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06
0
선생님 안녕하세요.
수업 열심히 들으면서 코테 준비중인 취준생입니다.
인접리스트의 공간복잡도와 모든 간선찾기의 설명을 들으면서 약간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예를 들어,
vector<int> v1[V] 만큼의 배열을 생성하고 나서, 각 배열에 연결할 정점들을 다 카운트 했을 때 E개라서 공간복잡도가 O(V + E) 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E = E * push_back(i);
와 같은 코드로 이해했습니다.
재미있고 수준높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창욱님 ㅎㅎ
vector<int> v1[V] 만큼의 배열을 생성하고 나서, 각 배열에 연결할 정점들을 다 카운트 했을 때 E개라서 공간복잡도가 O(V + E) 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E = E * push_back(i);
와 같은 코드로 이해했습니다.
>> 음.. 맞는데 조금은 틀린 부분이 있는데요. 다시 설명을 드려볼게요. ㅎㅎ
자, 이런 경우의 수를 들어볼게요.
자 앞의 그림을 봤을 때
v[1].push_back(2)
v[1].push_back(2)
v[1].push_back(2)
이런 꼴이 되겠죠?
먼저 하나의 정점에 여러개의 간선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자 여기서
v[1].push_back(2)가 상징하는 바는.
1이라는 정점에 2라는 정점을 잇는 간선을 추가한다가 됩니다.
E * push_back(i);
이것 보다는.
V . push_back(V)가 맞는 표현입니다.
정점에 정점을 추가하는 것이죠.
저 앞의 그림의 공간복잡도는 어떻게 될까요?
먼저 저 정점 2개죠? V입니다.
그리고 저 정점을 잇는 간선 3개, E죠?
그래서 V + E가 되는 것입니다.
즉
vector<int> v1[V] 만큼의 배열을 생성하고 나서, 각 배열에 연결할 정점들을 다 카운트 했을 때 E개라서 공간복잡도가 O(V + E) 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가 아니라.
정점의 갯수만큼 vector<int> v1[V] 만큼의 배열을 생성하고 나서, 각 정점들을 잇는 간선들을 다 카운트 했을 때 총 E개라서 공간복잡도가 O(V + E) 이가 됩니다.
가 맞는 표현입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가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