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6
답변 2
0
안녕하세요 그리네모입니다.
처음 심볼을 변환 후 심볼안의 프레임이 1프레임밖에 없을 경우 타임라인으로 나와 10프레임으로 늘린 다음 키프레임을 생성해도, 심볼 안에 프레임이 1프레임에 밖에 없기 때문에, 1프레임으로 표시됩니다.
심볼 안에서 미리 작업을 한 다음, 원하는 만큼 프레임을 늘려 키 프레임을 생성하면 타임라인의 심볼 키프레임 숫자가 제대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질문을 듣는 입장에는 앞뒤 상황을 모르고, 목적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현재 상태에서는 앞서 말씀드린 심볼 개념을 잘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다른 답변이 필요하면 다시 질문을 남겨주시고, 전혀 이해가 안된다면 앞뒤 과정과 의도를 정확히 파악해야되니 구글 미트에 참여해 제가 전후상황을 파악 후, 설명드릴게요.
만약 구글 미트로 참여를 원하시면 참여 가능한 시간을 알려주세요. 그럼 참여 가능한 링크를 댓글에 남겨드릴테니 해당 시간에 링크를 통해 접속하길 바랍니다.
애니메이션 작업은, 특히 애니메이트는 사람의 목적과 습관 등에 따라서 수많은 경우의 수가 생겨요. 그래서 전후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기본 개념에 따른 답변 밖에 해드릴 수 없고 알려드린 개념을 스스로 이해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 필요한 점 참고바랍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유자프라푸치노님.
애니메이트에서 심볼 변환 후 키프레임 생성 시, 원하는 위치가 아닌 1번 프레임에서 시작되어 불편함을 느끼신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애니메이트의 작동 방식 때문인데, 이 과정에서 키프레임의 위치가 1번으로 고정되어 버리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심볼의 내부 타임라인에서 특정 시작 프레임을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단계를 정리한 것입니다:
심볼 수정: 심볼의 내부로 들어가서 원하는 프레임에서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를 통해 각 심볼이 자체적으로 다른 시작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심볼 외부 조정: 심볼을 배치한 타임라인 위에서 심볼의 시작 프레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볼이 시작되지 말아야 하는 위치에 빈 키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적절한 위치에 안내자 라인을 추가하여 작업합니다.
가이드 사용: 애니메이트의 사용 가이드나 FAQ에서 특정 기능이 업데이트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아래는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참고할만한 링크입니다:
위의 링크는 비슷한 상황에 대한 다른 수강생의 질문과 지식 공유자의 답변입니다. 해결 방법에 있어 더 좋을지 모른다는 점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 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 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