이 되는건지 검색해봐도 처음보는 코드들만 난무해서..

강사님 코드는 애초에 구조체 내부 각 메서드 마지막에 memcpy를 사용하여 변환된 a 배열을 잘 보존시키는데 구조체 방식이 아니라면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요?

이렇게 아예 접근조차 못 하는 문제들은 그냥 강사님 코드보며 외우고 넘어가야하는지 이러면 실력이 느는 것인지 고민되네요 ㅜ

마지막으로 해당 강의에서 move함수가 ⬆️(윗방향)으로 블록이동한다고 설명하시는데 코드는 ⬅️ 방향으로 블록이동인 것 같은데 제가 이해한 게 맞을까요?

답변 1

1

큰돌님의 프로필 이미지
큰돌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종현님 ㅎㅎ

제가 생각한 접근법은 완탐으로 5번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체크해보려했습니다. 근데 기존 완탐 문제들과는 다르게 단순 visited = 0;하는 원복 패턴이 아니라 원복은 불가능해보이고, 원복없이 배열을 90도 회전 -> move(이동하기)까지 마치고 복사 배열을 다음 재귀함수에 넘겨주려고 했는데

>> 네 그렇게 하는게 좋습니다. 원복있이 한다면 해당 배열을 1번회전, 2번회전, 3번회전 이런식으로 하셔야해서 좀 더 복잡해질 거 같긴해요.

 

강사님 코드는 애초에 구조체 내부 각 메서드 마지막에 memcpy를 사용하여 변환된 a 배열을 잘 보존시키는데 구조체 방식이 아니라면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요?

>> 음...

이 memcpy는 보존시키는게 아니라 이동한 값들이 담긴 temp를 기반으로 a라는 배열에 다시 채워넣어서 이동한 값들이 담긴 a로 변경시키는 로직입니다.

    void _move(){
		int temp[24][24];
		for(int i = 0; i < n; i++){
			int c = -1, d = 0;
			for(int j = 0; j < n; j++){
				if(a[i][j] == 0) continue;
				if(d && a[i][j] == temp[i][c]) temp[i][c] *= 2, d = 0;
				else temp[i][++c] = a[i][j], d = 1;
			}
			for(c++; c < n; c++) temp[i][c] = 0;
		}
		memcpy(a, temp, sizeof(a));
	}

 

다음 코드 또한 변경된 값으로 a를 변경시키는 것이구요.

    void _rotate90(){
        int temp[24][24];
        for(int i = 0; i < n; i++){
            for(int j = 0; j < n; j++){
                temp[i][j] = a[n - j - 1][i];
            }
        }
        memcpy(a, temp, sizeof(a));
    }

 

또한 구조체로 안해도 됩니다.

만약 구조체로 안하게 된다면 이런식의 코드로 구현이 될 거 같아요.

    for(int i = 0; i < 4; i++){  
        move[i];	 
        go(i, here + 1);
        not_move[i]; 
    }

원래는 rotate + move 이런식으로 했자나요. 이거를 move[0] = 회전 + 무브 / move[1] = 회전 + 회전 + 무브 이렇게 담아 놓는거죠. 그리고 go()라는 함수에는 switch를 기반으로 0, 1, 2 일 때 해당 move를 하게 하는 것이죠. 이런식으로도 가능할 거 같습니다.

 

이렇게 아예 접근조차 못 하는 문제들은 그냥 강사님 코드보며 외우고 넘어가야하는지 이러면 실력이 느는 것인지 고민되네요 ㅜ

>> 어느정도 외우는 것은 도움이 됩니다. 다만 종현님이 처음에 생각하신 완탐이요. 그렇게도 일단 도전해보시는게 좋고 그담에 안되시면 어느정도 외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강의에서 move함수가 ⬆️(윗방향)으로 블록이동한다고 설명하시는데 코드는 ⬅️ 방향으로 블록이동인 것 같은데 제가 이해한 게 맞을까요?

>> 아 그러네요ㅎㅎ 네 맞습니다. << 방향부터 합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가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이종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종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