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영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Three.js로 시작하는 3D 인터랙티브 웹

[Blender] 도미노 블럭 만들기(inset, bevel)

gltf 포맷 사용

작성

·

49

0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https://inf.run/SELR1 여기보면 일단 gltf 사용을 추천하고있던데 glb는 하나의 파일에 모든게 담겨있는 형태라 관리가 용이하다고 나오더라구요.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입장에서 둘중에 어느걸 사용하는게 성능면에서 좋은걸까요?

답변 1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영호님이 질문하신 gltf와 glb 파일 포맷에 대한 성능과 사용에 관해 설명해드릴게요.

gltf와 glb 둘 다 웹 상에서 3D 모델을 표현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포맷입니다.

  • gltf는 텍스처와 모델 데이터를 여러 개의 파일로 분리해서 저장합니다. 따라서 파일을 전달할 때에는 여러 파일을 함께 묶어서 전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이 여러 개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수정하거나 컨텐츠 네트워크에서 캐시할 때 유리할 수 있습니다.

  • glb는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담아 전송합니다. 이는 glb 파일 하나만으로 모든 모델을 표현할 수 있어서 파일 관리가 쉽고, 다운로드 시에도 간편합니다. 하지만, 모든 것이 한 파일에 담겨 있기 때문에 텍스처나 데이터를 수정할 때는 gltf보다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성능 측면에서 본다면, 사용하는 서비스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간단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페이지에서 빠른 로딩이 중요하다면 glb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텍스처 또는 재질을 자주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할 가능성이 많다면, gltf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참고할 만한 답변이 있는데, 유사한 질문에 대해 다룬 페이지를 아래에 소개해드립니다.
- GLTF와 GLB의 차이점 이해하기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