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성장하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7강. 유저 생성 API 개발

7강 관련 질문

작성

·

44

1

7강에서 유저 생성 APi를 만들때 user클래스를 따로 또 만드는데 전에 덧셈이나 곱셈 api에서는 객체를 dto에서 바로 만들어서 가져왔는데 여기서는 domain-user처럼 따로 또 클래스를 만들어서 객체를 호출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답변 2

0

최태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태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성장하자님! 🙂 좋은 질문주셨네요~~

인프런 AI가 답변한 것처럼, DTO와 '도메인'의 역할은 다르니 둘을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https://inf.run/1YaD8

위 영상을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성장하자님,

유저 생성 API 개발 시 “User” 클래스를 따로 만든 것과 관련한 질문을 주셨네요. DTO와 도메인 모델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이렇게 진행한 것입니다.

  1. DTO (Data Transfer Object): DTO는 계층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객체입니다. 주로 컨트롤러와 서비스 사이, 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됩니다. DTO는 데이터의 구조만을 가지고 있을 뿐 비즈니스 로직이나 데이터 변환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2. 도메인 객체: 반면에 도메인 객체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을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와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주로 JPA 엔티티로 사용되며, 비즈니스 로직 및 데이터 변환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룰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기존의 논의는 아래 링크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7강. 유저 생성 API 개발 질문있습니다.: 이 논의에서는 DTO와 도메인을 나누는 것이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변경 사항이 있을 때 side effect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