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3
·
수정됨
0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마크다운, 단축키를 이용해서 편리하게 글을 작성할 수 있어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1.계정 분리 관련해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강사님은 현재 앱스토어와 애드몹 계정 비율은 동일하게 맞춰서 운영 중이신가요?
앱스토어 계정 A - 애드몹 계정 A
앱스토어 계정 B - 애드몹 계정 B
요런식으로 앱스토어 계정 A로 올린 앱들은 애드몹 계정 A로 셋팅하는 구조인지요?
2.앱스토어 계정은 2023년 11월 이후 생성된 계정은 테스터 20명 확인을 해줘야 하는데 요부분이 시간이 오래 소요될것 같아 고민입니다ㅜㅜ (미리 만들어둘껄)
계정을 여러개로 만들어서 운영시 강사님은 요부분 어떻게 시간비용을 줄이면서 앱등록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신규앱을 앱스토어에 올릴때마다 테스트 20명에게 요청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걸로 이해를 하고 있어서요.
3.사업자계정으로 운영한다면 사업자도 여러개를 만들어서 운영하는게 좋을지요?
답변 2
1
안녕하세요~!
우선 계정 분리의 경우 당연히 필수는 아닙니다~
저의 경우 하나의 계정에 80개가 넘는 앱이 들어간 계정도 있습니다.
다만 계정을 나누는 이유는 혹시모를 위험에 대비하기 위함인데요..!
만약 자신이 출시하려는 앱이 조금의 찜찜함이나 정책에 위반되지 않을것 같은 앱이라면
단 하나의 계정으로 운영하시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극단적인 예시를 들어 만약 계산기 앱을 만들었는데 그런 앱이 정책 위반이 될 확률은 극히 낮을 것입니다.)
그럼 질문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
저의 경우 A, B, C 계정은 애드몹 A 계정에 연결 / D 계정은 애드몹 B 계정 연결 / E, F 계정은 애드몹 C 계정에 연결과 같이 명확히 1:1로 매칭시켜 하고있진 않고 있습니다. 다만 가급적 최대한 분산하려 노력하여 운영중입니다.
저의 경우 모든 계정이 23년 11월 이전 생성된 계정이라 테스트에 대한 부분이 없습니다. ㅠ 그리고 최근에는 비교적 테스트 제한이 완화되어 12인 테스트로 변경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사업자 계정으로 만들어서 다양한 계정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면 저라면 다양한 계정을 만들어서 운영할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iloveoov님.
계정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여러개의 앱스토어 및 애드몹 계정을 운영할 때의 전략과 비공개 테스트 관련 사항에 대해 고민이 있으시군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 보시면 도움될 수 있습니다.
계정 운영의 목적은 계정 무결성을 유지하고, 각 계정이 독립적으로 광고 및 수익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정을 맵핑하면 관리가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2023년 이후 새로 생성된 계정에서 비공개 테스트 요건이 강화된 부분이 있으니, 다음의 방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 질문에서는 비슷한 상황에 대한 강사님의 답변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앱, 광고 다 계정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저는 iloveoov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