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0
·
수정됨
0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 감지에서 질문있습니다. 강의 내용 중 엔티티 클래스에는 가급적 Setter를 사용하지 말라고 하셨는데(특히 실무에서) 변경 감지라는 게 엔티티를 조회하여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을 해야 이 영속성 컨텍스트의 스냅샷을 통해 엔티티 필드의 값에 변경이 일어났을 때 update를 시키는 것이고 결국 엔티티의 필드를 수정 해야 하는데 그럼 필드를 수정하기 위해선 또 결국 Setter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js270402님,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JPA에서의 엔티티 변경 감지와 관련해서 혼란스러울 수도 있는 부분을 잘 짚어주셨습니다.
JPA에서 변경 감지(Dirty Checking)는 엔티티의 필드가 변할 때 이를 감지하여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이때 일어나는 수정은 반드시 Setter 메서드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필요는 없습니다. 엔티티의 수정 메서드를 직접 구현하여 필요한 필드를 변경하도록 만드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setAge(int age)
같은 일반적인 Setter 메서드 대신, 의미를 담은 changeAge(int age)
와 같은 메서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현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JPA에서는 엔티티의 영속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엔티티를 조회한 후 해당 엔티티의 메서드를 통해서 필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이 커밋될 시점에 변경 감지가 작동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반영하게 됩니다.
관련된 질문과 답변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JPA에서 엔티티 변경 감지 관련 질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