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4
답변 2
0
안녕하세요. 오리쉐리님
JPA에서 고아 객체(Orphan Removal) 기능이 @OneToOne과 @OneToMany 관계에서만 사용 가능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소유권(Ownership)의 명확성:
@OneToOne과 @OneToMany 관계에서는 '소유하는 측'과 '소유되는 측'이 명확합니다. 부모 엔티티가 자식 엔티티를 명확하게 소유합니다.
따라서 부모 엔티티에서 자식 엔티티의 참조를 제거했을 때, 해당 자식이 '고아'가 되었다고 판단하기 용이합니다.
@ManyToMany에서의 문제점:
다대다 관계에서는 양쪽 엔티티 모두 컬렉션으로 서로를 참조합니다.
한 쪽에서 참조를 제거했다고 해서 그 객체가 진정한 '고아'라고 할 수 없습니다. 다른 엔티티에서 여전히 참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아 객체 제거를 허용하면 예상치 못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anyToOne에서의 문제점:
다대일 관계에서는 '다(Many)' 쪽의 여러 엔티티가 '일(One)' 쪽의 하나의 엔티티를 참조합니다.
한 엔티티가 참조를 끊었다고 해서 참조 대상이 고아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엔티티들이 여전히 참조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고아 객체 제거는 부모-자식 관계가 명확하고, 자식 엔티티의 생명주기가 부모 엔티티에 완전히 종속된 경우에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OneToOne과 @OneToMany에서만 허용됩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오리쉐리님.
고아 객체란 부모 객체와의 관계가 끊어졌을 때, 자동으로 삭제되는 엔티티를 의미합니다. 이 기능은 JPA에서 @OneToOne과 @OneToMany 관계에서만 지원됩니다. 그 이유는 이 두 가지 관계가 고아 객체 상태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향성 관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OneToOne: 이 관계는 두 엔티티가 일대일로 연결되며, 한쪽 엔티티가 제거되면 연결된 엔티티가 고아 상태가 되어 함께 삭제될 수 있습니다.
@OneToMany: 여러 엔티티가 하나의 부모 엔티티에 종속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모 엔티티에서 참조가 제거되면 종속된 엔티티에서 고아 상태를 식별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다대다(@ManyToMany)나 다대일(@ManyToOne) 관계에서는 고아 객체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것은 구조적으로 고아 객체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JPA 연관관계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이미 많은 질문이 올라와 있으니, Inflearn 내 Q&A 게시판에서도 다른 학습자의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 질문: item에서는 @OneToMany를 안적는 이유가 있나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