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6
답변 2
1
안녕하세요, yongdeok1985님!
질문하신 후크함수는 일반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은 함수인데요, 본 강의의 경우 12_LOGICSNIFFS 예제에서 문맥전환 시간을 측정하고자 사용하였습니다.
소스코드 인용
#include "logicSniff.h"
#include <stdio.h>
void vLogicSniffMultiSetLED5( unsigned int channel, int xValue );
void vLogicSniffMultiSetLED6( unsigned int channel, int xValue );
void vLogicSniffSetLED( unsigned int channel, int xValue );
BaseType_t prvExampleTaskHook( void * pvParameter )
{
/* Perform an action. This could be anything. In this example, the hook is used to output debug trace information. pxCurrentTCB is the handle of the currently executing task. (vWriteTrace() is not an API function. It's just used as an example.) */
vLogicSniffMultiSetLED5(LS_CHANNEL_ALL5, 0); // All Leds Clear
vLogicSniffMultiSetLED6(LS_CHANNEL_ALL6, 0); // All Leds Clear
vLogicSniffSetLED( pxCurrentTCB->uxTCBNumber, 1 );
printf("%d ", (int)pxCurrentTCB->uxTCBNumber);
/* This example does not make use of the hook return value so just returns 0 in every case. */
return 0;
}
prvExampleTaskHook() 함수는 vTaskSetApplicationTaskTag()를 통해 현재 태스크에 hook 함수로 등록되었으며, 이후 해당 태스크에서 xTaskCallApplicationTaskHook(NULL, param)을 호출했을 때 실행됩니다. 즉, 자동으로 호출되지 않으며, 직접 xTaskCallApplicationTaskHook()을 호출해야만 동작합니다.
12번 예제에도 처음에는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진 것 같네요.
원하시는 내용을 6번과 8번 예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myenv) admin👻 grep -rniI "vTaskSetApplicationTaskTag( NULL" ./
.//06_COUNT_SEM/Src/task.c:84: vTaskSetApplicationTaskTag( NULL, prvExampleTaskHook );
.//06_COUNT_SEM/Src/task.c:124: vTaskSetApplicationTaskTag( NULL, prvExampleTaskHook );
.//06_COUNT_SEM/Src/task.c:147: vTaskSetApplicationTaskTag( NULL, prvExampleTaskHook );
.//08_DEFERRED_INTERRUPT/Src/task.c:87: vTaskSetApplicationTaskTag( NULL, prvExampleTaskHook );
.//08_DEFERRED_INTERRUPT/Src/task.c:123: vTaskSetApplicationTaskTag( NULL, prvExampleTaskHook );
.//08_DEFERRED_INTERRUPT/Src/task.c:163: vTaskSetApplicationTaskTag( NULL, prvExampleTaskHook );
(myenv) admin👻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ongdeok1985님, 강의를 잘 마치셨군요! prvExampleTaskHook 함수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prvExampleTaskHook
함수는 일반적으로 FreeRTOS의 태스크 훅(Task Hook) 기능과 관련된 함수로 사용됩니다. FreeRTOS에서는 태스크 훅을 사용하여 태스크의 상태 변화 시점에 특정 로직을 삽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태스크가 생성되거나 삭제될 때, 태스크가 상태 전환(전환점)되는 순간에 자동으로 호출되는 사용자 정의 함수입니다.
그러나 이 함수가 어디에서 호출되는지는 코드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만든 특정 이벤트나 상태에서 호출되도록 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음 링크에서 관련된 설명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강의나 문서에서 제공하는 샘플 코드를 통해 해당 함수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시면 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적인 정보나 샘플 코드가 있어서 궁금한 점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자유롭게 계속 질문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해주신 내용으로 보면 vTaskSetApplicationTaskTag() 함수로 등록할 태스크에 prvExampleTaskHook() 함수를 등록하고 이후 태스크 스위칭이 일어날 때 xTaskCallApplicationTaskHook() 함수가 호출되면 그 안 에서 이전에 등록해놓은 prvExampleTaskHook() 함수가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그런데 vTaskSetApplicationTaskTag() 함수를 호출하여 prvExampleTaskHook() 함수를 등록하는 부분을 찾지 못하여 질문드립니다.