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임종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트랜잭션 문제 해결 - 트랜잭션 매니저1

member 상수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51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17: 58초에 나오는 MEMBER_A,B,EX 상수들
질문입니다.
영상처럼 상수에 값을 넣고 @AfterEach에 넣어주셨는데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B");
    memberRepository.delete("ex");
}

이것처럼 직접 값을 넣어주게 되도 동작을 동일하게 진행되는데 상수 지정을 하지 않고 이런 식으로 값을 넣어주게 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답변 2

0

임종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임종민
질문자

아 그렇네요 이런 간단한걸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다보니까...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임종민님께서 강의 중에 등장하는 MEMBER_A, MEMBER_B, EX와 같은 상수를 사용할 때와 직접 값을 입력할 때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상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코드의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상수를 사용하면 해당 값이 코드 전체에서 동일하게 사용되고, 변경이 필요할 경우 해당 상수의 값만 수정하면 모든 관련 부분이 업데이트됩니다. 반면, 직접 값(리터럴)을 입력하게 되면 코드 내 여러 곳에서 동일한 값을 일일이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emberA”등의 문자열을 여러 곳에서 직접 사용하다가 문자열의 값을 수정할 필요가 생긴다면 모든 코드를 찾아서 수정해야 할 겁니다.

또한, 상수를 사용하면 실수로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고, IDE의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코드 작성을 쉽게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코드의 오류를 줄이고, 더 안전한 코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즉, 직접 값을 사용해도 실제 동작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지만, 코드의 유지보수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서는 상수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관련 질문이 아래 URL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참고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Why use constants instead of hardcoding values
- How to refactor common literals to constants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