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성장하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15강. 유저 업데이트 API, 삭제 API 예외 처리 하기

15강 질문

작성

·

32

1

예외처리에서 boolean구문에 ID는 request.getId()로 받지만 왜 name은 getName()으로 안받고 그냥 name으로 받는 건가요/.?

답변 2

0

최태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태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이십니다! 🙂 아마 질문 주신 내용은...

  • PUT API (업데이트 API) 에서는 왜 객체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하고

  • DELETE API (삭제 API) 에서는 왜 단순히 String을 함수의 매개변수를 사용하였는가

인 것 같아요!

 

우선 PUT의 경우 HTTP Body를 함수에 전달 할 수 있어야 하기에 @RequestBody + 객체 조합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DTO 를 사용하게 되었고요

DELETE는 HTTP query 를 함수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는 @RequestParam 으로 직접 특정 필드를 매개변수에 전달할 수도 있고, DTO와 같은 객체를 사용할 수도 있죠. 저는 개인적으로 매개변수가 1개 정도라면 DTO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매개변수가 2개 이상이면 DTO를 높은 확률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성장하자님.

강의에서 예외처리 구문에서 IDrequest.getId()로 받고, namegetName()이 아닌 name으로 직접 참조하는 부분에 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코드의 컨텍스트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request.getId()와 같이 getter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은 객체의 필드를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request가 객체이기 때문에 해당 필드를 가져오기 위해 getter 메서드를 사용하죠. 반면에 name 변수는 이미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전달받거나, 로컬 변수로 정의되어 있어서 직접 참조가 가능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코드 전반의 구조와 메서드가 어떻게 호출되는지를 자세히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코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getter를 사용하는 경우와 변수를 직접 참조하는 경우가 구분될 수 있습니다.

유사한 상황이나 예외처리에 대한 다른 수강생의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URL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